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보자"(으)로 총 317건 검색되었습니다.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암세포 죽이려 세균 죽이는 약을 쓰게 된 이유2024.01.21
- 죽일 수 있는 물질을 찾을 수 있는 방법을 알아냈다. 이제부터 우리도 그런 물질을 찾아 보자”는 이야기를 했다. 뒤보스가 발견한 물질은 그람 양성 세균(미생물학자 그람이 발견한 염색법으로 염색되는 세균)에 효과를 지녔으므로 왁스먼과 우드럽은 그람 음성 세균을 사멸할 수 있는 항생제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데이터 과학으로 본 '손흥민'의 대단함2024.01.10
- 토트넘과 첼시의 차이 20라운드가 지난 현재 프리미어리그 5위인 토트넘과 10위인 첼시를 보자. 매 경기의 기대득실점대로 승부가 났다면 토트넘은 11승 9패로 기대승점 33점인 9위다. 그런데 실제는 12승 3무 5패 승점 39점으로 6점 더 높다. 반면 첼시는 기대득실점대로면 14승 1무 5패로 기대승점 43점인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적인 영역, 선 넘지 않기의 중요성2023.12.02
- 적은 없는지 반대로 부담스러운데 자꾸 선을 넘어서 다가오는 사람은 없는지 생각해 보자. 필요하다면 터놓고 대화를 해 보는 것도 좋겠다. Frost, D. M., & LeBlanc, A. J. (2022). The complicated connection between closeness and the quality of romantic relationships. Journal of Social and Personal Relationships, 39, 1237-1255. Frost, D. M., & ...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최초의 '에이즈' 치료제는 폐기처분된 항암제2023.10.22
- 때 “HIV 감염이 의심되니 정밀검사를 받으십시오”라는 통보를 받았다고 가정해 보자. 죽을 병에 걸렸다고 걱정할 게 아니라 병원에 가서 정밀검사를 받으면 된다. HIV 감염으로 판정되더라도 걱정할 필요는 없다. ‘HIV 감염’이란 ‘몸에 에이즈의 원인이 되는 바이러스가 들어와 있다’는 뜻일 뿐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금연·다이어트, 의지력만으로 안되는 이유2023.08.12
- 요소에는 무엇이 있는지 쭉 적어보고 각각을 해결하기 위한 ‘실천가능한 방안’을 적어보자. 주변 사람들의 협조나 도움을 구하는 것도 좋다. 작은 문제해결 팁과 경험들이 모여 목표 달성으로 가는 다리가 되어 줄 것이다. Gennara, A., Peetz, J., & Milyavskaya, M. (2023). When more is less: Self-control strategies are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감정과 생각 평가하지 않아야 마음이 쉰다2023.07.15
- 판단들에 의해 생긴다는 사실과 내가 겪는 어려움이 곧 나인 것은 아니라는 점 기억해보자.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썼다. 삶에 도움이 되는 심리학 연구를 알기 쉽고 공감 가도록 풀어낸 책을 통해 독자와 꾸준히 소통하고 있다.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마음에도 굳은살이 생긴다2023.06.03
- 이 파도가 사실은 별 것 아닐 수 있음을 이전에도 비슷한 파도를 이겨냈음을 떠올려보자. 파도가 모든 것을 무너뜨리는 것 같을 때에도 내 마음이 그간 훈련했던 경험들은 지워지지 않음을 기억하자. ※필자소개 박진영.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나를 사랑하지 않는 나에게》를 ... ...
- [일상 속 뇌과학] 음식 먹을 때보다 몸에 흡수될 때 행복감 더 느낀다2023.05.26
- 그렇다면 다시 정글 속에서 갈증에 허덕이며 마실 물을 찾아 헤매는 원시 인류로 돌아가보자. 한참을 헤메다가 깨끗한 물을 마실 수 있는 곳을 찾아 갈증을 해소하고 원래 자리로 돌아간 후 다시 갈증을 느낀다면, 같은 장소를 떠올리며 마실 물을 구하러 이동할 것이다. 물을 마실 수 있는 곳에 ... ...
- [일상 속 뇌과학] 나쁜 기억은 왜 쉽게 잊혀지지 않을까2023.03.24
- 중립적이지 않은) 환경 및 자극을 고통을 주는 전기 자극 없이 반복적으로 노출시켜보자. 그러면 새로운 ‘학습’이 발생한다. 생쥐들은 이제 조건화에 사용되었던 그 환경 또는 자극이 과거에 경험했던 고통의 전기 자극과 무관하다는 것을 배우게 되는 것이다. 인간도 역시 바퀴벌레가 완전히 ...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일 '미루기' 만큼 좋지 않은 '서두르기'2023.03.18
- 동안 긴 거리에 걸쳐 바구니를 옮겨야 하는 A 코스를 선택했다. 그 이유에 대해서 물어보자 사람들은 그저 일을 “빨리” 처리하고 싶어서 그랬다고 답했다. 하지만 출발점에서 도착지까지의 거리는 A 코스와 B 코스가 동일했기 때문에 걷는 속도가 같다면 어떤 코스를 선택하든 과제를 처리하는 데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