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안"(으)로 총 12,286건 검색되었습니다.
- 멸종 위기의 지구생물을 지켜라! 생물다양성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알려진 무환자나무 열매를 이용해 천연비누를, 남아프리카 원주민인 산족이 오랫동안 사냥할 때 배고픔을 잊으려고 먹던 선인장 후디아를 이용해 식욕억제제를, 중국에서 향신료로 사용하던 팔각에서 추출한 물질로 인플루엔자 치료제인 타미플루를 개발했지. 1981년에서 2006년까지 신약의 48%를 ... ...
- 지구사랑탐사대의 땀이 결실을 맺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동물을 탐사했지요.탐사대원들은 수원청개구리가 어디에 살고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그동안 전국에서 수원청개구리가 발견되었던 70개 지역을 탐사했어요. 논이나 밭, 습지, 숲, 공원 등에서 개구리를 발견하면 사진과 동영상을 찍고 울음소리를 녹음해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앱에 올려 탐사 기록을 ... ...
- 여치의 노래를 잘 들을 수 없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잘 들을 수 있지만 여치의 노래는 그렇지 못하답니다. 헤르츠(㎐)★진동수의 단위로 1초 동안 진동하는 횟수. 독일의 물리학자 헤르츠(Hertz, 1857~1894)의 이름을 땄다.몸집이 작은 곤충은 소리의 방향을 알기 어려워요소리를 이용하여 의사소통하는 동물은 대개 귀가 두 개 있어요. 그 이유는 소리가 ... ...
- 너무 빨리 자라면 병? 성조숙증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20호
- 주사한 뒤 성호르몬의 변화를 보는 검사로 일정한 시간 동안 성호르몬의 농도가 어떻게 변하는지 관찰하는 것이란다. 이 검사를 통해 치료가 효과가 있을 것인지도 판단할 수 있다고 해.필요한 경우 골반을 초음파로 검사하거나 뇌를 MRI(자기공명영상) 촬영하기도 한대. 검사가 무척 복잡해 보이지만 ... ...
- 빈틈없는 유격훈련 조교 ‘대충하지 마림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자신감 있는 모습을 알리고, 군인들에게 사기를 올려 주려고 지정한 날이다. 한국전쟁 동안 밀려있던 우리 국군이 38선을 넘어 반격한 날이 1950년 10월 1일이었기때문에 그 날을 국군의 날로 정했다. 썰렁홈즈는 국군의 날의 뜻을 기리기 위해 일일 병영체험으로 ‘살벌썰렁한 유격훈련’에 ... ...
- 세상에서 가장 신나는 어린이과학동아 10살 생일파티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9호
- 것이지요. 이 때 시대를 대표하는 인물을 정해야 하는데 단번에 뉴턴으로 결정했어요. 그동안 어과동의 ‘과학자 VS 과학자’를 보면서 가장 기억에 남는 인물이었거든요. 과학자이면서 연금술사였던 뉴턴에 친구들도 관심을 가졌고, 많은 공부와 자료 조사로 쓴 대본으로 당당히 은상을 받았지요. ... ...
- 화성에서 발견된 동물 다리뼈?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케이프 커내버럴 공군기지를 떠나 약 8개월 만인 2012년 8월 6일에 화성에 도착했어요. 2년 동안 화성에 생명체가 살았던 흔적이 있는지 살펴보는 엄청난 미션을 가지고 말이죠! ‘호기심’이라는 뜻의 이름을 가진 만큼 화성에 대한 호기심과 관심이 엄청나답니다. 화성에서 지내면서 기온이나 습도, ... ...
-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시켜드려야 할지도 모르겠어, 하하하!지금까지 쌍둥이의 다른 점을 알아봤어. 그동안 이란성 쌍둥이만 다르다고 생각했는데 일란성 쌍둥이도 다른 점이 참 많다니 신기하다, 그치? 그것 봐~, 자세히 보면 우리도 분명 구별할 수 있을 정도로 다르다고 했잖아(했잖아~)! 친구들이 우리를 늘 헷갈려 ... ...
- [교과연계수업] 같은 듯 다른 우리는 쌍둥이!안녕하세요. 디사이언스입니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8호
- 뒤 만들어지기 때문에 일란성 쌍둥이도 다르다. 지문태아가 엄마 뱃속에서 자라는 동안 손가락 피부가 만들어질 때 생기는 주름이다. 그러나 두 태아가 받는 힘이 완전히 똑같지 않기 때문에 주름이 다르게 만들어진다. 정맥일란성 쌍둥이도 정맥의 형태가 다르며 같은 사람이라도 10개 손가락의 ... ...
- 재밌는 수학으로 한여름을 물들인 2014 서울세계수학자대회어린이과학동아 l2014년 17호
- 국제수학자대회 개최가 중국을 미국 다음의 수학 강국으로 바꾼 셈이야.최근 30년 동안 우리나라 수학 수준도 급격하게 발전했어. 1981년 국제수학연맹 가입 당시에는 국제학술지 발표 수학 논문이 1년에 3편 수준이었지만 지금은 1000편 이상으로 세계 11위 수준이거든. 하지만 질적인 면에서는 아직 ... ...
이전40140240340440540640740840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