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선비
학장
지식인
전문가
현자
스콜라
장학생
d라이브러리
"
학자
"(으)로 총 6,892건 검색되었습니다.
만약 태양이 둘이라면?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없을 것이라는 예측 때문이었다. 하지만 1999년 11월 미국 노트르담대의 한국인 천체물리
학자
이선홍 교수팀이 쌍성계를 공전하는 행성을 발견하면서 이전의 추측이 잘못됐음이 밝혀졌다. 다시 말해 우주에는 여러 별들이 쌍을 이뤄 돌면서 행성을 거느린 태양계가 존재할 수도 있는 것이다. ‘만약 ... ...
우주의 '작은 귀신' 태양 같은 별의 최후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주인공은 사실 그리스신화에 나오는 의술의 신 아스클레피오스다. 아스클레피오스는 대
학자
케이론에게 야생 약초에 관한 지식과 병 고치는 법을 배웠다. 어느날 뱀 한마리가 신기한 약초를 물고와 죽은 동료 뱀에게 붙여 살려내는 장면을 보고 아스클레피오스는 이 약초로 죽은 자를 다시 살리는 ... ...
빛을 찾아나선 사람들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살펴본다. 마지막으로 4부에서는 별빛의 탄생 과정과 천문
학자
, 천체물리
학자
, 우주
학자
들의 모험을 따라 우주의 비밀에 한발짝 다가서본다.저자는 ‘빛 이야기’ 를 쓴 이유를 우리가 빛을 이용해 벌이는, 또 빛이 우리를 위해 벌이는 온갖 놀랍고 흥미로운 것들에 관해 그저 편안히 앉아 이야기 ... ...
01. 기묘한 생물 천국, 해저 5천m의 세계
과학동아
l
2004년 08호
바다의 최고 깊이까지 사람이 내려간 것은 1960년대에 들어와서다. 1960년 1월 22일 미국 과
학자
자크 피카르와 해군대령 돈 월시는 트리에스테호를 타고 마리아나해구의 수심 1만9백16m까지 잠수하는데 성공했다. 1962년 7월 26일에는 프랑스의 오비른과 들로즈, 일본의 사사키가 아르키메데스호를 타고 ... ...
영화 '투모로우' 속 빙하기 과연 올 것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고정돼 있지 않기 때문에 빙하기와 간빙기가 발생한다는 가설을 생각했다. 오늘날 과
학자
들은 밀란코비치의 빙하기 생성이론을 받아들이고 있다. 이에 따르면 빙하기를 일으키는 지구의 운동은 3가지다. 첫번째는 태양주위를 도는 지구의 궤도 변화다. 지구의 공전궤도는 타원형이었다가 원에 ... ...
우주에 건설된 바벨탑의 비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더 뜨거워질 것이다. 그러면 주변 가스와 먼지로 이뤄진 성운은 더 밝게 빛나 천문
학자
들이 부르는 ‘행성상 성운’이 될 것이다. 별은 죽음에 다다를수록 찬란한 빛을 뽐낸다니 신기하기만 하다 ... ...
카시니가 보내온 토성 위성 포이베의 모습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너무나도 선명해 수많은 크레이터가 촘촘히 박혀있는 표면이 적나라하게 드러났다. 천문
학자
들은 이를 통해 포이베의 미스터리가 풀릴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이전의 포이베의 모습은 1981년 NASA의 보이저2호가 토성 근처를 스쳐지나가면서 2백20만km 떨어진 거리에서 찍은 것이다.7월 1일 카시니호가 ... ...
우주로 향한 로켓기의 여정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바닥에 작은 구멍이 무수히 뚫려있다 1883~1952 독일과 스위스에서 활약한 러시아 태생의 화
학자
러시아의 도르파트에서 태어났다주로 독일에서 교육을 받고 라이프치히 대학 등에서 화학을 연구하여 1907년 학위를 취득했다처음에는 케토엔올의 호변이성(互變異性) 등을 연구하다가, H F 마크와 함께 ... ...
진화의 고리, 미생물의 힘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물론 그것의 사회역사적 배경에 이르는 다양한 이야기가 실려있다.오랫동안 과
학자
들은 미생물 실험을 수행할만한 적절한 기술이 없었기 때문에 많은 어려움을 겪었다. 하지만 과학기술의 발달로 병원균 박테리아는 전체 미생물의 일부에 불과하며, 오히려 대부분의 미생물은 토양을 비옥하게 ... ...
한반도는 지진의 안전지대인가
과학동아
l
2004년 07호
15-18세기 4백여년 간 한반도에서는 지진활동이 매우 활발했습니다. 미국의 저명한 지진
학자
인 리히터 교수는 저서 ‘기초 지진학’ 에서 지진활동이 낮은 지역에서 이례적으로 지진이 빈발한 예로 들고 있을 정도죠.”한편 한반도에서 가장 인명피해가 컸던 지진은 통일신라시대인 779년 경주에서 ... ...
이전
396
397
398
399
400
401
402
403
4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