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공립
관립
국정
국유
국립과학관
과학관
국립현대미술관
뉴스
"
국립
"(으)로 총 6,240건 검색되었습니다.
"IBS에 퇴직 공무원들 요직 차지"보도에 과기부 다른 산하기관들 살펴보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2013년부터 2016년 8월까지 대통령비서실 미래전략수석실 과학기술비서관을 지냈다. 이후
국립
중앙과학관장을 역임하고 2018년 1월 연구개발특구진흥재단 이사장에 선임됐다. 과기계의 한 관계자는 “과학기술계에서 퇴직 공무원들이 산하기관 요직으로 낙하산 인사를 하는 것은 최근 수년간 ... ...
시골 미생물이 아이들 천식발병 낮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아이들의 천식 발병을 막아준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프리카 커자바이넨 핀란드
국립
건강복지연구소 환경건강부 연구원 연구팀은 농장에서 발생하는 미생물이 소아 천식 발병률을 낮춘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연구결과를 국제학술지 ‘네이처 메디신’ 17일자(현지시간)에 발표했다. 천식은 ... ...
[의학게시판] 차병원, 만성콩팥병 치료와 이식 건강강좌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단백유전체단장이 기조연설을 한다. 관심 있는 사람은 누구나 무료로 참석할 수 있다.
국립
암센터 홈페이지(ncc.re.kr/symposium)에서 사전 등록할 수 있다. ■ 국내 의료로봇 전문기업 큐렉소가 독자개발 중인 척추수술로봇 ‘큐비스-스파인’을 19일 ‘척추신기술학회’에서 공개했다. ... ...
"저랑 놀아줘요" 개의 친근한 눈빛은 사람과 소통을 위한 진화 결과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개가 인간과 친근하게 소통하면서 둥글고 똘망똘망한 눈을 갖도록 눈 근육이 진화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최은진 제공 개와 늑대는 학명(Canis lupus)이 같지만 눈빛만 보면 ... 눈빛을 가진 반면, 늑대는 눈을 가늘게 뜨고 날카롭게 바라보는 눈빛을 가진 이유다. 미국
국립
과학원회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배를 타고 가다가 길을 잃어 복숭아꽃이 만발한 별천지에 이르렀다는 이야기이다.
국립
중앙박물관 제공 무릉 군에 고기 잡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시내를 따라가다가 길을 잃어버렸다. 문득 복숭아 꽃이 활짝 핀 숲에 도달했는데, 좁은 물가에 수백 보 길이로 다른 나무는 하나도 없이 ... ...
톱500 슈퍼컴 10기 중 7기 美中 보유…한국 ‘누리온’ 15위
동아사이언스
l
2019.06.18
명이 420년에 걸쳐 할 계산을 1시간에 끝낼 수 있다. 세계 2위는 역시 미국 로렌스리버모어
국립
연구소의 ‘시에라(94PF)’, 3위는 중국국가슈퍼컴퓨팅센터의 ‘션웨이 타이후즈구앙(93PF)’으로 나타났다. 전세계적인 슈퍼컴퓨터 설비 투자의 영향으로 한국의 슈퍼컴퓨터 순위는 전반적으로 내려간 ... ...
[의학게시판] 2019년 맑은숨 캠프 참가 모집 外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환자를 대상으로 운영할 방침이다. ■ 유근영 서울대 의대 교수(전 국군수도병원장, 전
국립
암센터원장)가 19일부터 22일까지 러시아 상트페테르부르크에서 열리는 제 6차 국제암포럼 ‘백야 2019 심포지엄’에서 특강을 진행한다. 이번 포럼의 주제는 ‘암 정복을 위한 새로운 전략'으로 유 교수는 ... ...
"특이점은 신화일 뿐" AI 전문가 장 가브리엘 가나시아 교수 한국에 온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6.17
공부하기도 한 가나시아 교수는 유럽 AI 윤리연구 분야의 거두다. 2016년부터 프랑스
국립
과학연구소(CNRS) 윤리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유럽 인공지능조정위원회(ECCAI) 위원과 프랑스 디지털 분야 연구 동맹인 ‘알리스텐’의 윤리 위원회(CERNA)도 맡고 있다. 그 철학에 관한 관심은 AI의 적용 ... ...
무인기까지 동원한 인공강우 실험 '가능성만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19.06.16
협업을 통한 인공강우실험 결과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는 기상청 산하
국립
기상과학원이 분석했으며 당초 5월 중순 발표될 예정이었지만 한 달 늦게 공개됐다. 정부는 지난 4월 25일 전남 고흥과 보성 주변에서 항공기와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이 개발한 틸트로터 무인기를 동원해 인공강우 ... ...
"얼룩말 줄무늬는 체온조절용"…서식지서 첫 실증 연구
연합뉴스
l
2019.06.16
친교, 물것 퇴치용 등 다양한 학설이 제기돼왔다. 1991년 나이로비
국립
공원 동물보육원에서 야생 얼룩말을 빗질해주는 장면. [스티븐 콥 제공] 논문 제1저자인 앨리슨은 "얼룩말이 체온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은 우리가 상상하는 것보다 더 현명하고 복잡하며, 훌륭하다"면서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