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으)로 총 12,833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스마트폰 지문 인식, 쉽게 뚫린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전체 지문을 캡처하는 것이 아니라 작은 센서를 이용해 지문의 부분들을 캡처한 뒤 하나로 합쳐서 저장한다. 연구팀은 이 점에 주목했다. 8200개의 부분 지문들을 분석한 뒤, 공통부분이 많은 지문을 추출해 어떤 문이든 열 수 있는 마스터키와 같은 ‘마스터프린트’를 만들었다. 연구팀은 ... ...
- [과학뉴스] 교통사고 생존자, 응급실에서 테트리스를?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명 중 절반을 무작위로 뽑아 사고 여섯 시간 이내에 병원 응급실에서 사고를 잠시 떠올린 뒤 테트리스 게임을 하게 했다.추적 관찰 결과, 게임을 한 사람들은 이후 일주일 동안 사고와 관련한 기억이 떠오른 빈도가 대조군 보다 적었다. 또, 증상이 나타나더라도 대조군보다 빠르게 감소하는 것으로 ... ...
- [Future] 위조할 수 없고 빼돌릴 수도 없는 양자지폐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방법에 따라 값이 새로 결정돼 버린다. 김 교수는 “잘못된 방식으로 읽었다는 걸 알고 뒤늦게 새로 측정하면 원래의 값은 영영 확인할 수 없고 측정했을 때 결정된 값(새로운 값)이 나온다”고 설명했다. 그는 “양자암호는 풀려고 시도하는 순간 본래의 값을 알 수 없게 되기 때문에 어떤 ... ...
- [Future] 꽁꽁 언 그곳의 생명 비결 ‘얼음 화학’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내부를 10K~100K(영하 약 260~170℃) 온도의 고진공 상태로 만들고, 인공 얼음 시편을 만든 뒤 이산화탄소, 메틸아민 성분을 넣었다. 그리고는 1억 년에 걸쳐 이뤄지는 화학반응의 시간을 단축하기 위해 얼음 시편에 자외선을 쪼인 뒤, 시편에서 일어나는 화학 반응을 질량분석기로 정밀하게 분석했다. 그 ... ...
- [Issue] 어느 물리학자의 일기장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나타내는 핵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으로 믿고 있었다. 김 교수의 이론은 이런 관점을 뒤집는 것이었다.대학원을 졸업한 후에도 그는 늘 독창적인 아이디어를 내놓았다. 남들이 가지 않은 길을 가다보니 학술지에서 논문을 심사하는 심사위원들과 갈등이 많았다. 그의 일기 곳곳에는 심사위원에 대한 ... ...
- [Issue] 2070년 어린이날 웰컴 투 아스트로월드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조직에서 DNA를 추출해, 아시아 코끼리 유전체 안에 넣는 실험을 했습니다. 그리고 약 2년 뒤 매머드와 코끼리의 유전자가 섞인 배아를 만들 어 세상 밖으로 탄생시켰습니다. 그 아들의 딸의 손녀 의 사위…인 매머드 맘송이가 지금 아스트로월드 사파 리에 살고 있지요. + 더 읽을거리존 코가 제안한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수 있는 새로운 아이디어를 내놨다. 광합성을 하는 다양한 남세균의 유전자를 읽은 뒤 대조하면서 광합성과 관계된 유전자의 계보를 그리는 것이다. 왜 진작 이 방법을 쓰지 않았을까 반문하는 사람도 있겠지만 말처럼 쉬운 일은 아니다. 세균의 유전자는 우리처럼 부모에서 자식으로 또 그 자식으로 ... ...
- [Culture] 과학동아가 선정하는 이달의 책과학동아 l2017년 05호
- 뜨면 다 죽는다’는 인식이 있었다는데, 일부러 눈에 띄려고 그런 걸까. 화려한 비행기 뒤로 자꾸만 핏빛이 비쳤다.‘비행기 대백과사전’은 비행기의 역사 110년을 다룬 책이다. 800여 대의 비행기가 시대별로 정리돼 있다. 시대를 앞서간 첨단 기술이어서일까. 비행기 천재들의 자부심을 보는 재미가 ... ...
- Intro. 남쪽의 작은 고장 ‘순창’, 장수로 흥하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한 분만 더 섭외할 수 없냐”는 요청에 강하성 복흥면사무소 주무관은 면사무소 뒤의 노인정으로 기자를 안내했다.‘이것이 진짜 장수촌의 위엄이구나.’노인정에는 최소 80세 이상은 돼 보이는 어르신들이 옹기종이 모여 앉아 화투 놀이를 하고 있었다. 기자의 방문에도 아랑곳하지 않고 놀이에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년 05호
- 있는 경우가 있다. 이 현상을 ‘연령 가속화’라고 한다(1파트 참조). 이 연구가 발표된 뒤 연령 가속화가 질병과 관련 있다는 논문이 쏟아져 나왔다.독일국립암센터의 로라 페르나 연구원은 연령 가속화가 심혈관질환, 암 유병률과 관련 있다는 연구 결과를 2016년 6월 국제학술지 ‘임상 ... ...
이전3943953963973983994004014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