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정도"(으)로 총 15,438건 검색되었습니다.
- [Knowledge] 삶과 죽음이 함께 하는 공간 ‘시체농장’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진행된 적이 있는데 성별이나 몸무게 등 조건에 맞는 시신 20여 구를 모으기 위해 6개월 정도 기다리기도 했다. 법의인류학의 보물 창고시체농장은 미국의 법의인류학 발전을 위한 보물 창고 역할을 해왔다. 시신의 부패 과정을 이해하기 위해 시신 그 자체는 물론 곤충, 토양, 식물, 미생물 등 주변 ... ...
- [Tech & Fun] 셜록홈즈 ‘세 사람의 징후’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기준으로 체액을 제외한 순환 혈액량은 대략5~6L 정도입니다. 이 중 20%에 해당하는 1~1.5L정도의 혈액량만 빠져도 저혈량성쇼크(Hypovolemic shock)에 빠질 수 있죠. 하지만 모든 이들이 사망하는 건 아닙니다. 바로 병원의 치료를 받으면 충분히 정상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하지만 50% 이상, 2.5L 이상의 . ...
- [Career] 통신부터 국방까지, 일상을 지배하는 레이저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레이저를 이용하면 정확도가 훨씬 높습니다. 미사일은 속도가 음속의 7~8배, 즉 마하 7, 8 정도인데 레이저는 빛의 속도니까 날아오는 미사일을 놓칠 확률이 훨씬 적죠. 제가 이런 방어체계를 만드는 것은 아니고, 레이저 광원에 대해 연구합니다. 정확도를 높이기 위한 거죠.방준휘 광양자통신도 ... ...
- 과학수사대 ‘능력자들’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지뢰 때문에 다치거나 사망한 사람이 3678명이나 될 정도랍니다.그런데 몸무게가 1kg 정도 나가는 자그마한 영웅쥐가 아프리카의 탄자니아, 모잠비크, 그리고 아시아의 캄보디아 등지에서 후각만으로 약 6만 8380개의 지뢰를 찾아냈어요. 몸이 가벼운 덕분에 지뢰를 밟아도 안전하기 때문에 지뢰밭을 ... ...
- [수학동아클리닉] 제주 올레에서 만나는 수학이야기수학동아 l2016년 04호
- ‘지삿개 주상절리’라고도 부릅니다. 지삿개 주상절리는 높이가 30~40m, 폭이 약 1km 정도로 우리나라에서 최대 규모를 자랑합니다. 2004년 12월 27일에는 천연기념물 제443호로 지정돼 자연의 위대함과 절묘함을 동시에 느낄 수 있는 천혜의 자원으로 인정받기도 했지요.지삿개 주상절리에 가장 많은 ... ...
- [과학뉴스] 상어, 미래 산성 해양에서 살아남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각각 길렀다. 연구팀은 산란 후 10일부터 부화 후 30일까지 3일에 한 번씩 알의 발달 정도와 생존율, 아가미와 꼬리의 움직임 등을 관찰했다. 그 결과, 바닷물의 산성화에 따라 발달 상에 큰 차이는 없다는 게 밝혀졌다. 연구팀은 에퍼렛 상어의 성체를 대상으로 한 기존 연구에서도 해양의 산성화가 ... ...
- Part 1. 알파고가 우리에게 남긴 것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새로운 기보 수백만 개로 가치망을 만들었다. 인간 프로기사의 속도로는 1000년 이상 걸릴 정도로 엄청난 양이지만 이 모든 데이터의 뿌리는 결국 인간이다. 알파고끼리 대결을 펼친 것도 결국은 온라인 바둑 고수들의 기보를 바탕으로 한 것이다. 관건은 지금까지 바둑을 뒀던 사람들이 몇 천만 판을 ... ...
-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과학동아 l2016년 04호
- 조사했다. 그 결과, 어떤 지점에서 돌연변이가 출현할 비율은 그곳이 바람에 노출된 정도와 유의미한 관계가 있었다. 즉, 핵폐기물 소각장에서 날아온 바람을 직접적으로 받는 곳에서 돌연변이 노린재목 곤충이 많이 발견됐다. 그의 말에 따르면 곤충들은 그 지역의 환경 변화를 연구할 수 있는 생물 ... ...
- [Knowledge] 협력과 배신, 그 아슬아슬한 줄다리기과학동아 l2016년 04호
- 배신 덕분에(?) 나에게 돌아올 이득이 아주 크다면 상대방에게 옥시토신을 뿌리는 것 정도야 일도 아니죠.동물은 모두 합리적이고 매우 이기적입니다. 스스로의 안위와 관련된 일이라면 크든 작든 최대한의 이익을 얻는 방향으로 행동하기 마련이죠. 이를 옳거나 그르다고 판단할 수는 없습니다.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한밤중에 벌어진 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6년 03호
- 라배파투스’라는 학명을 붙였어요. 현재 체내수정을 하는 개구리는 10여 종 정도로 알려졌어요.한편, 체외수정을 하는 개구리 중에는 특이하게 새끼를 키우는 개구리들이 있어요. 보통 알에서 올챙이가 깨어나면 알아서 포식자를 피하며 살아남아 개구리로 성장해요. 그런데 어떤 개구리들은 ... ...
이전4034044054064074084094104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