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산출량
수확고
수량
생산고
스페셜
"
수확량
"(으)로 총 35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에서도 확인한 코로나19가 바꿔놓은 지구의 풍경
동아사이언스
l
2020.09.09
한나 케르너 미국 메릴랜드대 교수팀은 작물이 재배되는 것을 위성으로 관찰해 작물의
수확량
을 관측한다는 계획이다. 케르너 교수는 “위성 데이터와 기계학습을 사용해 작물이 재배되는 위치를 지도화하고 있다”며 “미국의 옥수수와 대두, 러시아의 밀 등 주요 작물을 관측하고 있다”고 ... ...
[강석기의 과학카페]벼가 물에 잠겼을 때 일어나는 일들
2020.08.11
것이다. 광합성 산물을 식물체 생장 대신 씨앗을 만드는 데 쓰고 벼가 잘 쓰러지지 않아
수확량
이 많기 때문이다. 1960년대 녹색혁명은 벼와 밀의 키가 작아진 덕분이다. 그러나 침수가 만성적인 지역에서는 평범한 벼는 물론이고 FR13A 같은 침수 내성 벼도 버티지 못한다. 따라서 지금도 여전히 심수 ... ...
[표지로 읽는 과학] 밀
수확량
떨어뜨리는 '붉은 곰팡이병' 사라질까
동아사이언스
l
2020.05.24
사이언스 제공 국제학술지 ‘사이언스’는 곰팡이의 한 종류인 ‘후사리움’가 밀 이삭에서 자라는 모습을 22일 표지로 실었다. 표지 속에서 오렌 ... 말했다. 왕 교수는 “상업용 밀 품종에 Fhb7 유전자를 넣는다면 식품 안전 문제와
수확량
손실 문제를 완화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걱정이 과할 때 '초점착각'에서 벗어나라
2020.05.09
행동을 돌아보며 오늘의 도토리
수확량
이 어제에 못미친다고, 또는 다른 다람쥐의
수확량
보다 모자란다고 뭐가 문제였는지 고민하거나 어제보다 더 나은 다람쥐가 되지 못했다고 괴로워하는 모습은 잘 상상하기 어렵다. 이 점이 바로 인간이 가진 자아의 특이점이다. 우리는 자기 자신이라는 존재를 ... ...
'지구를 생각하는' 독자들이 주목한 환경 뉴스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20.04.22
기후변화로 세계 인구의 절반이 매일 먹는 쌀에 포함된 발암물질이 두 배 가까이 늘고
수확량
은 절반 가까이 줄어들 것이란 전망이 나왔다. 기후변화가 식물의 생산량 감소와 물 부족을 만들며 식량 위기를 심화시킬 거라는 지적은 꾸준히 제기돼 왔으나 특정 작물에 미치는 구체적인 영향을 ... ...
[표지로 읽는 과학]비료 덜 쓰고 벼
수확량
늘리는 방법
동아사이언스
l
2020.02.09
한국의 ‘통일벼’처럼 녹색 혁명 이후 도입된 쌀 품종들 대다수가 적용된다. 하지만
수확량
을 최대치로 늘리려고 하면 환경에 유해한 수준의 질소 비료를 뿌려야만 가능하다. 연구팀은 벼에서 질소에 반응하는 유전자가 ‘NGR5’라는 단백질의 양을 늘린다는 것을 알아냈다. NGR5는 벼의 가지 수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GMO 황금쌀, 20년 만에 빛을 볼까
2019.12.03
죽이는 독소를 만드는 유전자가 들어있는 목화를 재배하면서 살충제 사용량이 41% 줄었고
수확량
은 37% 늘었다. 그 결과 수익이 89% 늘었다. 독한 살충제를 뿌리는 일이 줄어 농민들의 건강도 좋아졌다. GMO가 지구를 망친다는 우려와는 달리 20여 년 동안 현장에서 이렇다 할 부작용이 보고되지 않고 ... ...
기후변화로 쌀 발암물질 두 배 늘어나고
수확량
절반 가량 준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낱알 등 곳곳에 비소가 축적됐다. 이로 인해 쌀이 제대로 성장하지 않으면서 쌀의
수확량
도 40% 감소했다. 펜도르프 교수는 “토양을 잘 관리하면서 새로운 조건에 적응할 수 있는 품종을 개량할 수 있는 우리의 능력을 감안할 때 연구에서 관찰된 문제를 해결할 수 있을 것”이라면서도 “적응할 ... ...
[인류와 질병] 비만의 진화
2019.10.19
많아야 한다. 낫을 버리고 칼을 쥐는 사람이 많아진 것이다. 마야인의 주식, 옥수수의
수확량
은 더욱 줄어들었다. 또한, 전쟁으로 인해 도시 간의 교역이 감소했다. 교역의 감소는 무역 효과를 줄이고, 이는 다시 주기적인 기아로 이어졌다. 새로운 건축물의 건설은 없어지고, 기존의 도시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기후변화 이길 '감자 2.0'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2.10
중요한 식량 작물로 세계 감자 생산량은 꾸준히 증가해왔다. 중국은 최근 20년 사이 감자
수확량
이 2배로 늘었다.인도와 우즈베키스탄, 방글라데시는 식량 안보에서 감자가 차지하는 비중이 매우 높다. 아프리카 국가들도 감자 생산량을 계속 늘린다는 방침이다. 최근 과학자들은 기후변화에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