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0"(으)로 총 5,772건 검색되었습니다.
- 01 황사와 산성비 없애는 차세대 발전소과학동아 l2001년 12호
- 핵융합 발전로의 초고온 플라스마 벽면 소재 엔지니어링을 담당하던 임기학 과장은 10년 전에 일찌감치 회사를 차려 핵융합 발전소 플라스마 벽면 재료를 생산해 납품해오고 있다. 이뿐만 아니라 요즈음은 한국 우주항공청에 로켓 분사구용 초고온 벽면 소재를 납품하고 있다. 핵융합 발전소의 ...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 ② 몸에 존재하는 자연산 슈퍼컴 DNA컴퓨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일반 컴퓨터에 비해 훨씬 작은 에너지를 소비한다. 슈퍼컴퓨터는 1J의 에너지로 1010개의 정보를 처리하지만, DNA컴퓨터는 2×1019개의 계산을 할 수 있다. 또한 크기면에서 DNA컴퓨터는 큰 매력을 가진다. 나노미터(10-9m) 크기의 DNA 분자와 중합효소, 반응액 등을 모두 합쳐도 컴퓨터의 핵심부품 ...
- 1백년만에 대규모 별똥별 퍼붓다과학동아 l2001년 12호
- 떨어졌나사자자리 유성우는 매년 11월 중순에 별똥별을 뿌린다. 보통 때는 시간당 10개 정도 떨어진다. 하지만 33년마다 대규모 별똥별이 쏟아질 때가 있다. 역사적으로는 1833년, 1901년, 1966년에 유성 폭풍이 몰아쳤다.왜 그럴까. 이것은 33년 주기로 태양에 접근하는 템펠-터틀 혜성과 관련된다. 이 ... ...
- 겨울을 녹이는 따뜻한 차 이야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중의 하나인 우리나라는 오늘날 다른 나라에 비해 적은 양을 마신다. 우리나라 국민은 20일만에 겨우 한잔의 차를 마시고 있다.전통적으로 구미인들은 거의 대부분 홍차를 마신다. 홍차에 비해 녹차의 소비량이 극히 미미한 미국의 경우, 1999년의 녹차와 녹차추출물의 소비량이 전년 대비 무려 1000%나 ... ...
- Ⅰ 디지털 르네상스 주도할 쌍두마차 ① 원자세계 신출귀몰한 조화 양자컴퓨터과학동아 l2001년 12호
- 고전컴퓨터의 제작원리가 됐던 고전적 물리현상이 더 이상 잘 맞지 않기 때문이다. 2020년까지 갈 것도 없이 벌써 메모리칩 제조회사에서는 양자현상 때문에 용량을 늘이기에 골머리를 앓고 있으며, 이 분야 연구자들의 관심은 어떻게 해서든지 양자현상을 제거하려는 것이다. 그런데 양자컴퓨터는 ... ...
- 생생 화질, 입체 음향 디지털방송과학동아 l2001년 11호
- 32-36인치는 일반 브라운관 방식이, 42-65인치까지는 프로젝션TV 방식이, 그 이상의 80-1백20인치 크기는 LCD나 DLP 방식의 프로젝터가 주로 사용된다. 보통 아날로그TV는 화면이 커지면 커질수록 화면이 거칠어지고 주사선이 보이는 등의 원치 않는 현상이 나타나지만, HDTV의 경우 오히려 화면의 크기가 ... ...
- 대규모 유성비 11월 19일 새벽에 쏟아진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1933년에는 시간당 수백개 정도로 신통치 않았다. 다시 33년이 지난 1966년 시간당 10만개에 이르는 엄청난 유성비를 퍼부었다. 그리고 1998년과 1999년 시간당 약 3천개의 대규모 유성비가 뿌려졌다.그렇다면 사자자리 유성우는 왜 33년마다 특이한 행보를 보이는 것일까? 템펠-터틀 혜성이 약 33년에 ... ...
- 문화재의 영생 과학으로 구현한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결과물이라야 그 가치가 빛나는 법. 이런 전체 보존처리과정은 짧더라도 몇달, 길게는 10여년의 기간을 필요로 하는 엄청난 작업이다.비록 완벽하진 않더라도 과거의 모습을 되찾은 금동관을 보니 흐뭇한 기분이 든다. 굳이 말하지 않아도 과학의 힘이 생생하게 밀려드는 순간이다.목재 수분 빼내고 ... ...
- 영화관의 감동 거실에서 만끽한다과학동아 l2001년 11호
- 펜티엄 II 3백50MHz급 이상이면 충분하다. 비디오카드는 비디오 메모리 32MB 이상, RAMDAC 1백50MHz 이상의 제품이면 무난하다. 최근에는 ATI의 Radeon 카드가 인기를 끌고 있다. 색감이 우수하고 지원하는 해상도, 출력단자와 번들 소프트웨어 등이 HTPC를 정통으로 겨냥해 출시된 제품이기 때문이다.이 제품이 . ...
- 01 암과의 전쟁 5세대 선두주자 유전자치료과학동아 l2001년 11호
- 아직 임상실험 단계에서 그 가능성을 타진하고 있는 초기단계다. 지난 10여년간의 임상연구에서 문제점도 많이 발견됐다. 1999년 9월 미국 펜실베이니아대에서 유전자치료를 받은 환자가 사망해 안전성에 문제가 제기되면서 ‘유전자치료가 과연 기존의 치료법을 능가할 수 있는가’하는 의구심이 ... ...
이전39940040140240340440540640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