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오선지에 숨은 비밀수학동아 l2017년 05호
- 암호를 제안했습니다. 본래의 음이름인 A부터 G까지 일곱 글자를 가로로 죽 늘어놓은 뒤, 그 아랫줄도 일곱 칸에 맞게 적어나갔습니다. 그 결과 음이름 B에는 알파벳 B, I, P, W가 대응하고, 음이름 D에는 D, K, R, Y가 대응했습니다. 태연의 악보 암호와 완전히 같은 방식입니다.음악가들의 암호 만들기앞서 ... ...
- 고등학생이 수학자와 저글링을 연구한 사연수학동아 l2017년 05호
- 김 교수를 찾아갔다.이들은 김 교수와 함께 공 2개로 하는 저글링에 대해 연구했다. 그 뒤 저글링 수학에 관해 더 깊이 연구해 보고 싶어서 외국에서 저글링을 수학적으로 연구하는 교수를 찾아가기로 했다. 저글링 수학을 연구한 교수를 있는대로 찾아 메일을 보냈다. 그러나 은퇴한 교수부터 더는 ... ...
- [인터뷰] 매스잼 원해요! 퍼즐 수집가 강금만수학동아 l2017년 05호
- 덕후가 있다.Q 자기 소개를 부탁드려요.퍼즐 수집가 강금만입니다. 경영학과를 졸업한 뒤 평범한 회사원으로 지내다가 얼마 전부터 작은 출판사를 운영하고 있어요. 십여 년 전 기계식 퍼즐(도구를 이용하는 퍼즐)의 매력에 빠져 하나둘 모은 게 3000점이나 되네요.Q 퍼즐박물관을 방불케 하네요.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에 따라 값이 새로 결정돼 버린다. 김 교수는 “잘못된 방식으로 읽었다는 걸 알고 뒤늦게 새로 측정하면 원래의 값은 영영 확인할 수 없고 측정했을 때 결정된 값(새로운 값)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자암호는 풀려고 시도하는 순간 본래의 값을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어떤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내부를 10K~100K(영하 약 260~170℃) 온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만든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었다. 그리고는 1억 년에 걸쳐 이뤄지는 화학반응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얼음 시편에 자외선을 쪼인 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했다. 그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직에서 DNA를 추출해, 아시아 코끼리 유전체 안에 넣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약 2년 뒤 매머드와 코끼리의 유전자가 섞인 배아를 만들 어 세상 밖으로 탄생시켰습니다. 그 아들의 딸의 손녀 의 사위…인 매머드 맘송이가 지금 아스트로월드 사파 리에 살고 있지요. + 더 읽을거리존 코가 제안한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놨다. 광합성을 하는 다양한 남세균의 유전자를 읽은 뒤 대조하면서 광합성과 관계된 유전자의 계보를 그리는 것이다. 왜 진작 이 방법을 쓰지 않았을까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세균의 유전자는 우리처럼 부모에서 자식으로 또 그 자식으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뜨면 다 죽는다’는 인식이 있었다는데, 일부러 눈에 띄려고 그런 걸까. 화려한 비행기 뒤로 자꾸만 핏빛이 비쳤다.‘비행기 대백과사전’은 비행기의 역사 110년을 다룬 책이다. 800여 대의 비행기가 시대별로 정리돼 있다. 시대를 앞서간 첨단 기술이어서일까. 비행기 천재들의 자부심을 보는 재미가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하지 않고도 정상 생쥐보다 운동 능력이 44%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2). 이 논문이 발표된 뒤 세계반도핑기구는 해당 약물을 바로 도핑 물질에 추가했다.운동효과물질이 속속들이 밝혀지고있다.그 중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을 증가시키는 AICAR, GW156로 만든 약물은 2009년 도핑물질로 추가됐다 ... ...
- [Future] 행성 중력 이용해 우주 탐사해 볼까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임무를 마친 뒤, 2006년 9월달 남반구 표면 화산분화구인 ‘엑설런스 호수’와 충돌한 뒤 소멸됐다. +더 읽을거리in 과학동아 31년 기사 디라이브러리(정기독자 무료) ‘보이저 1, 2호, ‘인터스텔라’ 여행길에서 성간구름 만 날 예정’(2017.2)dl.dongascience.com/magazine/view/S201702N01 ...
이전3963973983994004014024034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