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복사
조사
야광
형광
복제
냉광
방열
뉴스
"
발광
"(으)로 총 678건 검색되었습니다.
송신·암호화 동시 처리…'100배 빠른 라이파이'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24
나노초 단위의 짧은 시간 동안 소자 내 전하 이동과
발광
특성을 분석했다. 과도 전계
발광
분석은 짧은 시간 동안 전압을 순간적으로 가하고 이때 발생하는 빛의 반응을 정밀하게 측정해 소자의 반응 속도와 내부 전하 이동 특성을 분석하는 기법이다. 분석 결과 소자 내에서 이중 채널의 ... ...
레고처럼 조립했더니 14배 밝아진 금속 입자
동아사이언스
l
2025.06.20
나노클러스터를 원자 단위에서 정교하게 설계한 방법으로 기존보다 밝은 빛을 내는
발광
소재를 만들 수 있는 전략이다. 금 나노클러스터에서 합금 나노클러스터로 분해·재조립되는 과정을 나타낸 모식도.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전기분무 이온화 질량분석(ESI-MS)과 광학 분광법을 이용해 ... ...
밤에도 밝고 뜨거운 도시, 식물 생장기 늘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7
수분 매개자의 꿀 채집 활동을 62% 줄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팀은 최근 인공조명이
발광
다이오드(LED)로 전환되면서 식물이 더욱 민감하게 반응할 것이라는 추측을 내놨지만 추가 연구가 필요한 상황이다. 연구팀은 "식물에 미치는 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는 조명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 ...
돼지 배아에서 처음 자란 '인간 심장'…21일간 생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히데키 도교대 과학연구소 교수는 13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네이처’를 통해 “형광
발광
세포가 돼지 배아 심장의 제한된 부분에만 위치해 있었다”며 “인간이 기증한 세포와 돼지 세포가 얼마나 잘 융합됐는지는 아직 불확실하다”고 말했다 ... ...
페로브스카이트와 빛의 만남 '100조분의 1초' 순간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6.12
에 공개됐다. 페로브스카이트는 빛 흡수율과 에너지 변환 효율이 높아 태양전지와
발광
다이오드(LED) 등 광전소자 분야에서 '꿈의 소재'로 평가된다. 물질의 특성을 분석하는 기존 분광 기술은 측정을 위해 조사된 빛 자체가 시료 특성을 변형시키기 때문에 페로브스카이트 나노결정이 빛과 반응할 ... ...
박문정·고승환 교수 등 6명 2025 리더연구 선정
동아사이언스
l
2025.05.28
개발과 비납계 준양자 결정 광전소자 개발을 수행하며, 엑시톤 결합 에너지가 작아 낮은
발광
효율과 낮은 이온 이동 활성화 에너지로 인한 낮은 안정성을 극복하는 것이 목표다. ● 학문분야 선도 연구그룹 14개 선정, 총 1901억원 지원 선도연구센터 사업은 10~15인 내외 연구자들을 대상으로 하는 ... ...
눈 감아도 보인다…야간투시경 역할 콘택트렌즈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3
상자보다 어두운 상자가 안전하다고 생각한 것이다. 실험에서 렌즈를 착용한 사람은
발광
다이오드(LED)에서 나오는 적외선이 보내는 모스 부호 신호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신호가 어디서 오는지도 알 수 있었다. 참가자가 눈을 감았을 때도 콘택트렌즈의 기능이 유지됐다. 근적외선은 ... ...
OLED 픽셀마다 다른 소리 스피커 없이 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5.20
포스텍은 최수석 전자전기공학과 교수, 홍인표 반도체대학원 박사과정생 연구팀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의 화소마다 서로 다른 소리를 내는 '픽셀 기반 로컬 사운드(Pixel-based Local Sound)' 기술을 구현했다고 20일 밝혔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25일(현지시간) 국제학술지 '어드밴스드 ... ...
한국 떠나 中 가는 이공계 석학들…'연봉 4억·수천억 실험 지원' 거센 러브콜
동아사이언스
l
2025.05.02
고 했다. 중국으로의 이동을 제안받은 과학자들의 연구 분야도 다양하다.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처럼 산업과 밀접한 것부터 중성미자, 블랙홀 등 기초과학 연구까지 다양하다. 중국 베이징의 모습.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중국은 국내 석학들에게 갈수록 매력적인 선택지로 떠오르고 있다. ... ...
열증착 공정으로 고성능 P형 트랜지스터 제조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5.04.29
공정은 재료를 고온에서 증발시켜 기판 위에 얇은 막을 형성하는 방식으로 현재 유기
발광
다이오드(OLED) TV나 스마트폰 디스플레이에 쓰인다. 열증착 공정을 통해 주석 기반 페로브스카이트 트랜지스터를 제작하는 과정. 포스텍 제공 연구팀은 만들어진 반도체층에 납 클로라이드(PbCl2)를 소량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