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사람"(으)로 총 19,299건 검색되었습니다.
- [통합과학 교과서] 아슬아슬 전선 위의 미션 블랙아웃을 막아라!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기록했을 정도예요. 그러나 앞으로 폭염이 계속 이어질 거란 예보가 나오면서, 많은 사람들이 블랙아웃을 걱정하고 있어요. 블랙아웃은 공급되는 전기보다 사용되는 전기의 양이 많아 발생하는 대규모 정전 사태를 말해요. 그렇다면 블랙아웃은 언제 어떻게 일어날까요?일단 전기는 발전소에서 ... ...
- 난민 신청자가 급증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정치적인 의견을 이유로 출신국에서 박해받을 우려가 있어 국제적인 보호가 필요한 사람) 8월 1일, 청와대는 난민법은 폐지할 수 없으나 난민 지위 심사를 엄격하게 하겠다고 답했어요. 이에 제주난민인권범도민위원회와 난민네트워크는 “난민과 난민 신청자 차별에 대한 대책이 없다”며, ... ...
- 점점 늘어나는 난민, 그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2540만 명이랍니다. 2015년, 핀란드 데이터 전문가 빌레 사리넨은 엄청난 난민 수에 비해 사람들이 심각성을 못 느낀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북아프리카와 중동에서 유럽으로 가는 난민을 한눈에 보여주는 지도 ‘유럽을 향한 물결’를 만들었지요. 지도는 난민 25명을 점 하나로 표시해 이동 경로를 ... ...
- 사건발생! 소년들은 왜 동굴에 고립되었나?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6호
- 고립되었던 건 독자 친구들과 비슷한 나이인 11~17살의 소년들이었어요. 사람들은 어린 소년들이 고립되었단 사실에 더욱 마음을 졸였지요. 소년들은 어떻게 동굴에 갇힌 걸까요? 고립 사건이 발생한 장소와 상황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해요. 지난 6월 23일, 태국의 유소년 ... ...
- [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수집해 얼마나 많은 사람이 어느 지역에 몰려 있는지 알아내요.이 자료를 통해 출국장에 사람이 몰릴 경우, 카운터를 더 운영할 수 있어요. 또 여행객들의 스마트폰으로 한산한 출국장과 최적의 경로를 공유할 수 있지요. 이러한 정보가 쌓여 빅데이터 분석을 하면 여행객이 몰리는 시기와 시간, 지역 ... ...
- Part 1. 폭풍 구름 위를 날다! 허리케인 헌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날만 비행하는 사람들“오늘 아침, 허리케인 헌터들이 열대성 폭풍 ‘크리스’ 속으로 날아갔어요.”지난 7월 8일, 미국 해양대기청 소셜 미디어에 허리케인 헌터들의 소식이 들려왔어요. 미국 노스캐롤라이나주 근처에서 열대성 폭풍이 만들어졌다는 소식을 들은 허리케인 헌터들이 항공기를 타고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코딩로봇으로 화재현장에서 대피하라! 뚜루뚜루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답니다.” 장에서 뚜루뚜루를 움직여 봤어요. 불을 피해 손전등과 손수건을 획득하고, 사람을 구해 탈출하는 미션이었지요. 미션을 마친 후, 이서현 기자는 “미션을 수행하다 보니 자연스레 코딩에 익숙해졌다”며, “다음엔 멜로디와 빛 등 뚜루뚜루의 다른 기능을 사용해 재밌는 미션을 해 ... ...
- [편리함] 로봇으로 공항 길찾기 완료!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있지요. 또 2023년이 되면 주차 로봇이 사람을 대신해 주차해 주고, 무인 면세점에서는 사람 대신 로봇이 여행객들의 쇼핑을 도울 전망이랍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활주로가 도넛 모양? 공항의 변신[보안] 심사와 검색을 한 번에![안전] IoT와 드론이 만나면 안전해진다![편리함] ... ...
- [특별 JOB 인터뷰 2] 잎새에 숨겨진 표정을 찾는 사람, 식물세밀화가 이소영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힘들어요. 예를 들어 흠집이 난 사과의 사진을 도감에 실으면, 사과를 처음 보는 사람들은 흠집이 사과의 특징이라고 착각할 수 있잖아요? 그래서 식물세밀화가는 같은 종의 식물 여러 포기를 보고 공통적인 특징을 찾아 그림을 그린답니다.” 화가인데 탐험도 한다고?화가는 작업실에서 홀로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따라잡기어린이과학동아 l2018년 15호
- 중동과 중앙아시아 지역에서 자라는 렌틸콩이라는 작물에서 비롯되었어요. 17세기 사람들은 빛을 모을 용도로 만든 볼록한 유리의 모습과, 렌틸콩의 양쪽으로 볼록하게 튀어나온 모습이 닮았다고 생각했어요. 그래서 이 유리 도구를 렌틸콩의 라틴어 이름인 ‘렌즈’로 부르기 시작한 것이죠 ... ...
이전40440540640740840941041141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