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대뇌"(으)로 총 63건 검색되었습니다.
- 올해 AI 분야에서 주목할 키워드 '민족주의'와 '중국'동아사이언스 l2020.01.21
- AI ‘호문쿨루스’도 올해 주목할 트렌드다. 호문 쿨루스는 특정 신체 부위를 담당하는 대뇌피질 넓이에 따라 인체 크기를 바꾸어 만든 모형이다. 보고서는 “인간의 뇌는 감각 기관이 활동 할 때 가장 많이 활성화된다”며 “AI도 기술력과 자율성을 높이기 위해 자동차, 드론, 로봇 팔 등 물리적 ... ...
- [만연하는 가짜 의학정보]홍채 보면 건강을 알 수 있다동아사이언스 l2020.01.17
- 홍채 기준으로 10시방향부터 차례대로 '눈'과 '코', '관자놀이', 전두엽-측두엽-후두엽 등 '대뇌'와 '뇌하수체', '소뇌', '귀', '후두부'를 나타낸다. 오른쪽 홍채는 이와 반대 순서다. 그들은 각 영역마다 나타난 색깔과 무늬를 보면 건강상태를 알 수 있다고 주장하는데, 특히 색소가 쌓인 반점은 몸이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냄새와 페로몬에 대한 우리 뇌의 ‘극단적인 융통성’2019.12.31
- 각 뉴런에서 뻗어 나온 축삭은 바로 위에 있는 후각망울에서 모여 정보가 정리된 뒤 대뇌의 후각피질로 전달된다. 교통사고처럼 머리에 큰 충격을 받은 뒤 후각을 상실하는 경우가 드물게 있는 데 후각상피 에서 후각망울로 가는 뉴런의 축삭이 끊어진 결과다. 후각상피와 후각망울 사이에는 ... ...
- [표지로 읽는 과학] 한층 더 상세하게 재현한 뇌 신경세포들동아사이언스 l2019.12.01
- 신경세포 연결성에 관한 정보를 밝혀냈다. 헬름스태드터 소장은 “쥐와 같은 포유류의 대뇌피질은 매우 조밀하게 채워진 엄청나게 복잡한 신경 과정 네트워크”라며 “수천 개의 축색 돌기와 수상 돌기 사이의 연결성을 측정해 뇌 회로의 형성 패턴과 신경세포 네트워크에 대한 통찰력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소리로 소음 잡는다…노이즈캔슬링 시대2019.11.26
- 바뀌어 청신경을 타고 연수의 와우핵으로 간 뒤 중뇌 하구를 지나 시상 내슬핵을 거쳐 대뇌의 청각피질에 이르러 처리돼 우리는 ‘어떤 소리’를 듣게 된다. 와우핵(cochlear nucleus)은 두 쌍이 있어 위치에 따라 등쪽 와우핵(DCN)과 배쪽 와우핵(VCN)으로 불린다. 미국 컬럼비아의대 연구자들은 생쥐가 ... ...
- [표지로 읽는 과학] 흡연과 당뇨병 관계 밝혀지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9
- 영역의 뉴런을 활성화시킨다는 연구결과를 네이처에 발표했다. 하베눌라는 대뇌 신경 회로에서 신경 신호 전달을 중계하는 부분이다. 흡연을 하면 하베눌라 부위의 뉴런에서 ‘니코틴 아세틸콜린 수용체(nAChR)’가 활성화하는데 이것이 췌장에서 인슐린을 내는 것을 조절하는 것을 연구팀은 ... ...
- 운동 빨리 배우는 '운동신경' 찾았다동아사이언스 l2019.10.16
- 머리에 전극을 붙인 채 반복적으로 자기장을 일으켜 대뇌피질을 자극하는 기술이다. 대뇌피질의 일부를 자극해 그 영역을 일시적으로 억제하거나 활성화시킬 수 있어 우울증이나 불안장애, 조현병, 만성통증 등을 치료하는 데에도 쓰인다. 연구팀은 실험 참가자들을 두 그룹으로 나눠 각각 ... ...
- [인류와 질병] 큰 뇌를 가진 인간, 변화에 적응하는 인류에겐 숙명인 질병 2019.09.14
- 산모 자신의 정서에는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는지도 모른다. 전반적으로 임신 중 대뇌의 변화는 다발성 경화증을 막는 긍정적인 효과가 강할지도 모른다. 현대 사회의 낮은 출산율, 늦은 초산 연령은 여성의 다발성 경화증 발병률을 높일 가능성이 있다. 실제로 급격하게 서구화되고 있는 사회에서 ... ...
- [인류와 질병]바이킹과 유산2019.09.08
- 릴리 보브도 조상으로부터 물려받은 큰 뇌를 가지고 있었다. 그리고 몇 년 전, 그의 대뇌에 자본 체화 가설과 다발성 경화증을 연결하는 기발한 착상이 떠올랐다. ※필자소개 박한선 정신건강의학과 전문의, 신경인류학자. 서울대 인류학과에서 진화와 인간 사회에 대해 강의하며, 정신의 ... ...
- [독자와 함께 해봤습니다]내 안의 달리기 본능을 깨워라과학동아 l2019.09.07
- 한 그룹보다 실행능력 등 인지능력 평가에서 좋은 점수를 얻었다. 전두엽을 포함한 대뇌피질의 두께도 더 두꺼웠다. 전두엽은 기억력과 판단력을 담당하는 부위이고, 피질의 두께는 뇌의 건강상태를 나타내는 지표다. 근육에서 분비되는 단백질이 기억력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연구결과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