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42건 검색되었습니다.
업그레이드된 중국발 비만치료제 개발 광풍 분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8
중국 바이오기업 유나이티드 바이오테크놀로지가 개발한 비만치료제 ‘UBT251'은 GLP-1, 위
억제
폴리펩타이드(GIP), 글루카곤(GCG) 등 세 가지를 동시에 모방한 삼중 작용제다. UBT251 역시 체중 감량 효과 외에 신장질환, 지방간, 제2형 당뇨병 등 다양한 질환에서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는 임상이 ... ...
재발성 뇌종양, 유전자 분석으로 치료 실마리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종양의 마지막 변화 단계에서 더욱 활성화된다는 점을 확인했다. 활성화된 COL6A3은 면역
억제
성 대식세포와 상호작용해 종양의 악성화를 돕는다는 사실도 발견됐다. 기존 수막종 위험도 예측 지표와 COL6A3 발현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에서 COL6A3의 과발현은 수막종의 위험성을 더 높였다. ... ...
한국서 사용 중인 미국산 제초제 ‘디쿼트’, 신장·간 손상 유발 논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국제학술지 '약리학에 최전선'에 5월 발표한 연구 결과에 따르면 디쿼트가 유익균 생성을
억제
하고 영양소 흡수와 에너지 대사를 방해해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 다장기기능부전(MODS)을 유발할 가능성도 지적됐다. 한국에서 '디콰트'란 이름으로도 알려진 디쿼트는 잡초를 빠르게 ... ...
암세포 항암제 내성 없앤다…당뇨병 치료도 기대
동아사이언스
l
2025.07.07
다시 반응했다. 같은 항암제에 내성을 갖는 다른 종류의 유방암 세포에도 같은 유전자를
억제
하자 항암제 반응성이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유식 교수는 "세포 대사는 감염병, 퇴행성 질환 등 다양한 난치성 질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며 "대사 조절 스위치 예측 기술은 약물 내성 유방암 ... ...
[재생의료 최전선]⑥ "바이오에서 뒤처진 한국…오가노이드가 성장 동력될 것"
동아사이언스
l
2025.07.04
재생시킬 수 있다. 장기나 조직 손상에 사용하는 기존 치료제들은 손상 원인을
억제
한다. 염증성 장질환으로 장에 손상이 발생했다면 염증 수치를 떨어뜨리는 치료를 한다. 염증을 줄여도 손상 부위는 남는다. 오가노이드는 손상 부위 자체를 재생시키는 근본적인 치료제다. ... ...
입속에 난 상처는 왜 흉터가 안생길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7.03
통해 상처를 재생하고 이 과정에서 효소 'FAK'가
억제
된다는 사실이 발견됐다. AXL을
억제
하자 쥐의 구강 점막에서도 상처가 섬유화되면서 흉터가 형성됐다. 반대로 쥐 얼굴 상처에 있는 AXL을 자극하자 치유가 빨라지고 흉터가 줄어드는 효과가 나타났다. 인간의 상처 회복 과정에도 AXL과 FAK가 흉터 ... ...
수포자 사라질까…뇌 특정 영역 전기자극했더니 "수학 학습 효과 향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전기 자극의 효과는 더 두드러졌다. GABA는 뇌의 과도한 흥분을
억제
하는 대표적인
억제
성 신경전달물질이다. 이미 뇌 연결이 잘 되어 있던 사람들에게는 효과가 제한적이었다. 카도시 교수는 "교육을 개선하려는 노력은 주로 교사나 교육과정 등에 집중돼 왔고 학습자의 생물학적 특성은 거의 ... ...
천연물 '아카세틴'에서 지방간질환 치료 단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5.07.02
회복시켜 MAFLD를 완화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팀은 LAMTOR1 유전자를
억제
해 아카세틴과 유사한 자가포식을 유도해 LAMTOR1이 아카세틴 작용의 핵심 표적이라는 점도 추가적으로 입증했다. 권호정 교수는 “이번 연구는 자연 유래 플라보노이드인 아카세틴이 자가포식 경로를 정밀하게 ... ...
장내 미생물로 난치성 뇌종양 면역치료 효과 높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01
능력을 강화하기 때문이라는 사실이 입증됐다. 이흥규 교수는 “이번 연구는 면역관문
억제
제가 효과를 보이지 않았던 난치성 뇌종양에서도 장내 미생물을 활용한 병용 전략을 통해 치료 반응을 유의하게 높일 수 있음을 보여준 의미 있는 성과”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셀 ... ...
뇌세포가 당을 해독제로 바꾼다…치매 예방 가능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30
원래 세포 안에서 글리코겐을 잘게 쪼개는 과정을 방해했다. 글리코겐 분해가
억제
되면 세포는 당을 제대로 활용하지 못하게 됐다. 산화 스트레스를 해소하는 데 필요한 물질도 만들 수 없게 됐다. 연구팀은 "결국 세포 손상이 시작됐고 이러한 현상은 알츠하이머 같은 퇴행성 뇌질환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