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위치"(으)로 총 6,664건 검색되었습니다.
- 내일 기상 10년 뒤 기후, 수학으로 예측!수학동아 l2024년 04호
- 지구 곳곳의 날씨를 균일하게 예측하기 어렵다. 보통 한 조각에서 일정 개수의 점 위치를 정해 날씨를 예측한다. 문제는 극지방으로 갈수록 격자의 간격이 0km에 가까워져서 한 조각이 너무 작아진다는 점이다. 반대로 적도지방으로 갈수록 조각이 너무 커져서 고정된 점의 개수로 넓은 범위의 날씨를 ... ...
- [뉴럴링크] 뉴럴링크가 이뤄낸 혁신은 소프트웨어 아닌 하드웨어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관찰하며 ‘R1 로봇’을 이용해 N1 임플란트 칩을 이식한다. R1 로봇은 MRI로 파악한 혈관의 위치를 피해서 40㎛(마이크로미터・1㎛는 100만 분의 1m) 굵기의 뾰족한 바늘로 뇌에 N1 임플란트의 실(전극)을 모내기하듯 심는다. 그 덕분에 수술 후 머리카락이 자라면 BCI 장치가 감쪽같이 숨겨진다. 이전까지 ... ...
- 암흑물질의 증거 조각? 정말 이상한 구름 '누베'과학동아 l2024년 04호
- 흐릿한 천체가 숨어있는건지 확신할 수 없었다. 2019년 1월 카나리아 제도 라 팔마 섬에 위치한 지름 10.4m의 그랑 텔레스코피오 카나리아스 망원경을 통해 같은 방향을 관측했다. 그리고 깊은 어둠 속에 숨어있던 아주 흐릿한 새로운 은하의 존재를 확인했다. 천문학자들은 새롭게 확인된 너무나 ... ...
- [SF소설] 코리아 닉테이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것이 뻔했다.조금이라도 더 시간을 벌어야 했다. 고개를 넘고 넘어 학교에서 15분 거리에 위치한 자취방에 도착했다. 머리는 땀에 젖어 있었고, 심장이 터질 것처럼 두근거렸다. 그에 반해 자취방은 고요했다. 사람 산 흔적이 보이지 않았다. 침대와 바닥은 물론 싱크대에도 먼지가 뽀얗게 앉아 ... ...
- [Chapter2] 수학으로 만드는 지략 대결, 축구!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끌어올리기 위한 전술을 짠다. 팀 단위로는 공 점유율, 침투 방향, 공격이 시작되는 위치, 코너킥과 프리킥 등 세트 플레이 전술 등을 기록하고, 개인 단위로는 공을 소유한 횟수와 시간, 달리는 속도, 심장 박동 수, 패스 방향, 드리블 방향 등을 기록해 분석한다. 이렇게 기록한 데이터는 대푯값을 ... ...
- 전술의 신 2. 상대 팀보다 +1 대형 짜기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내려오기도 하는 등 움직임이 복잡하다. 좌우 수비와 중앙 수비, 미드필더 등 여러 위치에서 뛸 수 있는 선수가 필요하다는 점도 제약이다. 따라서 수비수가 4명인 대형이 조금 더 유연하게 전술을 펼칠 수 있다. 삼각형 대형이 승리 비결 앞서 공을 잡았을 때 우리 팀의 선수를 한 명 더 유지해 ... ...
- 배틀그라운드 탄도학으로 총 잘 쏘는 법수학동아 l2024년 03호
- 사람마다 눈의 위치가 달라서 똑같은 총을 쏴도 다른 곳에 닿기 때문이다. 이때 가늠자 위치를 바꾸는 ‘영점 조정’을 하면 명중할 수 있다. 가늠자는 총으로 목표물에 조준할 때 이용하는 장치다. 영점 조정은 사격을 통해 총포의 조준점과 탄착점이 일치하도록 가늠자를 조정하는 것이다. 만약 ... ...
- [신의 책] 세상을 해석하는 수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관측방법은 실제와는 많은 차이가 있어요. 오늘날 과학의 발전으로 인해 행성의 위치를 굉장히 정확히 예측할 수 있어 만화에 등장한 오류와 해프닝은 일어 나지 않을 거에요. 재미를 위해 꾸며낸 이야기임을 기억해 주시면 고맙겠어요 ... ...
-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어린이과학동아 l2024년 03호
- 3단계를 거쳐 경로를 탐색합니다. 측위는 GPS와 카메라 등으로 얻은 정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파악하는 과정이에요. 인지는 라이다, 레이더, 카메라로 확보한 정보를 해석해 각각 사물이 어떤 물체인지 혹은 주행 가능한 영역은 어디인지 판단하는 단계입니다. 이후 로봇은 목적지까지 적절한 ... ...
- [숫자로 보는 뉴스] 해시계 읽는 법 알아냈다!어린이수학동아 l2024년 03호
- 돌릴 수 있어요. 영침의 그림자가 아래쪽 반구에 있는 길쭉한 구멍 안으로 들어가도록 위치를 맞춘 다음, 위쪽 영침의 끝이 가리키는 곳의 시각을 읽어요. 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고궁박물관이 함께 연구해 원구일영을 복원했지요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