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기"(으)로 총 2,039건 검색되었습니다.
- [에디터노트] 생성AI 격류, 노부터 젓기 전에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생성 AI가 왜 강력한가, 근본 질문부터 짚어봤습니다. 그리고 이런 생성 AI가 더 강력해지기 위해 어떻게 발전하고 있는지 트렌드를 예측했습니다. 그런 다음 생성 AI를 똑똑하게 활용하는 방법과, 생성 AI 활용능력이 지역, 세대, 계층 간 격차가 생기지 않도록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 논의를 ... ...
- 팬케이크 맛있게 굽는 반죽 비율수학동아 l2024년 01호
- 비율인 베이커 비율을 계산했다. 반죽이 걸쭉하면 부피보다 지름이 작게 구워지기 때문에 종횡 비율이 낮다. 반죽이 걸쭉한 것은 액체가 적게 들어갔기 때문에 베이커 비율도 낮아진다. 즉, 종횡 비율과 베이커 비율이 낮을수록 팬케이크가 작고 두껍게 구워진다. 맛있는 팬케이크의 베이커 ... ...
- [Level Up! 디지털 바른생활] 디지털 일기를 써 봐요!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1호
- 있습니다. 하지만 일기를 쓴다는 것은 참 번거롭고 귀찮은 일이기도 해요. 숙제처럼 느껴지기도 하고, 평소와 비슷한 하루를 보낸 날이면 쓸만한 일기 거리가 없어 답답하기도 하죠. 그래서 준비한 이번 주제는 ‘디지털 미디어로 일기 쓰기’입니다. 우리 함께 재밌고 즐거운 일기 쓰기에 도전해 ... ...
- Day3. 화산 분출로 만들어졌다! 대만의 하와이 ‘펑후’ (펑후 섬 다궈예 주상절리-고래동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멀리서 오는 파도는 바람과 바닥 깊이의 영향을 받는데, 이 지역의 지형이 섬을 향해 얕아지기 때문에 파도가 모이며 부딪히는 독특한 현상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설명했답니다 ... ...
- [탐험후기] “놀라운 풍경에 지질학자의 설명까지 더해진 귀한 경험!”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3호
- 그 사이로 물이 새면서 점점 커졌다고 해요. 자연의 힘으로 이런 형태가 만들어지기까지 얼마나 오랜 시간이 걸렸을지 상상이 되지 않습니다. 구멍들을 보면서 ‘나도 아주 작은 흥미를 점점 키워가면 결국 커다란 무언가가 되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었습니다.그냥 대만 여행이었다면 ‘우와 ... ...
- [출동! 슈퍼M] 뜨개질을 잘하는 방법이 있나요?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3호
- 해요. 만약 실은 두꺼운 편인데 얇은 대바늘을 사용하면 뜨개질한 결과물이 쭈글쭈글해지기 쉽고, 실은 얇은데 두꺼운 대바늘을 쓴다면 실 사이에 구멍이 숭숭 나서 무늬가 정교하게 만들어지지 않는답니다. 대바늘은 주로 모자나 목도리처럼 부드러운 옷을 뜨개질할 때 써요.코바늘은 대바늘과 ... ...
- [이야기로 냠냠! 어수잼] 영원한 라이벌! 승리할 '가능성'은?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22호
- 너와 비교해도 4번 중 3번은 내가 더 많이 터뜨렸거든?!” 이런…. 둘의 사이가 더 나빠지기 전에 내가 나서야겠어! “풍선 터뜨리기에 도전한 횟수가 서로 다르니까, 터뜨린 풍선 개수의 합으로는 누가 더 잘했는지 판단할 수 없어. 이럴 때는 각자의 기록을 대표하는 값을 정해서 비교해야 해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 레이저, 스테인드 글라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22호
- 색 조합으로 오묘한 분위기를 연출할 수 있어요. 또 계절과 시간에 따라 빛의 형상이 달라지기도 합니다. 스테인드 글라스 작품을 만들기 위해선 첫 번째로 유리에 색을 입혀야 해요. 일반 유리를 녹인 다음 금속 산화물과 섞으면 여러 색깔이 나타나죠. 녹인 유리에 산화철을 섞으면 청록색이, ... ...
- 새만금 보물을 지키는 사람들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8호
- 배수갑문을 열어 방조제 밖과 안의 바닷물을 순환시킬 수 있지만, 충분한 순환이 이뤄지기 어렵죠. 아주대학교 건설시스템공학과 장일한 교수는 “방조제 안팎의 수위 차가 크지 않아 배수갑문을 열어도 물이 많이 이동하지 않는다”고 원인을 설명했어요. 이어서 “이를 해결하려면 바퀴 모양의 ... ...
- [수학체험실] 쭉~쭉 늘어나! 우리만의 자유로운 길이 재기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7호
- 등이 있지요. 그런데 길이의 단위는 누가, 언제 정한 걸까요? 길이의 표준★ 단위가 정해지기 전까지는 나라마다 각기 다른 기준으로 길이를 측정했어요. 하지만 세계 여러 나라의 교류가 점점 늘면서 단위가 달라서 혼란이 생기기 시작했지요. 과학자들은 언제, 어디서, 누가 재더라도 똑같은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