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통제
제어
구속
억압
규제
콘트롤
자제
뉴스
"
억제
"(으)로 총 2,94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 속 별세포로 PTSD 치료 가능성 확인…치료제 임상2상 진행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기억이 지속되는 원인이라는 것을 보여준다"고 말했다. 마오비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
하는 신약 후보 물질 'KDS2010'의 효과도 확인했다. 동물모델에 KDS2010을 투여한 결과 별세포의 가바 농도와 뇌혈류량이 정상 수준으로 회복됐다. 공포 반응을 조절하는 뇌 기능도 나아져 불안 행동 증상이 ... ...
보이지 않던 면역의 연결고리, 미세융모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Cdc42 유전자를 선택적으로 제거한 유전자 변형 마우스 모델과 Cdc42 단백질만을 표적으로
억제
하는 저해제(CASIN)를 투여한 마우스 모델을 활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그 결과 Cdc42가 결핍된 T세포에서는 미세융모의 길이와 수가 현저히 줄어들었으며 항원을 인식하는 데 필수적인 T세포 수용체(TCR) ... ...
나노입자로 천식 치료…투여하자 폐 염증 감소
동아사이언스
l
2025.07.29
M2 대식세포를 유도한다”며 “궁극적으로 조절 T세포를 활성화해 전신적인 염증반응을
억제
한다”고 말했다. 이어 “DM-HNP는 특정 면역세포에 정밀 타깃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 항염증제 대비 적은 용량을 써도 되고 전신 부작용도 줄인다”며 “향후 알레르기성 천식뿐만 아니라 자가면역질환, ... ...
길어야 15살까지 사는 조로증, 정교한 유전자가위로 치료 가능성
동아사이언스
l
2025.07.28
기능까지 좋아졌다. 사람의 피부 세포로 실험을 했을 때도 자연적인 노화 현상이 일부
억제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김 박사는 "이번 기술은 조로증 뿐만 아니라 RNA 편집 오류로 발생하는 다른 유전 질환의 15%에도 적용이 가능하다"며 "앞으로 노화 관련 질환이나 암, 신경퇴행성 질환 등에도 확장할 ... ...
[사이언스영상] 화산폭발이 늘어난 이유
SEIZE
l
2025.07.26
폭발이 화산에 있던 빙하가 녹았기 때문에 발생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화산의 분출을
억제
하던 빙하의 무게와 압력이 줄어들면서 마그마 속 가스가 팽창하고 압력이 증가해 결국 화산이 폭발한 것이다. 이는 현재의 지구온난화도 화산 폭발을 야기할 수 있다는 점을 시사한다. 연구를 이끈 ... ...
나이 들수록 빠지는 근육 되살리는 방법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4
치료제로 발전시키기 위해 후속연구를 이어가겠다"고 말했다. 연구팀은 DUSP22 단백질과
억제
화합물에 대해 국내외 특허 출원을 완료했다. - doi.org/10.1038/s44321-025-00234- ... ...
열대야에 무너지는 수면 리듬…카페인·알코올 줄여야
동아사이언스
l
2025.07.22
가정의학과 교수는 “열대야는 체온이 떨어지기 어려운 환경을 만들어 멜라토닌 분비가
억제
되고 수면 유도 기능이 약화된다”며 “그 결과 잦은 각성과 짧은 수면 지속으로 인해 낮 동안의 집중력 저하, 기분 장애, 사고 위험 증가까지 초래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노년층은 체온 조절 ... ...
폭음이 간세포 자극해 면역세포와 직접 '대화'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같은 결론이 도출됐다. 연구팀은 특히 유전자 조작과 약물 투여를 통해 VGLUT3 또는 mGluR5를
억제
한 결과 간 염증과 조직 손상이 눈에 띄게 완화되는 것이 확이됐다. 연구팀은 "해당 경로가 치료 타깃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준다"고 설명했다. 연구를 이끈 양경모 교수는 “이번 연구는 간세포와 ... ...
암 치료 막는 '가짜내성' 극복될까…현대ADM "병용치료제, 효과 확인"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암 덩어리의 크기도 절반 이상 작아졌으며 암세포가 더 공격적인 형태로 바뀌는 과정도
억제
돼 암의 전이를 막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고 말했다. 현대ADM과 현대바이오사이언스는 10월 미국 보스턴에서 열리는 AACR-EACR 국제암학회에서 페니트리움의 가짜내성 극복 기전과 관련 ... ...
뇌 속 혈류 조절의 열쇠,
억제
성 신경세포에서 찾아
동아사이언스
l
2025.07.21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역할을 한다는 사실을 뒷받침한다. 김 단장은 "연구는
억제
성 신경세포와 성상세포 간의 정교한 상호작용이 뇌 혈류 조절의 핵심 기전임을 입증한 성과다"며 “치매와 우울증 등 다양한 신경정신질환에서 SST 신경세포의 기능 이상이 혈류 반응에 미치는 영향을 이해하는 데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