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d라이브러리
"
학과
"(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2) 엔트로피와 화석이 창조론을 지지한다
과학동아
l
1991년 07호
"확률적으로 볼 때 단백질 하나도 우연히 생기기 어려운데…" - 창조론의 입장사람은 어디에서 왔고 동식물이 어떻게 생겨났으며 지구 해 별 등 우주의 궁극적 기원은 무엇일까. 대부분의 사람들이 일생을 통해 한번쯤은 직면하게 되는 문제다.생명의 기원에 관한 두 가지 모델이 있다. 하나는 무생 ... ...
1 이공계
학과
들은 이렇게 생겨났다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그러나 현대공학 분야들은 자연과학적 성과에 그 원천을 두고 출현하여 더욱 자연과
학과
밀접한 연관을 맺고 있다.현대공학의 총아라 할 수 있는 전자공학은 양자역학 소립자론 등 현대물리학 분야의 발전으로 탄생한 공학분야다. 1950년 무렵까지는 전기장 또는 자기장을 작용시키는 전자류의 ... ...
1 PC서브·케텔·인포서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회원은 35명이며 푸른메는 '푸른 산'이란 뜻.초대 시솝으로 뽑힌 정성국(purme2, 중앙대 전산
학과
4년)씨는 전산학도지만 휴학하고 군대가기 전까지만 해도 PC에 관심이 없었다고 한다. 컴퓨터를 전공하는 사람은 PC보다 대형컴퓨터에 관심을 기울여야 한다고 믿었기 때문이다. PC통신의 매력에 흠뻑 ... ...
2 좁혀지는 과학자와 기술자의 간격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레이저가 오늘날 물리학의 숙제인 핵융합발전의 중요한 기기가 되고 있는 것처럼.특히 과
학과
기술이 유기적으로 맞물리지 못했던 현재까지의 우리의 관행은 기술자립의 강조로 인해 앞으로 빠르게 변화될 것으로 보인다. 기초과학에의 지원강화와 공학분야의 전문성 강화, 즉 석박사인력의 ... ...
누가 아인슈타인을 거역하랴?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금세기 최대의 성과인 상대성이론에 반기를 든 과학자도 없지 않았으나 아인슈타인의 이론은 오늘날에도 계속 입증되고 있다.1915년에 아인슈타인(Einstein)이 발표한 일반상대성 이론은 한마디로 17세기에 뉴턴(Newton)이 만들었던 중력(만유인력)의 이론을 더 정밀한 이론으로 개량한 것이라고 말할 수 ... ...
슈퍼컴퓨터 만들기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추리라고 할 수 있다. 대기의 운동은 워낙 복잡해서 서너개의 식으로 표시되는 전자기
학과
는 도저히 비교조차 할 수 없다. 문명이전에는 이런 현상들이 자연스럽게 초자연적인 신의 존재를 합리화시켜 주었지만 현재는 슈퍼컴퓨터가 이런 질문에 충실히 답해준다. 밀림이 훼손되어감에 따라 차츰 ... ...
비운의 물리학자 이휘소의 삶과 죽음
과학동아
l
1991년 06호
분위기가 팽배해 있었다.이휘소는 55년 2월 오하이오주에 있는 마이애미대학 물리
학과
에 등록함으로써 유학 생활을 시작한다. 이후 58년 피츠버그대에서 석사과정을 마쳤고 60년 12월 펜실베이니어 대학에서 'K이온 중간자와 핵자현상의 이중 분산 표시에 의한 분석'이란 논문으로 박사 학위를 받았다. ... ...
뉴미디어 제조공장MIT 미디어연구소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 무생물체의 운동과 상호작용을 주관하는 역학, 생물체의 운동을 기술하는 생물
학과
해부학 인공지능 로봇공학 등을 모두 수용하는 애니메이션 시스템을 구축하려 한다. 영화대본을 집어 넣으면 자동적으로 영화가 만들어져 나오는 것이 궁극적 목표다. 연구책임자인 젤처교수가 만든 ... ...
첨단장비로 범죄와 싸운다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정착돼 있으나 국내에서는 서울대를 비롯한 일부 대학에만 의과대학내에 법의
학과
가 있는 실정. 아울러 대부분의 장비를 외국에서 들여와 쓰고 있는 것에도 눈을 돌려 국내 과학계가 수사장비의 국산화에 힘써야 한다는 지적도 있다.연구원들은 연구소에 대한 국민들의 인식이 변하기를 원하고 ... ...
지역주민 과학교실 되는 국립중앙과학관
과학동아
l
1991년 05호
역사'(연사 최현일, 한국동력자원연구소 근무)와 과학사를 전공한 수원대 물리
학과
곽영직 교수의 '재미있는 과학이야기' 5월에는 지역 국악인들이 실제연주를 들려주며 소개하는 '한국의 전통음악'(5월5일)과 당면한 에너지 문제를 조명해보는 '에너지위기'가 진행될 예정이다.특히 지난 3월의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