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보자"(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사소한 아이디어가 이끈 혁신2023.02.14
- 대신에 DNA를 연결하기 위해 사용하자는 아이디어를 떠올린 학자는 없었다. 다시 생각해 보자. ‘서로 다른 두 가지 DNA를 이어붙여야 DNA 재조합이 이루어진다. 이를 담당하는 DNA ligase는 효율이 낮아서 성공가능성이 낮다. 어떻게 하면 성공가능성을 높일 수 있을까?’ DNA topoisomease를 DNA ligase 대신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랑에 눈 멀면 안되는 이유2023.02.04
- 하니, 그런 나 역시 꽤 괜찮은 사람인 게 아닐까. 서로를 높이는 긍정적인 관계를 만들어 보자. Fletcher, G. J. O., & Kerr, P. S. G. (2010). Through the eyes of love: Reality and illusion in intimate relationships. Psychological Bulletin, 136, 627–658. Gagné, F. M., & Lydon, J. E. (2001). Mind-set and close relationships: When bias leads to (in)accurate ... ...
- [친절한 클리닉] ② 비만 치료의 최선은 '예방'..."다이어트, 금연보다 어려워"2022.10.29
- ‘친절한 클리닉’, 두번째 시간에는 ‘비만은 질병…요요 예방 전략’에 대해 알아보자. ([친절한 클리닉] ①편 보기 https://www.dongascience.com/news.php?idx=56724) Q. 비만하면 노력이 부족한 사람으로 비춰지곤 하는데. “비만은 질병이다. 절대로 의지박약 문제가 아니다. 의사들 사이에서, 비만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지속가능한 연구실2022.06.30
- 못하는 집단이다. 출처 미국국립과학재단(NSF) 그나마 자원이 풍족한 미국의 사례를 보자. 미국의 공학자인 바네바 부시의 《과학, 끝없는 프론티어》가 미국이 미국립보건원(NIH)을 중심으로 의생명과학 분야의 최강국이 될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한 1945년 이후 미국에서 의생명과학을 전공한 사람은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부정적 정서는 주의를 빼앗는데 능숙하다2022.06.25
- 무엇보다 내 삶에는 이보다 훨씬 중요한 또 다른 요소들이 많음을 기억해보자.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 ...
- [독자 우주개발 시대 활짝]"우리도 '그들'의 채팅방에 입장할 권한이 생겼습니다"과학동아 l2022.06.22
- 어떤 걸 모르고 있었는지 알게 됐어요. 이후 ‘이만큼 알게 된 것을 제대로 한번 구현해 보자’ 결심하게 된 게 누리호 프로젝트입니다.” 실제 이번 누리호 프로젝트에 참여한 연구원들의 대부분은 나로호 프로젝트에 참여했었다. 나로호 프로젝트는 그동안 책으로 보고, 이론적으로만 알던 내용을 ... ...
- [우주산업 리포트]요즘 국제 우주협력의 다섯 가지 트렌드2022.06.17
- ‘루나 게이트웨이’의 건설을 이들 나라들과 공동으로 추진하고 있다. 그럼 한국을 보자. 뒤늦게나마 우주개발에 뛰어든 한국은 상대적으로 짧은 시간에 인공위성과 발사체를 비롯해 우주개발의 주요 분야에서 주목할 만한 성과를 거뒀다. 하지만 인력과 예산의 부족과 같은 고질적 문제는 여전히 ... ...
- 게임도 과학입니다만과학동아 l2022.06.04
- 줄임말로, 개발자들이 쓸 수 있도록 공개된 프로그램 인터페이스다. 예를 들어보자. 리그오브레전드 데이터를 보고 싶다면 제작사인 라이엇 게임즈 개발자 사이트에 접속하면 된다. 로그인하면 API를 볼 수 있는 키를 얻을 수 있고, 바로 데이터를 볼 수 있다(왼쪽 이미지 참고). API를 공개하지 않는 ... ...
- [사이언스N사피엔스](마지막회)밤하늘은 왜 어두울까2022.04.28
- 에드가 앨런 포는 이런 논리로 올베르스의 역설을 설명하기도 했다. 별에 집중해서 보자면 지구에 별빛을 보낼 수 있는 별의 개수가 유한하다면 문제가 해결된다. 만약 우주 공간 속의 먼지나 구름 등이 별빛을 흡수하면 어떻게 될까? 그렇더라도 수많은 별빛을 흡수한 먼지와 구름이 계속 데워져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현대화학의 시조, 반핵 운동가 라이너스 폴링2022.04.14
- 공유하면서 분자를 형성한다. 이런 화학결합을 공유결합이라 한다. 오비탈의 관점에서 보자면 수소원자의 두 개의 1s 오비탈이 서로 겹쳐졌다고 볼 수 있다. 이처럼 분자를 구성하는 각 원소의 오비탈의 겹침으로 화학결합을 설명하는 이론을 '원자가 결합 이론'이라 한다. 여기에 기여했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