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에네르기
힘
활력
원기
기력
파워
energy
뉴스
"
에너지
"(으)로 총 7,15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공감미료와 설탕의 차이, 장기도 안다
과학동아
l
2020.05.06
내부에서 포도당의 흡수에 관여하는 단백질이다. 주커 교수는 “이번 연구로 뇌가
에너지
원인 설탕을 어떻게 알아차리는지 설명할 수 있게 됐다”며 “과도한 설탕 섭취를 줄이는 전략을 짜는 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4월 15일자 온라인판에 발표됐다. ... ...
태양 활동 또래 별의 5분의1 수준…지구 생명체 유지에 도움
연합뉴스
l
2020.05.04
해석될 수 있는 것으로 지적됐다. 태양의 자기 활동이 강해지면 흑점이 늘면서 고
에너지
하전 입자를 대량으로 쏟아내는 태양플레어(폭발)나 코로나질량방출(CME)이 잦아져 주변 행성에 피해를 주게 되며 생명체도 살 수 없게 된다. 독일 '막스 플랑크 태양계연구소'(MPS)의 천체물리학자 티모 ... ...
해남서 이달만 33번 지진...전문가 "정확한 발생위치 밝혀 큰 지진 올 지 분석해야"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지진이 일어나는 현상을 일컫는다”며 “각각의 지진이 발생하며
에너지
를 해소하고 그
에너지
가 또 다른 작은 지진을 유발하는 형태”라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군발지진은 보통 단층이 잘 발달돼 있는 곳에서 발생한다”며 “굉장히 얕은 깊이에서 발생하는 것도 특징”이라고 덧붙였다. 홍 ... ...
코로나19 병원 뚝딱 지은 비결? 엔지니어링 소프트웨어 BIM 덕분
동아사이언스
l
2020.05.04
반영해 도면을 수정하고 전개도 작성, 물량 산출 등을 미리 수행했다. 수술실과 고
에너지
가속기실을 배치할 때에도 활용했다. 건설 기간도 줄여서, 2012년 12월 첫 삽을 떠 약 3년 만인 2015년 10월 건설을 완료했다. 올 7월 개원을 앞둔 세종시 최초의 종합병원인 세종충남대병원에도 BIM이 활용됐다. ... ...
해수전지로 식수·전기 부족한 제3세계 아이들 돕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5.03
등장했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김차중 디자인 및 인간공학부 교수와 김영식
에너지
및화학공학부 교수 연구팀이 생활담수화 및 조명 기능을 지닌 제품 ‘아쿠아시스’를 공동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해수전지 기술과 디자인 작업이 결합한 이 제품 디자인은 지난 3월 ‘독일 iF 디자인 어워드 ... ...
비전임연구원 산업계 진출 지원 '키우리' 연구단 4곳 선정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극한물성 소재-초고부가 부품 KIURI 연구단’을 구성해 차량 구조 및 제어, 기능성 소재,
에너지
소재 등 자동차용 소재와 부품을 연구하며 관련 전문가를 양성한다. 포스텍은 ‘바이오 분자집게기술 연구단’을 구성해 압타머 등 표적 물질을 인식하는 분자집게 기술을 활용한 치료제와 ... ...
핵융합연·재료연 '연구원' 승격된다...정출연법 개정안 국회 통과
동아사이언스
l
2020.04.30
부설 국가핵융합연구소와 한국기계연구원 부설 재료연구소와를 각각 한국핵융합
에너지
연구원과 한국재료연구원으로 승격해 독립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2017년 법안이 발의됐지만 3년간 처리가 미뤄져 왔다. 20대 국회에서도 처리가 지지부진해 21대 국회로 공이 넘어갈 가능성이 점쳐졌지만, 3월 ... ...
[이덕환의 과학세상]당혹스러운 63대 36 논란
2020.04.29
탄소문화원 원장을 맡고 있다. 2012년 대한화학회 회장을 역임하고 과학기술‧교육‧
에너지
‧환경‧보건위생 등 사회문제에 관한 칼럼과 논문 2500편을 발표했다. 《같기도 하고, 아니 같기도 하고》 《거의 모든 것의 역사》를 번역했고 주요 저서로 《이덕환의 과학세상》이 있다. ... ...
늘어나고 쪼그라들면 색이 바뀐다…웨어러블기기용 변형 감지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0.04.28
알려주는 재료 기반의 변형 감지 센서를 개발했다. 변형을 측정하는 전자센서가 없어
에너지
가 필요없고 제조가 간단하며 직관적으로 변형을 할 수 있어 향후 웨어러블 장비나 부드럽게 움직이는 소프트로봇의 동작을 측정하는 데 활용될 것으로 기대를 모은다. 안성훈 서울대 기계공학부 ... ...
70년 난제로 남았던 '준-페르미 준위 분리 현상' 규명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0.04.27
비평형상태를 설명하는 ‘비평형 그린함수(NEGF)’ 방법이 전압이 가해진 상태에서의
에너지
준위를 계산하지 못하는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다공간 제한탐색 밀도 범함수론(MS-DFT)이라는 새로운 이론을 개발해 차세대 반도체 소자 후보군 중 하나인 단일분자 소자 속 나노미터(nm·10억분의 1m) ... ...
이전
403
404
405
406
407
408
409
410
4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