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방법
양식
스타일
형식
수단
방책
규범
d라이브러리
"
방식
"(으)로 총 6,226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라디오 · 텔레비전을 위시해서 각종 무선수신기에 보통 사용되는 슈퍼헤테로다인
방식
(superheterodyne方式)에는 가변주파수의 국부발진기가 있으며 그 주파수와 수신전파 주파수의 맥놀이에 의한 차주파수(差周波數)를 일정한 중간 주파수로 변환한 후 증폭한다 은하계 주변에서 지름 약 500만 광년 ... ...
02. 무공해 식단 꾸리는 생물 농약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한다. 미생물 중 병원균이나 곤충, 선충에 기생하는 종들을 생물농약에 사용하는
방식
이다. 한 예로 농작물에 발생하는 흰가루병은 대부분의 채소에 발생하는 곰팡이균으로 농작물을 잘 자라지 못하게 할 뿐만 아니라 농산물의 품질을 떨어뜨린다. 암펠로마이세스 퀴스콸리스(Ampellomyces quisqualis)라는 ... ...
05. 자연과 호흡하는 도시생태 복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배치해 주변 녹지에서 바람을 끌어들여 정체돼 있는 도심의 유해 공기를 밀어내는
방식
을 뜻한다.2. 건물 녹화 최근 도시 환경과 자연생태계를 살리기 위한 방법 중 가장 주목받는 기술. 녹지가 부족한 도심 건물 옥상과 벽면에 멀꿀, 모람, 담쟁이 등을 심어 녹지 면적을 늘리는 방안이다. 이 방법은 ... ...
09. 조용한 공간 창조하는 소음제거기술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크기가 아닌 파형을 변형하면 같은 크기라도 다른 소리처럼 들리는 원리를 이용했다. 이
방식
으로 소리를 완벽하게 차단하지 않더라도 그 성질만 바꿔주면 얼마든지 듣기 편한 소리가 될 수 있다는 것을 실제로 증명해냈다.음질개선기술은 최근 여러 분야에서 응용되기 시작했다. 그중 자동차 실내 ... ...
테라급나노소자개발사업단장 이조원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듣고 연구원이 되기로 결심했다. 그러나 막상 공부에는 별 취미가 없었다. 암기식 학습
방식
에 적응하지 못했기 때문이다.내 꿈은 세상을 구하는 연구원 “제 어릴 때 별명이 ‘진드기’였습니다. 뭐라도 한번 관심을 갖게 되면 끝까지 물고늘어졌으니까요. 그런데 무조건 외우는 공부는 정말 ... ...
다재다능 이산수학 맛보기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초록색 신호가 들어오는 시간이 겹치면 차가 충돌하기 때문에 겹치지 않게 그린다. 이런
방식
으로 a-f를 그리면 그림 3과 같은 그래프가 나타난다. 이를 수학 용어로 ‘시계그림’ (clock diagram)이라고 부른다.시계그림을 그리는 이유는 그림 2의 그래프를 좀더 간소화시키기 위해서다. 예를 들어 그림 ... ...
시동걸린 과학계 '히딩크 프로젝트'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하는 상황인 것이다. ‘번갯불에 콩구워 먹는 격’으로, 국내 최고의 대학 총장을 뽑는
방식
으로서는 엉성한 감을 씻기 힘들다.러플린은 누구인가 현대 양자물리학을 고차원으로 끌어올린 분수양자홀 효과라는 새 이론을 발견한 공로로 대니얼 추이 교수(미 프린스턴대), 호르스트 슈퇴르머 교수(미 ... ...
레이저 기술이 만드는 빛의 연금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얻은 성과였다.“고출력 청색 레이저는 빔주사
방식
으로 기존 텔레비전 디스플레이
방식
보다 훨씬 크고 선명한 화질을 나타낼 수 있습니다.”컴컴한 연구실 한가운데를 날카롭게 가르는 푸른빛의 레이저를 조용히 주시하던 윤 교수가 문득 던진 말이다.윤 교수팀이 개발한 고출력 청색 고체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증폭되는 변연계의 과도한 활성화다.그러나 반드시 성행위를 통해 변연계를 자극하는
방식
으로만 서로에 대한 애정을 확인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대뇌 피질을 자극해 변연계 활성화를 유도하는 방법도 있다. 예컨대 여자가 빨간 원피스를 입고 머리에 예쁜 핀을 꽂았다면 이런 자극은 남자의 ... ...
서울대 물리학부 국양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어두운 상자 속 물건을 알아맞힐 때 손으로 표면을 더듬어 모양과 특징을 유추하는
방식
이 그것이다. STM은 바로 손과 같은 날카로운 검침이 표면을 더듬어 원자의 표면을 읽어낸다.국교수가 STM과 인연을 맺게 된 것은 벨연구소 연구원 시절인 1982년 겨울. “박사학위를 하던 1979년경 지도교수한테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