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냥
포획
헌팅
발포
발사
헌트
스페셜
"
수렵
"(으)로 총 62건 검색되었습니다.
[인간 행동의 진화] 시대가 변하면 명당도 바뀐다
2020.11.01
농업 인구가 전체의 1%에 불과한 세상이다. 미래 인류는 농경 사회의 조상보다는
수렵
채집 사회의 '더 오랜' 조상과 더 비슷하게 살아갈지도 모른다. 새로운 시대의 명당은 분명 배산임수의 양지바른 곳은 아닐 것이다. 물론 강남 3구도 아닐 것이다. 내가 강남에 살지 못해 하는 말이 아니다. ... ...
3만4000년 전 동아시아인은 코스모폴리탄
동아사이언스
l
2020.10.30
유럽의 DNA가 많았다. 이선복 교수는 “북쪽 지역이 개방적인 초원지대인 만큼
수렵
채집인 사이에 교류가 자주 있었을 것”이라며 “(유전자의) 확산 속도도 빨랐을 것으로 추정된다”라고 말했다. 이번 분석 결과를 통해 동아시아인의 유전적 영향을 정리한 그림이다. 네안데르탈인이 가장 먼저 ... ...
"본질적인 문제 못찾으면 제2,제3 코로나19 계속 온다" 유엔보고서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7.07
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했다. 구체적으로 인간으로 인한 땅의 황폐화, 야생동물
수렵
, 자원고갈, 기후변화 등을 제시했다. 보고서는 자연환경 악화가 계속되는 한 인수공통감염병은 지속적으로 등장할 것이라 예상했다. 도린 로빈슨 유엔 환경프로그램 야생동물책임자는 “인간 활동의 급격한 ... ...
[게놈과 인류사]"한국인 주류, 남중국-동남아인의 복잡한 혼혈"
동아사이언스
l
2020.06.03
덴마크 코펜하겐대의 연구 결과에 따르면, 이 지역에는 약 3만 년 전 이전에 유라시아
수렵
채집인이 와 고대 북시베리아인을 형성했다. 이후 약 2만 년 전 악마문동굴 방향에서 동아시아인이 들어와 '고대시베리아인'이라는 인류 집단을 형성했다. 이들 중 일부는 아메리카 대륙으로 건너갔다. 이후 ... ...
[게놈과 인류사]"말 없는 수천 년 전 인류사, 게놈이 밝힐 수 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20.06.01
곳이 프랑스인데 정작 이 지역은 연구가 부족했다. 이번 연구 결과 기존에 존재하던
수렵
채집인과 양갈래로 온 신석기 농부들이 섞이는 유전적 특성 변화 과정을 시간과 지역에 따라 확인했다”고 말했다. ●"동아시아 고대인류도 유전체 ‘증거’ 기반해 밝힐 것" 인류 집단의 이동과 만남이라는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백해무익한 과학기술 문명 비하론
2020.04.15
우리가 동경할 수 있는 것은 절대 아니었다. 야생의 짐승과 크게 다르지 않았던
수렵
채취인에게 가족의 건강과 안전을 챙기는 일은 불가능에 가까울 정도로 힘겨웠다. 농경목축 시대의 역사도 크게 달라지지 않았다. 역사 기록에 남아있는 찬란했던 과거의 ‘문명’은 오로지 소수의 지배계급을 ... ...
[인류와 질병] 공생 혹은 공멸···감염균의 진화
2020.02.01
자주 아기를 낳을 수 있었다. 아기를 업고 먼 길을 다닐 필요가 없어졌기 때문이다.
수렵
채집을 하던 구석기 시대에 비해서 두 배 이상의 자식을 낳았지만, 주기적인 감염병 대유행은 어렵게 이루어 낸 인구 증가를 모조리 원점을 돌릴 만큼 강력했다. 수천 년이 흘러서야 병원균 레퍼토리가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한다. 하지만 부드러운 음식을 주로 먹는 현대인의 유년기는 이러한 자극이 부족하다.
수렵
채집인에게 덧니가 적은 이유다. 신석기 이후 인류는 고기보다 곡물을 더 많이 먹는다. 덧니가 점점 늘어날 수밖에 없는 이유다. 어린 시절에도 질긴 음식을 꼭꼭 씹어 먹는 것이 구강 건강에 유리하다. ... ...
[인류와 질병] 오래된 감염
2020.01.11
펠라그라를 막을 수 있다는 것이다. 아마도
수렵
채집사회에서 낮은 독성을 유지하면 인류와 공생했을 지도 모른다. 물론 현대 사회의 결핵균은 조금 다르다. 인구가 증가하면서 더 강한 독성을 가진 균주가 진화했기 때문에 우리 생명을 앗아갈 수 있게 되었는지 모른다. ... ...
[인류와 질병]오랜 친구가 좋다
2019.12.28
풍진 등이 모두 그렇다. 인류의 오랜 친구가 아니라는 것이다. 그에 반해서
수렵
채집을 하던 구석기 시대, 아니 그 이전 인류가 나타나기 이전부터 같이 살던 미생물도 있다. 아주 오랫동안 공생했기 때문에 서로에게 치명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