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스페셜
"
관측
"(으)로 총 53건 검색되었습니다.
원자력이 화석연료를 대체할 수 있을까?
한국원자력문화재단
l
2015.06.30
보고서에 따르면 원자력 발전의 비중도 현재 10.7%에서 2030년에는 13.1%로 늘어날 것으로
관측
됐다. 특히 아시아 지역은 원자력발전의 증가세를 주도할 전망이다. 실제로 현재 전세계에 건설 중인 원자로 69기 중 약 70%가 아시아에 있다. 온실가스에 대한 국제적인 움직임은 원전 확산에 탄력을 ... ...
힉스 이후, 한국인이 제안한 3대 입자가 이끈다
IBS
l
2015.05.06
한국에서 할 예정이다. 바로 세메르치디스 단장의 액시온및극한상호작용연구단에서다.
관측
의 기본 원리는 강한 자기장에서 액시온이 광자로 붕괴하는 현상을 검출하는 것으로, ADMX와 비슷하다. 다만 자기장이 ADMX의 3.5~5배나 되는 등 모든 면에서 훨씬 성능이 뛰어나다는 것이 차이점이다. 1~100μeV ... ...
화학결합의 처음과 끝을 봤다
IBS
l
2015.03.27
밝히고 이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데도 관심을 두고 있다. 여러 화학반응을
관측
하기 위해서는 펨토초 X선 펄스가 필요한데, 이를 제공할 수 있는 X선 자유전자 레이저는 4세대 방사광가속기에서 생성시킬 수 있다. 현재 우리나라도 4세대 방사광가속기(PAL-XFEL)를 포항에 건설하고 있다. 여기서 ... ...
자연은 진공을 싫어하는가?
IBS
l
2015.03.26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요동은 어디까지나 공간을 플랑크 길이(1.6×10-35m) 정도로 확대해야
관측
할 수 있다. 이처럼 ‘조용하지 않은 진공’은 양자역학과 상대성이론이 만난 결과다. 양자역학에서 슈뢰딩거 방정식을 따르는 입자는 필연적으로 위치와 운동량을 동시에 정확하게 결정할 수 없다. ... ...
모든 것의 시작을 찾는 여정
IBS
l
2015.02.25
존재한다는 강력한 증거가 된다. 20세기 후반부터 허블 우주망원경을 위시하여
관측
수단이 크게 발전하면서 암흑물질의 증거가 속속 보고되어 암흑물질은 실제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지금은 존재 여부를 증명하는 차원을 넘어 암흑물질의 분포까지도 알아낼 수 있는 단계에 이르렀다. ... ...
로제타호가 혜성에 닿기까지
KISTI
l
2015.01.26
지구의 바다와 직접 연관성이 없을 수 있다는
관측
데이터가 나왔다. 따라서 로제타호의
관측
결과가 우리의 이런 가설을 미궁에 빠지게 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앞으로 1년간 로제타호는 혜성과 태양계 초기의 환경에 관한 비밀을 풀 수 있는 암호들을 보내올 것이다. 로제타석의 암호를 풀듯 이를 ... ...
우주여행의 지름길, 웜홀(worm hole)
KISTI
l
2015.01.13
개념을 도입했다. 이 이론은 블랙홀의 존재를 예언했고, 이후 이론의 발전과 간접적
관측
을 통해 블랙홀의 존재를 인정하게 됐다. 그리고 이를 바탕으로 웜홀에 대한 이론이 서게 된 것이다. 웜홀을 이용한 우주여행은 가능할까? 현재 웜홀은 수학적으로만 존재한다. 또 웜홀이 존재한다고 해도 지속 ... ...
[생활 속의 기술] 아름다운 과학
KOITA
l
2014.12.29
교과서에서 아무렇지도 않게 배우는 해류지도는, 상당한 위험을 감수하고 직접 바다를
관측
한 덕분에 얻을 수 있었다. 360년 전인 1675년에 하펠이 만든 첫 해류 지도는 당시까지의 탐험 결과를 바탕으로 바다의 흐름을 정리하고 있다. 이 지도에 표현된 해류는 지금 보면 완전히 틀렸다. 표층수와 ... ...
말 많은 양자컴퓨터, 오해와 사실
IBS
l
2014.12.10
양자적 수준에서는
관측
전까지 여러 상태가 확률적으로 중첩된 상태로 존재하다
관측
하거나 조작하는 순간 어느 하나의 상태로 고정된다. 이러한 양자적 특성 때문에 양자컴퓨터는 적은 큐비트로도 많은 경우의 수를 표현할 수 있을 뿐 아니라 큐비트의 행동 자체가 비결정론적이라 여러 가지 ... ...
온타케산 분화로 본 화산 예측의 어려움
KISTI
l
2014.12.01
관측
시스템의 한계라고 판단된다. 즉, 현행 지표 화산
관측
시스템만으로는 어떠한 첨단
관측
장비를 동원하거나 부가해도 화산 아래에서 어떤 일이 이루어지고 있는지 알아낼 수 있는 데는 분명한 한계가 있음을 의미한다. ■ 화산 아래에서는 무슨 일이 벌어지고 있는가 화산 주변에는 과거 화산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