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비율
한도
범위
노정
역정
여정
여행길
스페셜
"
정도
"(으)로 총 4,082건 검색되었습니다.
엄마도 모르는 모유의 진실, 알고보니 ‘헉’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정도
만 알고 있던 필자로서는 지난 10여 년 동안 밝혀진 모유의 과학에 입을 딱 벌릴
정도
로 감탄했다. ●모유로 장내미생물 선별 먼저 모유는 시기별로 크게 3가지로 나눌 수 있다. 우선 출산 뒤 3일까지 나오는 젖을 ‘초유(colostrum)’이라고 부른다. 초유에는 지방이나 카제인 단백질 함량은 낮은 ... ...
러시아 유성체 폭발 위력이 히로시마 원폭의 30배?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과학자들에게 진술한 바에 따르면 불덩어리가 워낙 밝아 햇빛이 어둡게 느껴질
정도
였고 엄청난 열기로 입고 있던 셔츠가 탈 뻔 했다고 한다. 실제로 한 이웃집에서는 은식기가 녹아내렸다고 한다. 훗날 과학자들이 조사한 결과 놀랍게도 이 폭발이 세메노프의 집에서 거의 60km나 떨어진 곳에서 ... ...
E=mc² 아인슈타인만의 것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캄머링 온스가 1년간 일할 연구조교를 추천해 달라고 특별히 부탁을 하자 하젠욀을 보낼
정도
로 총애했다고 한다. 이듬해 빈에 돌아온 하젠욀은 사강사로 강의와 연구를 했는데 1904년 중요한 논문을 발표한다. ‘움직이는 물체의 복사이론에 대하여’란 제목의 논문에서 하젠욀은 E=(3/8)mc²이라는 ... ...
칼 우즈, 생물학의 뿌리를 뒤흔든 아웃사이더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마이어가 94세 때 쓴 글임에도(마이어는 2005년 101세에 타계했다) 감정적이라고 느껴질
정도
로 글 곳곳에 우즈에 대한 강한 적대감이 느껴졌다. “지난 100년 동안 생물다양성의 세계에서는 몇몇 놀라운 발견이 있었지만 이것들은 생물다양성 세계지도에 작은 점을 찍는데 불과했다. 반대로 우즈의 ... ...
장내미생물 관리 잘 해야 남성호르몬 이상없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앞으로 10년 쯤 지나면 “그 병이 장내미생물과 무슨 관계가 있지?”라고 의아해할
정도
로 다양한 분야에서 프로바이오틱스가 치료제 또는 예방약으로 쓰이고 특정 장내미생물이 잘 자라게 해주는 영양분(프리바이오틱스(prebiotics)라고 부른다)을 비타민제 먹듯이 복용하는 게 일상이 되지 않을까 ... ...
독감 걸리는 사람 완전히 사라지는 날 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걸렸을 때 이런 항체를 치료제로 쓰는 것도 좋은 방법인데 현실성이 없다. 치료제로 쓸
정도
로 항체를 생산하려면 비용을 감당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런 항체의 역할을 대신 할 수 있는 약물을 만드는 연구도 진행되고 있다. 미국 워싱턴대 디이비드 베이커 교수팀은 지난 2011년 ... ...
온실가스 배출 줄일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늦어질수록 성공 가능성이 급격히 떨어진다는 결과를 얻었다. 한편 감축 기술의 발전
정도
나 에너지 수요의 변동 폭에 따른 성공 가능성의 편차는 정책 실시 여부에 따른 편차보다 적었다. 온실가스 배출 급증이 유발하는 기후변동으로 인한 파국을 막기 위해 지난 15년 동안 진행해온 1차 시도는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③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관심이 옮아갔다. 당시 캘리포니아는 대기오염이 극심해 세계의 스모그 수도로 불릴
정도
였다. 1972년 한 학회에서 롤런드는 우연히 영국 과학자 제임스 러브록의 강연을 들었는데 성층권에서 CFC를 검출했다는 내용이었다. CFC가 성층권에서 뭘 할까 궁금해진 롤런드는 이듬해 박사후연구원으로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②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틀렸다. 게놈을 전반적으로 고려했을 때(DNA 삽입과 삭제를 포함) 사람과 침팬지는 95%
정도
일치한다는 것. 이 논문을 쓴 로이 브리튼(Roy Britten)이 올 초 93세로 세상을 떠났다. 미국 워싱턴DC에서 태어난 브리튼은 버지니아대에서 물리학을 공부한 뒤 제2차 세계대전 때는 맨해튼프로젝트에 참여했다. ... ...
곡물 게놈 해독이 동물 것보다 복잡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4.25
있고 그만큼 밀 소비량은 늘고 있다고 한다. 밀가루로 만든 음식들은 셀 수가 없을
정도
다. 우리 역시 밀에 중독되고 있는 셈이다. 그럼에도 왠지 밀은 몸에 안 좋은 곡물이라는 인식이 은연중에 깔려있는 듯하다. 오늘날 아토피의 만연을 밀 탓으로 돌리기도 한다. 물론 쌀과 달리 밀은 일부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