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여름밤 은하수 속 독수리성운 M16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연구가치가 매우 높다. 그래서 수많은 천문
학자
들을 매료시켜 왔다. 어떤 천문
학자
들은 독수리성운을 여왕별 성운이라고 부른다. 이 성운에 이런 별칭이 붙은 이유는 성운 내부에 있는 암흑성운이 흡사 의자같이 생겼기 때문이다. 사람들은 이 의자를 여왕의 옥좌로 보고 있다.실제로 여름철 ... ...
최신강의를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MIT 오픈 강의 ocw.mit.edu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국내·외 물리학관련 연구정보를 제공하는 곳이다. 국내의 석사 이상의 모든 물리
학자
를 검색할 수 있으며, 전공에 따른 검색도 가능하다. 즉 물리학의 특정 분야 전문가를 쉽게 찾을 수 있다. 또한 각종 학술지와 논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특히 수준높은 강의나 학습자료를 필요로 하는 호기심과 ... ...
불과 얼음의 운무, 벌레성운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존재함을 시사한다.이번 관측을 이끈 영국 맨체스터대 과학기술연구소의 천문
학자
알버트 지즐스트라 박사는 “흥미롭게도 이곳에는 작은 먼지 알갱이를 핵으로 해서 광물과 얼음이 얼어붙어 우박처럼 존재한다”며 “이런 복잡한 조성을 보이는 천체는 매우 드물다”고 말했다 ... ...
페름기 대멸종 일으킨 충돌분화구 호주서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금까지의 멸종이론과는 배치되는 것이다. 미 스미소니언 자연사박물관의 고생물
학자
인 더클러스 어왼 박사는 “이번 발견은 대멸종과 충돌이 관련 있음을 시사하지만 강력한 증거는 아닌 것 같다”고 평가했다 ... ...
물리
학자
가 멕시코 피라미드 비밀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피라미드의 비밀을 파헤치기 위해 물리
학자
들이 발벗고 나섰다. 멕시코시티에서 북동쪽으로 52km 떨어진 고대도시 테오티우아칸(신들의 도시)에는 ‘태양의 피라미드’가 있다. 밑변 2백20m, 높이 65m나 되는 이 거대 피라미드 밑에는 최근 국가적 관심 속에서 물리 실험장비를 설치하는 공사가 ... ...
HOT ISSUE 2. 숱한 증명실험 통과한 상대성이론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활용되기도 했다.가장 최근의 검증은 2002년에 이뤄졌다. 이 실험은 이탈리아 물리
학자
가 NASA와 공동으로 올 7월 토성에 도착할 카시니 우주선을 활용했다. 실험은 카시니호와 지구 사이의 가시선이 태양 바로 옆을 지날 때 수행됐다. 그 결과 샤피로 시간지연 현상은 상당한 정밀도로 증명됐다 ... ...
01. 사랑은 뇌가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따라서 디오니소스적 사랑과 아폴론적 사랑의 차이에 관해서는 인문
학자
뿐 아니라 뇌과
학자
들도 당분간 결론을 유보하는 편이 좋을 것 같다.볼레로러시아의 여배우이자 무용가인 이다 루빈스타인의 의뢰로 1928년 라벨이 작곡한 관현악곡. 원래 볼레로는 연애의 흥분을 연상시키는 몸짓으로 한쌍의 ... ...
나는 사랑의 몇단계에 와있을까?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조절하며 도파민의 분비를 촉진시켜 성욕을 느끼게 한다. 캐나다 콘코르디아대 심리
학자
짐 파우스 박사는 남성에서도 에스트로겐이 중요하다고 추측했다. 쥐와 새 수컷의 뇌 시상하부에서 테스토스테론이 에스트로겐으로 바뀌어 성적 활동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기 때문이다.산화질소성적 흥분시 ... ...
협력의 산물인가 경쟁의 산물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지배적이었다.쇼클리는 뛰어난 창의성을 발휘해 이미 1945년 봄에 일리노이대 전기공
학자
닉 홀로니악의 아이디어를 따서 최초의 반도체 증폭기를 직접 디자인했다. 그런데 구상과 달리 증폭기는 예상대로 작동하지 않았다. 그해 8월 연구팀이 구성되자 쇼클리는 자신의 안을 바딘과 브래튼에게 ... ...
최초의 새는 날개가 넷?
과학동아
l
2004년 06호
덴마크 코펜하겐대 동물
학자
인 퍼 크리스찬센 교수와 코펜하겐 지리연구소 고생물
학자
인 닐 본드 박사 연구팀은 표본 분석 방식을 이용해 이 사실을 확인했다.조사 결과 연구팀은 시조새의 등과 다리 주위, 목아래에 깃털 자국들이 형성돼 있음을 확인했다. 게다가 놀랍게도 이 깃털들이 오늘날 ... ...
이전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4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