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학과"(으)로 총 4,357건 검색되었습니다.
- [과학뉴스] 서울대 의대 정원 확대, 의사과학자 만든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지금까지 450여 명의 석박사 졸업생을 배출했다. 서울대는 “서울대의 바이오헬스 관련 학과 및 첨단융합학부와 연계하는 교육연구를 통해 우수인력 양성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한다”며 “이번 증원이 의사과학자 양성에 집중적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연구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의대 정원 ... ...
- [다시 쓰는 과학교과서] 표준모형 너머 우주의 근본 이론 찾는다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고에너지 물리학 실험 결과를 바탕으로 입자물리학의 표준모형을 넘어서는 새로운 물리학과 우주의 기원에 대한 답을 찾는 것이 목표다. 표준모형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현상, 대표적 예시가 암흑물질이다. 암흑물질은 현재 우주의 모습을 만들기 위해서 반드시 존재해야 하지만, 빛(전자기파)으로 ... ...
- 상어의 무한재생 이빨 인간도 가능할까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유전자 재작동시킬 방법은? 2016년 11월, 가레스 프레져 당시 영국 셰필드대 진화발생생물학과 교수팀은 상어에 있는 이빨 재생 유전자가 인간에게도 있다는 연구 결과를 미국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발표했습니다. 바로 Sox2 유전자입니다. doi: 10.1073/pnas.1612354113 논문에 따르면 Sox2 유전자는 4억 5000만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단서가 될 것입니다.*필자소개서진주. 인하대 물리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앨리스 실험에서 검출기 시뮬레이션과 맵시 쿼크를 포함한 입자들을 연구하고 있다. seo@physi.uni-heidelberg ... ...
- [특별기획] Part1. 가벼운 블랙홀일까, 무거운 중성자별일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중력 상호작용은 더 강력해진다. 중력파 천체물리학자인 김정리 이화여대 물리학과 교수는 “두 천체 사이의 거리가 가깝다는 것은 강력한 중력 상호작용의 근거”라며 “강하게 끌어당기면서도 충돌하지 않으려면 그만큼 무거운 질량을 가진 별들이어야 할 것”이라고 대답했다. 즉, 동반성은 ... ...
- [특집] 도파민 중독, 오해와 진실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즉각적인 즐거움만을 쫓고 있기 때문이다. 안나 렘브케 미국 스탠퍼드대 의대 중독의학과 교수는 저서 ‘도파민네이션’에서 “스마트폰은 현대의 피하 주사 바늘”이라고 말했다. 언제나 가지고 다니는 스마트폰은 소셜 미디어를 통해 자극적인 콘텐츠를 빠르고 쉽게 만날 수 있는 통로다. 2월 9일 ... ...
- [과학뉴스]2억 8900만 년 전 가장 오래된 피부 화석 발견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수 있었다는 것이다.논문의 주저자로 참여한 에단 무니 토론토대 미시사가 캠퍼스 생물학과 연구원은 보도자료에서 “표피는 척추동물이 육지에서 생존하는 데 필요한 특징”이라며, “가혹한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중요한 장벽이었을 것”이라 밝혔다. 나아가 “초기 피부 연구를 통해 ... ...
- 모두가 즐겁고 편안한 파티가 되려면 몇 명을 초대해야 할까?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취득했다. 카네기멜론대, 벨 연구소, 마이크로소프트 리서치를 거쳐 연세대 수학과 교수로 임용된 후, 2013년부터는 고등과학원 계산과학부 교수로 재직 중이다.연구 분야는 조합론과 계산수학이며, 램지의 정리에서 R(3,t) 값의 크기 함수를 구해 1997년 풀커슨 상을 수상했다 ... ...
- [가상인터뷰] 소변이 노란색인 이유 밝혀졌다!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이루는 원반 모양의 세포란다. 1월 3일 미국 메릴랜드대학교 세포생물학및분자유전학과 브랜틀리 홀 교수팀이 이러한 연구 결과를 발표했어.적혈구는 붉은색 아니었어? 넌 왜 노란색이야?적혈구는 만들어진 지 120~140일이 지나면 수명을 다해. 수명이 다한 적혈구가 분해되면 부산물로 ... ...
- 리그 순위 좌우하는 승률 계산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조정하기 위해 KBO 기록을 통계적으로 분석했다. 2015년 이장택 단국대학교 응용통계학과 교수가 한국데이터정보과학회지에 발표한 논문에서 KBO 원년부터 2005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하면 지수가 1.87이 가장 잘 맞아떨어졌으나 2013년까지의 데이터를 이용한 경우에서는 지수가 1.82여야 잘 맞는다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