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단
방식
방책
양식
조치
방안
계획
d라이브러리
"
방법
"(으)로 총 12,960건 검색되었습니다.
내 눈이 뿔났다! 시력의 비밀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5호
그래서 과학자들은 인공망막의 여러 장치를 신체 내부와 외부로 나눠서 설치하는
방법
을 연구하고 있어요.다양한 인공망막 중 가장 널리 알려진 것은 ‘아르구스2’예요. 아르구스2는 카메라가 찍은 이미지를 전기신호로 바꾼 뒤, 망막에 이식한 전극판이 망막세포를 자극하면 뇌에서 이 신호를 ... ...
Part 3. 마르둑 신이 있는 목성을 찾아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로 나타내는데, 자연수와 소수점 사이의 자리를 구분할 때만 ‘;’을 이용한다. 이런
방법
으로 구한 목성의 전체 이동 거리는 16;15°이다. 10진법으로 바꾸면 120일간 목성은 16.25°만큼 이동했다. 연구를 이끈 독일 홈보트대 고대과학사학과 오센드리버 교수는 점토판에 그래프로 표현돼 있지는 ... ...
[소프트웨어] 신선한 채소가 매주 집으로! ‘만나CEA’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싶어 농업을 시작했다는 전 대표와 잘 어울리는 이름 같았다.만나CEA가 채소를 키우는
방법
도 이름만큼 독특하다. 이곳에서는 씨앗을 작은 화분에 심고 뿌리가 물에 닿게 하는 수경재배 방식을 쓴다. 수경재배를 하는 많은 농가에서 뿌리에 영양을 공급하기 위해 인공비료를 녹인 물을 쓰는데, ... ...
[재미] 제18회 전국학생통계활용대회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이것은 친구들의 다양한 단어 암기법을 조사해 단어를 재미있고 빠르게 외울 수 있는
방법
을 공유하자는 취지에서 선정한 주제다.다음으로 구체적인 계획을 세우고 관련 자료를 수집해야 한다. 직접 설문조사를 하거나 실험을 해보는 것이다. 자료가 모이면 이를 직접 혹은 컴퓨터 프로그램을 ... ...
[수학동아클리닉]초등_다시 보는 원주율과 원의 넓이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작은 n개의 기본 도형으로 세분하여, 그 도형의 넓이 또는 부피의 근삿값을 구하는
방법
입니다. 다음은 원을 잘게 잘라 평행사변형이 직사각형이 될 때까지 한없이 잘라 붙여 원의 넓이를 구하는 구분구적법의 한 예입니다 ... ...
[수학동아클리닉] 중등_여러 나라 숫자로 수학시계 만들기
수학동아
l
2016년 05호
과학은 아주 높은 수준이었다. 가장 큰 업적은 큰 수를 표현하는
방법
과 0을 나타내는
방법
을 개발한 것이다. 마야 숫자는 20진법을 기반으로 했다.수의 역사를 통해 정수와 유리수 체계를 배운 뒤, 과거 다양한 문명에서 등장한 숫자를 소개하고 직접 써보도록 한다. 여러 나라 숫자를 써 보면서 인도 ... ...
PART 2 "젊은 연구자들에게 기회를"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높이고 젊은 연구자들의 처우를 개선하는 길이다.박사급연구자 고용을 늘리는 추가적인
방법
이 있다. 조성민 독일 막스플랑크 고분자연구소 박사후연구원은 “대학서열 완화”를 꼽았다. “한국은 극단적인 대학서열화 때문에 연구비가 최상위 5개 대학에 과도하게 몰려있습니다. 여기서 만들 수 ... ...
Part 4. 숨을 불어 넣어 다시 태어난 합성생물들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바이오합성연구센터장은 “효능을 가진 물질이 발견될 때마다 재배면적을 늘리는
방법
으로 수요를 충족시킬 수는 없다”며 “하나의 사례로 합성생물학의 한계를 말할 수는 없다”고 말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미지의 생명을 설계하다, 디자인 생물학Part 1. 최소유전자로 디자인 ... ...
[Knowledge] 저와 대화해 볼래요?
과학동아
l
2016년 05호
패터슨 박사는 코코 앞에서 항상 수화를 사용하면서 같은 뜻의 영어 단어를 들려주는
방법
으로 훈련했다.실험 초기엔 코코는 아주 쉬운 단어를 익히는 것도 힘들어 했다. 하지만 어린 아이가 말문이 한번 트이면 무서운 속도로 다양한 말을 쉽게 배우는 것처럼, 어느 순간부터 코코가 수화를 ... ...
[지식] 최도훈 교수
수학동아
l
2016년 04호
대등하게 기여한다고 봐요.모범답안이 없는데 연구를 잘하고 있는지 확인할 수 있는
방법
이 있나요?이건 정말 어려운 문제인 것 같아요. 중국의 수학자 이탕 장은 쌍둥이 소수에 관해서 평생 꾸준히 연구하다 결국 풀었어요. 만약 ‘내가 잘하고 있는 건가?’라고 생각하고 중간에 멈춰버렸다면 ... ...
이전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4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