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영
제로
d라이브러리
"
0
"(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학에 뿌리 둔 관심법 심리학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198
0
년대 말 인간의 뇌를 21세기 인류가 정복해야 할 소우주로 정의하고 정부가 199
0
년부터 막대한 예산을 들여 뇌에 대한 연구를 지원해오고 있다. 최근 우리나라 과학기술부에서도 뇌과학의 중요성을 인식해 국책연구로 지정하고 1998년부터 뇌과학 연구센터를 열고 심리학, 신경생물학, 전자공학, ... ...
Ⅰ 노벨상 Best3 vs Worst3 : 물리학 - 상대론 빠진 수상, 그래도 아인슈타인 최고
과학동아
l
2001년 11호
65% 정도가 진공에너지라는 주장이 최근 몇년 동안의 관측을 토대로 설득력을 얻고 있다. 2
0
세기 초에 진공은 ‘에테르’(ether, 빛을 전파하는 매질로 생각됐던 가상의 물질)로 꽉 차있다는 그런 생각과 엇비슷한 이야기가 설득력을 얻고 있는 것이다. 이를 토대로 상대론에 버금가는 새로운 이론이 ... ...
로봇 이용 대륙간 원격수술 성공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연구진에 따르면 환자의 안전을 위한 원격수술 영상의 최소 전송 시간간격은
0
.33초이다. 이번 수술의 경우 ‘프랑스 텔레콤’의 최신 기술을 이용해 원격조종을 한 후
0
.155초만에 수술진의 비디오 화면에 수술로봇이 이 움직임을 그대로 실행하는 모습이 나타났다.이번 원격수술은 1927년 대서양 ... ...
국내 연구팀 선보인 꿈의 나노선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m) 굵기의 나노선을 개발하는데 성공했다. 이 논문은 미국의 과학학술지인 ‘사이언스’ 1
0
월 12일자에 발표된다.사이언스지의 특별 대우김교수팀이 개발한 나노선이 얼마나 획기적이었는지는 사이언스지가 보여준 행동을 보면 쉽게 짐작할 수 있다. 영국의 ‘네이처’와 함께 세계 최고의 ... ...
② 비행기 한대로 무너진 세계무역센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현실적이지 못하다. 오히려 이런 참사를 막는 일이 최선이라 할 수 있다.일부에서는 1백1
0
층처럼 높은 건물을 또다시 지을 필요가 있느냐는 의문을 제기하기도 했다. 건물이 붕괴되는데 원인을 제공한 요인은 화재였지만, 엄청난 에너지를 발생시키는데는 초고층건물의 덩치(무게)가 가장 큰 역할을 ... ...
갈증에만 의존해 물 마시면 위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체중을 줄이려고 운동을 하는데 땀을 많이 흘리지 않은 상태라면 굳이 1백mL당 약 2
0
-3
0
kcal나 되는 스포츠음료를 많이 마실 필요가 없기 때문이다. 또 칼륨, 칼슘 같은 몸에 필요한 영양소는 스포츠음료보다 오렌지주스와 같은 천연과일주스에 훨씬 많다. 따라서 평소에는 과일주스를 마시는 것이 더 ... ...
유리잔으로 물질 밀도 알아맞추기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부으면 액체 탑을 쌓을 수 있다. 여기에서 이용한 액체의 밀도는 글리세린(1.26g/mL) > 물 (1.
0
g/mL) > 식용유(
0
.9g/mL) > 에탄올(
0
.79g/mL) 순이다.방울토마토와 같은 작은 물체를 액체 탑에 넣으면, 물체의 밀도에 따라 적당한 위치에 머무른다. 이를 이용해 물체의 밀도를 대략 알아낼 수 있다 ...
1
0
월 8일 새벽 토성이 달 뒤로 사라진다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있지만 엄밀히 따진다면 이날의 달은 보름달이 아니다. 실제 달은 1
0
월 2일 정확히 밤 1
0
시에 보름달이 된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는 추석 보름달은 보름달이 되기 약 하루 전에 다소 일그러진 둥근 달이다. 이처럼 음력날짜와 실제 달의 월령과는 약간의 차이가 발생할 수 있다.이번 보름달은 ... ...
가을비처럼 쏟아지는 별똥별 잔치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만날 수 있다. 희미하고 빨리 떨어지긴 해도 하늘이 아주 깨끗한 곳에서는 1시간에 3
0
개 가량 볼 수 있다. 유성의 색깔이 여러가지인 것이 특징이다. 다채로운 별똥별을 바라보며 마음 깊이 간직한 소원을 빌어보자. 별똥별 관측은 이렇게째깍…째깍…. 움직이는 시계 초침을 주의깊게 보면 1초가 꽤 ... ...
왜 물리학자는 암흑 속으로 파고들까
과학동아
l
2001년 10호
위치하고 있다. 청평댐의 물을 끌어 올려 상부 저수지인 호명호에 저장하며 발전용량은 4
0
메가와트다. 발전을 위해 지하 4백m 깊이에 발전시설을 갖추고 있다. 발전시설을 위해 건설한 터널의 내부는 윔프 탐색 실험을 위한 좋은 조건을 갖추고 있다. 발전소 측은 특별한 배려로 윔프 탐색 실험을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