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뉴스
"
학과
"(으)로 총 4,846건 검색되었습니다.
주요大 정시 예상 합격선도 줄줄이 하락
동아일보
l
2015.11.16
합격선이 392∼400점에서 형성됐던 것과 비교하면 크게 떨어진 셈이다. 다른 상위권
학과
들의 예상 합격선도 일제히 낮아졌다. 이는 지난해 수학 B형이 만점을 받아야만 1등급을 받을 정도로 너무 쉽게 출제되는 바람에 합격선이 대폭 뛰었던 것에 대한 반작용 성격이 강하다. ○ 입시전략 수립에 ... ...
이준식 출제위원장 “오류 재발 방지… 문항점검위 첫 가동”
동아일보
l
2015.11.13
[2016학년도 대입 수능] 이준식 대학수학능력시험 출제위원장(61·성균관대 중어중문
학과
교수·사진)은 12일 정부세종청사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지난해와 같이 쉬운 수능 기조를 유지했다”며 “(수능이 쉬우면) 만점자가 너무 많아진다는 우려가 있다는 것을 알지만 만점자를 줄이기 위한 ... ...
정시모집 정원 줄어 경쟁 치열… 영역별 가중치 잘 따져야
동아일보
l
2015.11.13
응시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수능 가채점 결과를 보고 정시 전형에 지원할 수 있는 대
학과
수능 이후 대학별 고사를 봐야 하는 수시 지원 대학을 비교해 대학별 고사 응시 여부를 결정하는 게 좋다. 예상 점수가 기대만큼 나오지 않아 정시에서 자신이 원하는 대학에 합격하기 어렵다고 판단되면 이미 ... ...
구술면접 잘 보려면 실전처럼 리허설 해봐야
동아일보
l
2015.11.12
수
학과
과학의 기본 개념과 원리를 정확하게 이해하고 임해야 한다. 본인이 지원한 대
학과
전공의 기출 문제를 통해 자주 출제되는 주제를 분석하고 정리해 두어야 한다. 수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과학적 개념을 물어보거나, 과학 문제 풀이 과정에서 수학적 원리를 물어볼 수 있기 때문에 영역을 ... ...
[신나는 공부] 꿈을 포기하지마? “포기하세요. 그리고 다시 찾으세요”
동아일보
l
2015.11.10
짓이 아닌가 생각했지요.”(신 씨) 뒤늦게 공부에 열중한 신 씨는 미국 하버드대 심리
학과
에 입학했다. 이후 물리학자를 꿈꿨지만 뛰어난 인재들 사이에서 자신은 경쟁력이 없을 것이라 생각해 꿈을 포기하고 의사로 진로를 바꿨다. 하지만 시각장애로 환자의 혈색, 표정 등을 보고 진단하는데 ... ...
로봇 하녀를 발로 차는 건 잔인한 행동일까
2015.11.08
뇌과학을 연구해온 세계적 석학 마이클 가자니가(75) 미국 산타바바라 캘리포니아대 심리
학과
교수다. 이 책은 가자니가의 이름을 사회 전반에 알린 대표적인 저서로 꼽힌다. 출간 이후 신경과학 연구자들뿐 아니라 철학자, 정치인, 사회학자들에게도 필독서로 자리매김하며 화제를 모았다. ... ...
걸그룹 브아걸 입에서 나온 말이 '힉스' '웜홀' '프랙탈'?
2015.11.06
물리학이 모티브로 쓰인 것 같다”라며 “젊은 세대가 즐겨 듣는 팟캐스트에서도 최근 과
학과
관련된 콘텐츠의 인기가 크게 늘고 있다”라고 말했다. ... ...
반(反)물질끼리 충돌하면 어떻게 되나
2015.11.05
사실을 실험으로 처음 입증했다고 4일 밝혔다. 이번 연구에는 유인권 부산대 물리
학과
교수와 오근수 부산대 연구원, 노서영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 대용량데이터허브실장과 안상언 선임연구원도 한국 대표팀으로 참여했다. 양극을 띤 양성자가 한 원자핵 안에서 서로 밀어내지 않고 ... ...
원자 한 층, 세상에서 가장 얇은 ‘그래핀 포장지’
2015.11.04
층 두께로 세상에서 가장 얇은 ‘그래핀 포장지’를 개발했다. 안종렬 성균관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0.2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두께의 그래핀으로 3차원 구조의 실리콘 기판을 완벽하게 코팅하는 기술을 세계 최초로 개발했다고 3일 밝혔다. 옆으로 이어 붙이던 전자소자를 위로 쌓아 ... ...
검은 인, 흑린(黑燐)의 변신
2015.11.03
최원국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책임연구원, 황도경 선임연구원팀과 임성일 연세대 물리
학과
교수팀은 공동으로 흑린 원자막 소재를 이용해 안정적인 메모리 소자를 제작해 ‘ACS 나노’ 10월 27일 자 온라인 판에 발표했다. 이영택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박사(왼쪽)와 황도영 선임연구원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