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평야
밭
논밭
필드
필드워크
전답
들
뉴스
"
들판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날개를 달고 어딘들 가지 못할까마는…
2019.04.10
붉은점모시나비는 바람 찬 정상 부근의 넓고 푸른
들판
이 자기가 사는 곳이다. 그런데
들판
너머가 궁금했는지, 지금 사는 곳이 답답하게 느껴져 좀 더 큰 세상과 만나고 싶었는지 하늘에 길을 만들어 이동을 했다. 강원도 삼척 추동리에서 채집해 14번 번호를 붙인 개체는 5.6km 떨어진 지각산에서 ... ...
"산불 예방·복구 힘 모으자" 과학기술계 긴급 논의(종합)
연합뉴스
l
2019.04.10
찾기로 9일 강원 강릉시 옥계면 주민이 최근 산불이 발생하면서 새까맣게 타 버린
들판
에서 봄 농사 준비를 하고 있다. 과학기술출연기관장협의회(과출협)와 국가과학기술연구회는 9일 대전 유성구 국립중앙과학관과 한국화학연구원 디딤돌플라자에서 강원도 산불 피해 관련 과학기술계 ... ...
[미세먼지 재난]④초미세먼지 연평균 농도는 27위 수준…특정 기간에 집중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6
동아시아 국가 중 2018년 평균 초미세먼지 발생량이 가장 많은 국가는 예상과 달리 넓은
들판
과 파란 하늘이 연상되는 몽골이었다. 58.50 µg/m³로 세계 6위를 차지했다. 2018년 세계에서 가장 초미세먼지 발생량이 많은 국가는 방글라데시였다. 97.10 µg/m³의 수치를 기록했다. 수도권 미세먼지 비상저감 ... ...
[프리미엄 리포트] 메트로폴리탄은 ‘태양의 도시’로 변신 중
과학동아
l
2018.11.14
발전을 도시에 맞게 발전시킬 방법을 고민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존의 태양광 발전은
들판
이나 산림, 저수지 등 넓은 면적에서 이뤄지는 대용량 발전이었다. 도시에서는 이런 공간을 확보할 수 없다. 이런 문제에 대한 대안으로 건물일체형 태양광시스템(BIPV·Building-integrated photovoltaics)이 ... ...
목숨을 건 연구 체험기! 아마존에서 살아남기
2018.08.20
행복을 누릴 수 있었다. 빗소리를 배경음악 삼아 해먹에서 책을 읽거나 야생초 가득한
들판
을 축구장삼아 동네 주민들과 축구를 즐기고, 또 강물에 들어가 다같이 물놀이를 즐길 수도 있었다. 악어나 뱀이 물놀이를 함께 하지 않은 것이 참 다행이지만 말이다. 숙소 앞에 나타난 독사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고기를 향한 무서운 열망... 어떻게 해결할까?
2018.07.24
무려 25%를 차지하고 있다. 반추동물인 소나 양의 트림이 주범이다. 오늘날 소의 8%가
들판
에서 풀만 먹고 자란다. 소의 타고난 생리에 맞는 삶이므로 동물복지를 확실히 누리는 소의 비율이라고 볼 수 있겠다. 그런데 소의 복지를 위해 밀집사육을 초지사육으로 바꿀 경우 이산화탄소 발생량이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 다세포성의 기원에 대한 고찰
2018.07.10
우리에 갇힌 말과 같다. 재갈에 물린 채 묵묵히 사람을 태우고 다니지만 몸에는 그 옛날
들판
을 마음껏 뛰어다니던 조상의 피가 흐르고 있다. 어느 날 우연히 우리의 빗장이 풀려있는 걸 발견한 말이 탈출을 감행해 꿈을 이룬 게 암세포 아닐까. 그렇게 해서 소원은 풀었지만 제멋대로 돌아다니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빛이 닿아야만 나타나는 풍경
2018.04.28
따라 가로수의 그림자 길이와 방향이 달라지는 거예요. 때로는 조각구름의 그림자가
들판
이나 운동장에 커다란 제 그림을 그려 놓기도 해요. 빛을 가장 잘 반사하는 물체는 ‘거울’이에요. 거울은 물체의 모양을 자세히 비추어 보기 위해 수천 년부터 사람들이 만들어 사용한 물건이에요. 아주 ... ...
[내 마음은 왜 이럴까?] 신의 목소리를 들어본 적이 있나요
2018.01.21
한 시골 마을에 평범한 소녀가 살았습니다. 1425년, 13세의 소녀 잔 다르크는 어느 날
들판
에서 신의 목소리를 듣습니다. 한참동안 고민하던 그녀는 계시에 따라 고통받던 프랑스를 구하기로 결심합니다. 16세에 프랑스 군의 최고 사령관에 오른 소녀 잔 다르크는, 잉글랜드 군을 상대로 연전연승을 ... ...
우리 개는 안 물어요?...개들이 공격적으로 행동하는 이유
2017.10.24
야생의
들판
에서 지붕 밑으로 들어와 함께 인간과 살아온 시점은 3만 년~1만 5000년 전부터라고 추정됩니다. 그렇게 개는 인간의 가장 오랜 친구로서, 최근에는 가족의 울타리에서 자식처럼 사랑받는 반려동물로 자리 잡으며 더욱 친숙해지고 있습니다. 하지만 인간의 생활에 최적화된 듯한 개도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