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근적외선 뿜는 '생체분자 플라빈' 최초 구현…몸 깊숙한 곳 진단
동아사이언스
l
2025.04.23
nm, 1nm는 10억분의 1m)인 근적외선 영역의 빛까지
발광
했다. 현재까지 보고된 플라빈
발광
중 가장 파장이 길다. 개발된 분자는 전기화학적 반응을 조절하는 기능까지 갖춘 것으로 확인됐다. 사람의 눈으로 볼 수 있는 가시광선의 파장 범위는 약 400nm(보라색)에서 700nm(빨간색)이다. 연구팀은 플라빈의 ... ...
'NGC7331과 외로운 은하들의 춤'…천체사진공모전 수상작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4.21
씨의 '작은 렌즈로 담아낸 캘리포니아 성운'. 페르세우스자리에서 빛나는 대표적인
발광
성운 캘리포니아 성운(NGC 1499). 그 모양이 캘리포니아주를 닮아 이름 붙여졌다. 허블 팔레트 기법을 활용해 성운의 다채로운 색감을 강조하며 주변을 감싸는 어두운 우주 먼지의 신비로운 모습도 담았다. 천문연 ... ...
올해의 ETRI 연구자상에 엄용성 책임연구원…마이크로 LED 공정 혁신
동아사이언스
l
2025.04.04
책임연구원이 '올해의 ETRI 연구자상'을 수상했다. 차세대 디스플레이인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LED) 패널 생산 공정을 혁신적으로 단축할 수 있는 접착용 신소재를 개발한 성과를 인정받았다. ETRI는 4일 ETRI 본원에서 진행한 창립 49주년 기념식에서 올해의 ETRI 연구자상을 포함한 시상식을 진행했다고 ... ...
이동욱 HD현대사이트솔루션 대표 등 4인, '2025년도 자랑스러운 서울대 공대 동문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4.03
사장은 삼성전자와 삼성디스플레이를 거치며 폴더블 디스플레이 개발을 이끄는 등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분야에 크게 공헌했다. 첨단 기술의 대중화를 통해 국내 이차전지 분야의 혁신을 주도하고 있다. 장인화 포스코홀딩스 회장은 포스코그룹에서 30여년간 철강, 이차전지 등 소재산업 발전을 ... ...
안경 없이 온전한 3D 디스플레이 나올까…RGB 구현 나노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3.30
TV가 표현할 수 있는 표준 색상 범위인 'NTSC 색공간'의 94.2%를 달성했다. 같은 방식의
발광
나노입자 중에서는 세계 최고 수준이다. 정보통신(IT) 분야에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색상 범위 규격인 'sRGB 색공간'의 133%에 달하는 넓은 색재현 범위를 달성했다. 장 책임연구원은 "개발된 나노입자는 진정한 3D ... ...
춤추고 노래하는 '구부러지는 OLED'…스피커 품은 디스플레이 탄생
동아사이언스
l
2025.03.25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진이 형태 변형과 스피커 기능을 갖춘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패널 기술을 개발했다. 화면을 구부릴 수 있는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전자기기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자유롭게 형태를 바꾸면서 스피커 ... ...
세계에서 가장 작은 LED 디스플레이…바이러스 크기 픽셀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20
제공 과학자들이 역대 가장 작은
발광
다이오드(LED) 디스플레이를 개발했다. 디스플레이의 해상도와 에너지 효율을 개선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바오단 자오 중국 저장대 광학공학과 교수 연구팀은 픽셀 폭이 바이러스 크기에 불과한 LED를 개발하고 연구 결과를 19일 국제학술지 ... ...
"빛으로 뉴런 조작해 정신질환 치료…뇌 전극 삽입 뉴럴링크와는 달라"
동아사이언스
l
2025.03.19
다이서로스 교수는 “이전에는 뇌에 수술적으로 광섬유를 삽입해야 했지만 이제는
발광
다이오드(LED)을 통해 뇌 표면에서 깊은 뉴런까지 자극할 수 있게 됐다"고 설명했다. 광유전학 치료의 실용성을 획기적으로 높였다는 설명이다. 살제로 최근에는 심장 근육에 발현된 옵신을 통해 LED 조끼만 ... ...
LED 조명 350개 켠 '테이프 발전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3.15
알루미늄에 전극을 연결해 발생한 전력을 측정했더니 53mW(밀리와트)였습니다. 전극을
발광
다이오드(LED)와 연결했더니 350개가 넘는 LED의 조명을 켤 수 있었습니다. 연구팀은 이 기술을 활용해 발전기를 만들기도 했어요. 장갑과 옷에 테이프와 알루미늄을 붙이고 전극을 연결한 뒤 손가락이나 무릎을 ... ...
유기반도체 난제 해결해 고효율 편광 OLED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3.14
원형 편광을 방출하는 유기 반도체를 구현하고 이를 활용해 밝고 효율적인 녹색광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리처드 프렌드 영국 케임브리지대 캐번디시 연구소 교수와 베르트 메이어 네덜란드 아인트호벤공과대 교수 공동연구팀은 전자가 나선형으로 움직이도록 유도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