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건축 에너지 완전자립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공기를 직접 덥히지 않고 바닥이나 벽에 열을 공급해 간접적으로 실내온도를 올리는 이
방식
은 쾌적도가 가장 좋은 최고급 난방법으로 인정받고 있다. 최근 유럽과 북미 지역에서도 바닥복사난방을 선호하는 층이 점차 늘고 있는 상황이다. 저온 난방은 특히 태양열시스템의 효율을 높이기 때문에 ... ...
1. 반갑다 향고래야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센다. 배를 타고 바다에 나아가 눈이나 망원경으로 관측하는 목시조사가 가장 일반화된
방식
이다. 첨단장비는 육지 면적의 7배나 되고 깊이만도 수십km인 바다에서 무용지물일 때가 많다. 오히려 고래가 숨을 쉬기 위해 주기적으로 떠오르기 때문에 눈으로 하는 조사가 더 유용한 편이다. 음파를 ... ...
칠레 원주민처럼 시련 이겨낸 꼬마 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소수만 남아 자신들의 땅에 대한 권리를 되찾으려고 몸부림치고 있지만, 그들의 삶의
방식
은 거의 사라진 상태다.사실 B68의 정체도 마푸치족처럼 남겨진 우주의 소수민족이다. B68은 본래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거대한 성운에 포함돼 있다가 젊고 덩치 큰 별에서 나온 강한 입자흐름이나 자외선이 ... ...
01. 타고난 성격, 바꾸려면 부러질수도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이에서는 인간의 행동특성이 환경에 의해 형성되고, 자녀들의 성격이 부모의 양육
방식
에 따라 원하는 대로 고쳐질 수 있다는 믿음이 팽배했다.인간은 태어날 때 ‘빈 서판’(blank slate), 즉 백지상태라는 이런 주장들은 선천적인 차이를 인정해야 한다는 주장보다 왠지 도덕적으로 느껴진다. 그 ... ...
물방울 카메라와 종이를 확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용할 액체렌즈를 개발하고 있다. 액체렌즈의 원리는 눈이 초점을 맞추는 것과 같은
방식
이다. 눈은 가까운 곳을 볼 때 수정체를 두껍게 변화시킴으로써 렌즈의 곡면을 좀더 볼록하게 만든다. 반면 먼 곳을 볼때는 수정체를 얇게 함으로써 렌즈의 곡면을 좀더 평평하게 만든다. 액체렌즈에서는 물과 ... ...
바이러스 찾아내는 나노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4월 7일 소개한 미국 코넬대의 나노 검출 장치는 바이러스의 몸무게를 직접 측정하는
방식
(그림 1)으로, 나노미터(nm, 1nm=10억분의 1m) 단위의 다이빙대 모양이다. 다이빙대에 사람이 올라가면 몸무게에 따라 다이빙대가 흔들리는 정도가 달라진다. 무거워질수록 다이빙대의 진동 주파수가 줄어든다 ... ...
지구가 선사한 어린이날 선물, 개기월식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사용해 아이피스가 끼워진 망원경 접안부에 부착하면 사진을 찍을 수 있다. 이를 어포컬
방식
이라 하는데 눈으로 천체망원경을 보는 상태에서 눈대신 카메라가 위치한다고 생각하면 간단히 이해될 것이다.10분 간격으로 시간을 배정해 월식의 진행 상황을 필름 한컷 한컷에 찍는다. 노출 시간은 달이 ... ...
X-43의 비행원리 및 궤적
과학동아
l
2004년 05호
· 비행지점 · 비행코스 등을 자체에 장비된 계기에만 의존하여 비행하거나 착륙하는
방식
항공기 · 선박 등을 무선으로 유도 조작하기 위해 사용하는 수신기 무선조종용 신호를 수신 · 검파하고 그것에 의해 필요한 계기를 작동시킨다 길이 ·각도·넓이 ·부피 등 모든 기하학적 양의 대소 관계를 ... ...
유통혁명 몰고 올 마법딱지 전자태그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2006년까지 치매노인과 독거노인 보호 관리를 위해 발급한다는 새로운 신분증도 바로 RFID
방식
이다.이와 관련해 삼성과 하이닉스, LG 등 주요 IT기업들도 전자태그 개발을 위한 기술 검토를 마친 것으로 알려졌다. 1백28비트짜리 이름표처음 전자태그를 고안한 곳은 미 매사추세스공대(MIT) 오토아이디 ... ...
4층 높이 전자현미경 대덕에 등장
과학동아
l
2004년 04호
최근 반도체 소자는 그 크기가 나노미터 수준으로 작아지고 3차원 다층 복합구조로 집적
방식
이 바뀌는 추세다. 따라서 초고전압투과전자현미경의 우수한 분해능과 투과력은 차세대 반도체 개발에 제격인 것이다. 복잡한 구조를 가진 뇌신경세포를 여러 조각으로 절단하지 않고 전체적으로 관찰할 ... ...
이전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4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