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분
워터
용수
경수
수질
액체
용액
d라이브러리
"
물
"(으)로 총 7,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육종기술이 바꾼 풍성한 우리 식탁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바이러스가 다음 세대에 전달돼 또 병이 생긴다.지난해 국립식량과학원 두류유지작
물
과 문중경 박사팀은 이 병에 강한 새로운 품종 ‘신화콩’을 개발했다. 우리나라 재래종 콩에서 콩모자이크바이러스에 강한 유전자(Rsv1)를 찾아내 소원콩에 삽입한 품종이다. 신화콩은 이 병에 대한 저항성을 ... ...
열 오른 지구의 신음을 보라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인한 피해를 가장 크게 당하고 있다. 해수면이 상승하면서 투발루의 산호섬 9개가
물
에 잠기고 있기 때문이다. 투발루에 살고 있는 주민 1만 명은 삶의 터전을 잃을 위험에 처해 있으며 일부는 이미 뉴질랜드로 이주했다.산업 개발과 무관하지만 기후변화의 영향을 받는 곳은 사실 상황이 더욱 ... ...
1박 2일 캠핑의 과학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날씨 : 갬누워 있다가 깜빡 잠이 들었다. 어느새 비는 그쳤고 비를 뿌렸던 먹구름도 모두
물
러갔다. 이미 밖은 칠흙같이 어두워졌다. 갑자기 허기가 진다. 이때 어디선가 맛있는 냄새가 풍겨왔다. 아저씨가 가족들과 함께 가솔린 스토브로 야식을 만들고 있었다. “가솔린은 계절이나 날씨, 습도에 ... ...
“아라온 호, 극지 심해서 자원 확보한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살아남는 미생
물
이 있어요. 연구자들은 이 미생
물
에서 신약 개발에 쓰일 특이한
물
질을 발견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실제로 최근 전 세계에서 이 연구에 많은 시선이 쏠리고 있어요.”한국은 열수분출구에 대한 탐사와 연구를 미국 우즈홀해양연구소와 공동으로 진행할 예정이다. 극지와 ... ...
비버 선생의 건축 비법 건툴의 달인을 찾아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08호
이제 동
물
이 멋을 모른다는 말은 하지 말아 주세요. 사실 굳이 멋을 내지 않아도 동
물
의 건축은 자연 그대로 아름답답니다.이제 안심하고 이 비버 건축가에게 의뢰해 주세요. 자연을 파괴하지 않으면서도 편안하고 안전하고 아름다운 집을 지어 드릴 테니까요.얘기해 보세요. 손님이 꿈꾸는 집은 ... ...
한반도 아열대화 사실인가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비를 내리면 수분량이 줄어 빗줄기가 약해진다. 또 다시 많은 비를 뿌리려면 남해상으로
물
러나 수증기를 머금은 뒤 북상해야 하기 때문에 다소 시간이 걸렸다. 하지만 올해는 짧은 시간에 많은 비를 뿌린 뒤 하루나 이틀 뒤 다른 지역으로 이동해 많은 비를 폭탄처럼 ‘투하하는’ 일을 반복했다 ... ...
버려진 TV서 인체조직 재생
물
질 ‘쪽쪽’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그 뒤 에탄올로 세척했다. 이 같은 공정을 거친 PVA는 인간 면역체계를 자극하지 않는
물
질로 재탄생했다.연구팀에 따르면 LCD 패널이 시장에 선보인 뒤 이미 25억 개가 버려졌다. 디스플레이시장에서 사용량이 확대되고 있는 LCD 패널은 폐기되는 양도 계속 늘어날 것으로 과학기술계는 전망한다. ... ...
오줌으로 가는 자동차 나올까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이다.보테 교수는 “요소를 전기분해할 때 드는 전압은
물
을 전기분해할 때 드는 전압(1.23V)의 3분의 1수준인 0.37V”라며“이 방법을 이용하면 연료로 쓸 수소기체를 값싸게 생산할 수 있다”고 말했다.
물
분자를 구성하는 수소원자는 결합력이 강해 분리하기 쉽지 ... ...
A형간염 왜 더 독해졌나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A형간염 바이러스는 세포에 감염돼도 세포질에 머
물
러 있지만 B형간염 바이러스는 유전
물
질이 들어 있는 핵 속까지 파고들어 간다. 이런 이유 때문에 B형간염 바이러스를 죽이는 게 A형간염 바이러스보다 더 어렵다.B형간염 바이러스 때문에 생기는 골치 아픈 문제가 하나 더 있다. 바로 D형간염이다. ... ...
“기후변화요? 히말라야 오르면 보입니다!”
과학동아
l
2009년 08호
불행하게도 그 손길은 자연에 위협이 되고 있다. 인간의 짐을 나르고 있는 사진 속 동
물
은 야크다.문에 자연이 몸살을 앓고 있다는 사실쯤은 이제 어린아이도 다 안다. 지구온난화나 기후변화 같은 말도 너무나 익숙해졌다. 그러나 엄 대장은 “그저 사진이나 데이터로만 보는 것과 실제 경험하는 건 ... ...
이전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4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