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물림
충실
충만
싫증남
포식
satiety
d라이브러리
"
포만
"(으)로 총 60건 검색되었습니다.
[Knowledge] 녹색식물도 키우는 ‘ 화성 호텔’
과학동아
l
2014년 08호
꺼냈다. 비록 직접 불과 물을 사용해 요리한 따끈한 식사는 아니지만, 맛을 즐기고
포만
감을 느끼는 데에는 지장이 없었다.최근에는 여기에 신선한 채소가 곁들여졌다. 1층과 2층 중간에 리프트를 멈추고 식물재배 키트(kit)를 돌아보고 있는 유럽인 대원 앨런에게 아침인사를 했다. 앨런이 기지 ... ...
면역세포로 암세포 ‘킬러’ 만든다
과학동아
l
2014년 02호
말기 흑색종 환자에게서 면역세포를 분리한 뒤 이 가운데 암세포를 공격할 수 있는 T세
포만
분리했다. 이 세포를 실험실에서 대량 증식해 환자의 몸에 다시 넣자 흑색종이 말끔히 사라졌다. 그는 이 결과를 2002년 ‘사이언스’에 발표했다.2010년에는 유전자를 조작해 T세포를 더욱 강하게 만들어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
과학동아
l
2013년 10호
수치다. GI지수가 낮은 음식은 혈당이 천천히 올라가기 때문에 오히려 식용억제 및
포만
감까지 주어 당뇨환자에게 도움이 되고 다이어트에도 유리하다.빌&멀린다 게이츠 재단이 고구마에 관심을 둔 까닭최근 홍수 가뭄 등 지구촌 곳곳에서 이상기후 현상이 일어나면서 식물이 자랄 수 있는 환경이 ... ...
과학으로 보글보글, 요리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13호
같은 걸로 식사를 대신하지 않을까? SF 영화에서 보면 많이들 그러잖아.노노~, 알약은
포만
감을 느낄 수 없잖아. 밥 한 공기보다 열량이 높은 초콜릿을 먹었다고 해서 배가 안 고픈 게 아닌 것처럼 말이야. 그래서 말인데, 내 생각엔 나노기술을 이용해 영양을 더 높이면서 맛은 더 좋은 나노푸드가 ... ...
나노기술이 여는 식도락 세계
과학동아
l
2010년 07호
입장이다.최근 ‘블리스트리’라는 건강과 웰빙 관련 사이트에서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포만
감을느끼게 해주면서 다이어트에 도움이 되는 나노푸드가 등장한다면 제품을 구매할 의사가 있느냐는 질문이다. 대답은 사먹어 보겠다는 쪽이 많았다. 안전성보다 다이어트에 효과가 있다는 게 구매 ... ...
공공의 적 비만에 대한 오해와 진실
과학동아
l
2010년 05호
단백질 섭취를 늘리는 ‘황제 다이어트’도 비슷한 예다. 단백질은 칼로리가 낮고
포만
감을 오랫동안 유지시킨다는 장점이 있다. 실제로 고단백질 저탄수화물 식사요법이 1년에 2.1kg의 체중을 감소시킨다는 연구결과도 있다. 하지만 전문가들은 황제 다이어트가 다른 식사요법에 비해 효과가 월등히 ... ...
비만을 부르는 지방산의 유혹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하는 메시지를 보낸다”고 설명했다. 렙틴이나 인슐린이 제 기능을 하지 못하면
포만
감을 느끼지 않아 음식을 계속 먹게 된다.이런 현상을 렙틴 저항성, 인슐린 저항성이라고 부른다. 그동안 지방을 많이 함유한 음식을 먹을 경우 이런 현상이 생길 수 있다는 사실은 알려져 있었지만 특정 지방산이 ... ...
[신경과학] 지방을 섭취한 기억이 오래가는 이유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불포화지방이 소장 상부에서 ‘OEA’라는 합성물로 변환되고, 이 성분이 뇌에
포만
감을 느끼도록 신호를 보내 식욕을 감소시킨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번 연구에서는 한 걸음 나아가 OEA가 지방을 섭취할 당시의 기억을 강화한다는 사실을 밝혀냈다.연구팀은 쥐를 대상으로 한 실험에서 OEA를 ... ...
1. 내 몸 지키는 식욕 호르몬
과학동아
l
2008년 07호
양이 줄고 렙틴의 양이 늘어난다. 동시에 CART(배부름을 자극하는 생체분자)가 늘어나고
포만
중추가 자극된다. 이때 배가 부르다는 느낌을 갖는다. 체온이 올라가고 신진대사도 촉진된다. 몸이 음식을 소화시킬 준비를 하는 것이다.그렐린의 농도변화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식사다.미국 ... ...
착각하는 뇌 너 믿어도 되니?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20호
그 일을 하고 싶다는 동기가 생긴다는 것이죠. 예를 들면 맛있다는 미각의 만족이나
포만
감을 느끼기 때문에 먹고, 게임에서 재미를 느끼기 때문에 게임을 하고, 살을 빼고 외모를 가꾸는 만족감 때문에 운동을 하는 거예요. 이렇게 사람이 어떤 일을 하고 기쁨이나 만족감을 느끼는 것은 ... ...
이전
1
2
3
4
5
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