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각
파편
도막
동강
단편
구
연어
d라이브러리
"
토막
"(으)로 총 110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 3. 신종 찾고 바다숲 만든다! 조간대 살리는 과학자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7호
하고 있어요.지난해 박 연구사는 ‘한
토막
눈썹참갯지렁이’를 새로 분류했답니다. 한
토막
눈썹참갯지렁이는 1840년 이탈리아 나폴리에서 처음 발견된 갯지렁이예요. 그런데 우리나라에서 발견된 것과 비교한 결과, 형태와 유전적으로 모두 다른 특성이 있는 것으로 밝혀졌어요. 그 결과 새로운 ... ...
[핫이슈] 드론 조종부터 우주 비행사 체험까지! 제주항공우주박물관
어린이과학동아
l
2017년 01호
수있어요. 이 때문에 드론의 프로펠러 개수는 4~8개까지 짝수를 이룬답니다.모험 전
토막
상식2 우주여권이 필요한 세상이 온다?비행기나 배를 타고 외국으로 갈 때는 국제적으로 쓰이는 신분증인 ‘여권’이 있어야 해요. 반면 지구를 벗어난 우주는 어느 나라의 영토도 아니기 때문에 ... ...
Part 1. 갯벌 생물은 ‘굴’ 파고 산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20호
갯벌을 들여다보면 군데군데 동글동글한 모양으로 흙이 쌓여 있기도 하고, 뽕뽕 뚫려 있는 구멍도 있어요. 이 구멍들이 바로 갯벌 생물들이 지은 집의 입구랍니다. 갯벌 속 집들은 어떻게 생겼는지 그 속을 들여다볼까요?갯벌 생물의 집, ‘서식굴’갯벌은 다양한 생물들이 사는 터전이에요. 갯벌에 ... ...
[출동! 어린이 과학동아 기자단] 가상현실을 만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처음엔 모든 나무
토막
을 한꺼번에 쓰러뜨리기도 했어요. 하지만 시간이 지나자 나무
토막
을 하나하나 빼내면서 실제처럼 집중해서 게임을 했답니다.“가상현실 기술은 사람의 몸 자체가 입력장치가 돼요. 키보드나 마우스의 역할을 몸이 대신 하는 거죠. 보통 컴퓨터 속 가상공간에 있는 물체를 ... ...
PART 1. 수중과학수사대 훈련현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6년 02호
아예 눈을 가리고 수색하는 훈련도 받는다. 성 본부장은 작년 12월 벌어진 시화호
토막
살인 사건을 예로 들며 특수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했다.“시화호 같은 곳은 시야가 30cm도 안 나와요. 시체 유기할 때 누가 바닥 보이는 깨끗한 물에 버립니까.” 이밖에도 얼음이 두껍게 덮인 호수 안으로 들어가는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합쳐진 ‘질(質)’은 ‘바탕’을 뜻해요. 모탕은 나무를 패거나 자를 때 받쳐놓는 나무
토막
이에요. 나무를 팰 때 꼭 필요한 물건이지요. 여기에 ‘재물’을 뜻하는 조개가 더해져 사람이 살아가는 데 기본이 된다는 의미가 되었어요. 따라서 ‘매질’은 물리적인 작용을 한쪽에서 다른 쪽으로 전달해 ... ...
빛을 멈추게 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5년 11호
전압, 위상, 극성 등을 기준으로 삼는다. 양자메모리는 연속적인 빛을 시간대 별로 짧게
토막
을 낸 ‘펄스’라는 디지털 정보를 만든다. 그런데 너무 빠른 속도가 문제다. 대화를 할 때 상대가 자신보다 수천, 수만 배 더 빨리 말하는 식이다. 그래서 과학자들은 인위적으로 빛을 멈추기로 마음먹었다 ... ...
한옥에 살어리랏다
수학동아
l
2015년 06호
것이다.무게 중심을 낮춰라고층 한옥을 짓는 데 가장 중요한 건 ‘안정성’이다. 나무
토막
으로 탑을 쌓아 보면 금세 이유를 알 수 있다. 한 층 한 층 위로 올릴 때마다 휘청거리기 때문이다. 전통한옥을 지탱하는 기본 힘은 나무 기둥과 그 기둥을 꾹 눌러 주는 무거운 지붕에서 나온다. 바람처럼 약한 ... ...
[참여] 튼튼한 공간 설계하기! 조아저씨의 건축창의체험
수학동아
l
2015년 04호
것 같다고 했던 독자기자까지도 연필꽂이를 완성했다. 어떤 독자기자는 같은 개수의 나무
토막
으로 지우개함까지 만들었다.튼튼한 구조의 기본은 삼각형“정다면체가 뭔지 아는 사람?”“모든 면이 합동이고 각 꼭지점에 모이는 모서리 수가 같은 입체 도형이요!”“맞아요. 그럼 정다면체 중에서 ... ...
[hot science] 고개 3번 넘어야 태양계가 끝난다
과학동아
l
2014년 10호
정도로 가볍다. 남한보다 큰 얼음덩어리가 마치 나무
토막
처럼 뜬다고 생각해보자(나무
토막
의 밀도는 물의 70%). 그런 천체 수만 개가 우주를 맹렬히 돌고 있다니 신기하지 않은가. 내가 가서 그 모습을 눈으로 똑똑히 확인하면 좋겠다.나는 이제 곧 해왕성 궤도를 벗어나 명왕성의 가시권에 들 것이다.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