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가
서기
저널리스트
사무원
연예기자
연예
필자
뉴스
"
기자
"(으)로 총 46,068건 검색되었습니다.
권석윤 생명연 원장 "PBS 폐지 따라 인공장기·바이오항공유 개발 추진"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고 밝혔다. 권석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원장이 10일 서울 광화문 인근에서 진행된
기자
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제공 권 원장은 이날 '건강한 삶과 바이오경제를 구현하는 글로벌 리더'를 비전으로 연구와 경영 두 축에서 구체적인 추진목표와 전략을 제시했다. 연구 ... ...
[스페이스버드]⑭ 가루가 알약이 되기까지…보령 예산캠퍼스 방문기
어린이과학동아
l
2025.09.11
보령 예산캠퍼스에 방문한 어린이 우주
기자
단의 모습. 스튜디오 51 제공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가 발행하는 과학 잡지 ... 와 함께 다양한 우주 미션을 수행하고 최종 어린이 우주인에 도전하세요! ▼어린이 우주
기자
단 신청하기 https://press.popcornplanet.co.kr/astronaut/intro ... ...
'남해안 적조 피해' 국내 위성이 포착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블루본이 포착한 남해안 일대의 적조 피해 현장. 텔레픽스 제공 국내 위성이 최근 확산되고 있는 남해안 일대 적조 피해 상황을 포착했다. 포착한 위성 영상은 적조 농도가 높을수록 적색으로, 낮을수록 청색으로 표현돼 농도 분포를 한눈에 확인할 수 있다. 우주 인공지능(AI) 종합 솔루션 기업 ... ...
원자로 이상 재빨리 파악하고 브리핑…AI 에이전트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iPWR 시뮬레이터를 이용해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에이전트의 기능을 시험하고 있다. 원자력연 제공 원자로 운전 지원을 위한 인공지능(AI) 에이전트가 국내에서 개발됐다. 한국원자력연구원(원자력연)은 유용균 디지털원자로·AI연구센터 인공지능응용연구실 실장과 김승근 선임연구원, 염승 ... ...
계란 흰자 단백질 원리 이용해 성능 2.6배 높인 방열소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어드밴스드 사이언스 표지 논문 사진. 한국재료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계란 흰자에 있는 단백질의 원리를 이용해 고성능 방열 복합소재를 개발했다. 한국재료연구원(KIMS)은 차현애 나노재료연구본부 선임연구원 연구팀이 친환경성과 저비용 공정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고성능 방열 복합소재 ... ...
엔젤로보틱스, 하나금융그룹과 초고령사회 신시장 창출·공략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10일 중구 하나금융그룹 본사에서 국내 웨어러블 로봇 기업인 엔젤로보틱스의 조남민 대표(왼쪽)가 이승열 하나금융그룹 부회장과 '로봇, 의료, 금융 융합 서비스'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있다. 엔젤로보틱스 제공 국내 웨어러블 로봇 기업인 엔젤로보틱스가 하나금융그룹과 함께 초고령사회 신시장 ... ...
'재생에너지 변덕' 보완할 '액체공기 에너지저장기술' 핵심 자재 독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에너지저장연구실 책임연구원팀이 액체공기 에너지저장시스템의 핵심
기자
재인 터보팽창기와 콜드박스 기술을 독자 개발하고 공기액화 실증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태양광이나 풍력 등을 활용한 재생에너지는 연중 날씨에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일정한 전력 공급이 어렵다. 탄소중립 목표를 ... ...
흑연 국산화 전환점…폐자원 활용 고순도 음극재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이 개발한 기술로 정제된 흑연.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제공. 국내 연구팀이 버려지는 흑연 부산물을 이차전지용 고순도 음극재로 재활용하는 기술을 개발했다. 국가 전략 광물인 흑연의 수급 안정성을 강화하고 이차전지 산업의 자립 기반을 마련하는 중요한 전환점이 될 것 ... ...
진짜와 더 가까워진 '인공 미니 신장'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사람의 신장과 닮은 새로운 인공 미니 신장이 개발됐다. 기존 미니 신장에 포함되지 않았던 신장의 배관망 구조와 기능이 포함됐다. 울산과학기술원(UNIST)은 박태은 바이오메디컬공학과 교수와 김동성 포스텍 기계공학과 교수 연구팀이 신장의 연결 구조와 세포 기능을 재 ... ...
무인 건설 로봇이 교량 거더 설치…인명사고 위험 원천 제거
동아사이언스
l
2025.09.11
교량용 거더 원격정밀거치 기술 시험적용 현장. 건설연 제공 국내 연구팀이 교량 건설 현장에서 수평 구조물인 거더(Girder)를 정밀 설치하는 무인 로봇기술을 공사 현장에서 처음으로 실증했다. 고위험 작업의 무인화로 인명사고를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기술이다. 한국건설기술연구원은 구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