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양초
사초
모래톱
촛불
식초
kyaw
d라이브러리
"
초
"(으)로 총 5,853건 검색되었습니다.
2. 쓰레기로 몸살 앓는 우주공간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인공위성이든, 아니면 인공위성을 우주에 발사하면서 발생한 쓰레기든 모두 최소한
초
속 7.9km 이상의 빠른 속도로 이리저리 날아다니고 있기 때문에 더욱 큰 문제다.앞으로 이런 우주쓰레기들은 우주여행을 하는데도 큰 골칫거리 중 하나가 될 것이다. 미국의 우주왕복선 중 하나는 실제로 우주비행 ... ...
목소리로 컴퓨터와 대화하는 시대 꿈꾼다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부산 LG 청소년과학관에 활용됐다. 다름아닌‘사이버 강아지
초
롱이’코너.
초
롱이는 모니터상에서 구현되는 사이버 강아지로, 청중이 둘러싼 시끄러운 상황 속에서 도우미의 말만을 분별해 들을 수 있을 정도로 똑똑하다. 이것이 가능한 이유는 인식해야 할 음성이 여러 종류의 잡음과 섞여 있을 때 ... ...
서양의 오리온은 발목 삔 아가씨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별들이 모인 모습이란 사실은 1610년 이탈리아의 천문학자인 갈릴레오 갈릴레이가 인류 최
초
로 천체망원경을 만들어서 알아냈다. 플레이아데스가 뿌옇게 보이는 까닭은 밝은 별들이 한곳에 모여 있는데다가 그 주변에 가스가 조금 있기 때문이다.좀생이라는 우리 이름이 있다면 우리 별자리 전설도 ... ...
유산균 시장의 아우토반 쎌바이오텍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바탕으로 자사의 상표를 부착할 새로운 상품을 개발해 왔다고 한다. 그 결과 지난해
초
천연 송이버섯 균사체의 인공배양에도 성공했다. 송이버섯은 그동안 인공양식이 거의 불가능하다는 게 정설이었는데, 쎌바이오텍이 30년이 걸리는 균사체 형성기간을 인공적으로 배양해 15일만에 균사체를 ... ...
2. 인터페이스 첨단연구의 현장 MIT 미디어랩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향해그럼 과연 디지털을 넘어선 ‘인간 인터페이스 혁명’이란 무엇일까. 1990년대
초
반 앞선 기술을 바탕으로 한 빠른 속도의 중앙처리장치(CPU)와 램(RAM)을 개발했다. 중반부터는 다양한 미디어 기술의 집적과 네트워크 구현을 통한 콘텐츠 개발로 이어졌다. 앞으로 진행될 디지털 시대는 그러한 ... ...
2001년 뜨는 멀티즌 지는 네티즌
과학동아
l
2001년 02호
소니사의 핸드헬드 PC ‘클리에’에서 상영하는데 무리가 없도록, 영화의 길이는 4분,
초
당 12프레임을 넘지 않게 제작됐다.국내통신업계도 발빠르게 멀티즌 시대에 맞는 서비스들을 강화하고 있다. 유니텔은 1월13일 ‘PC통신이 아닌 영상통신 시대’를 선포했다. 영상 문서공유 파일전송 등의 기능을 ... ...
2. 지구 위협하는 블랙리스트 300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여러명의 관측자가 여러해 동안 각각 발견한 천체가 동일 소행성으로 판명되는 경우, 최
초
발견자에게 명명권이 주어진다.대상 천체의 이름이 최종 확정되면 MPC에서 발행하는 소행성회람을 통해 소행성 발견 사실이 공식화된다 ... ...
분단 이후 북한의 과학문화유산 연구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실지 경험에 입학한 치료법으로 실용성이 높았다’고 평가하면서도, ‘아직 과학적 기
초
위에서 이루어지지 못했다’고 문제를 제기한다. 특히 전통의 과학기술유산 가운데 음양오행설은 과학적이지 못하다고 비판받았다.한편 1980년대는 ‘조선전사’나 ‘이조실록’의 완역이라는 역사학계의 ... ...
쇼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카트에 던져 놓고 손님은 계산대쪽 선반 끝에 다가온다. 이쯤에서 바로 옆 선반의 맛있는
초
콜릿이 눈에 뜨인다. 그걸 한번 자세히 보려고 카트의 방향을 180도 틀면 이제는 경사가 낮아지는 방향이다. 쇼핑카트는 저절로 다시 계산대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미끄러져 굴러갈 만하다. 손님은 ... ...
한낮에 흑점 관측하는 요령
과학동아
l
2001년 01호
달라질 수 있다. 즉 상황에 따라 상대적 값이 얻어지므로 상대흑점수라는 이름이 붙었다.
초
보자일 경우 k값은 1로 한다.상대흑점수 = [ ( 흑점군 X 10 ) + 개개 흑점의 수 ] X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