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조"(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바다 민달팽이 광합성의 비밀은 ‘먹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04
- 해조류에 들어 있는데, 광합성을 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필요하지요. 바다 달팽이가 해조류를 먹어서 이 유전자를 가지게 된 거예요. 놀랍게도 이 유전자는 유전자 조작을 이용해 동물 세포에 삽입한다고 해도 절대로 발현하지 않아요. 오직 바다 민달팽이만이 이 유전자를 가지고 엽록체를 만들어서 ... ...
- PART 1. 감춰진 미싱 링크 찾는 신종헌터과학동아 l201410
- 종을 무수히 발견했다. 인도 양 크로제섬에서만 꽃식물 18종, 이끼류 35종, 지의식물 25종, 해조류 51종을 발견했다. 후커는 새로운 생물 종을 찾다가 이상한 점을 느꼈다. 아프 리카 남쪽 끝 희망봉에서 유럽에서나 볼 수 있는 식물들을 발 견한 것이다. 아프리카의 다른 지역에서는 발견되지 않는 식물 ... ...
- [출동! 명예기자가 간다~] 말랑말랑 미끌미끌 해조류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9
- 건강에 좋다는 사실이 알려지자 원래 해조류를 먹지 않았던 미국, 영국 등 서양에서도 해조류를 먹기 시작했어요. 음식을 만들 때 함께 넣거나, 과자에 넣는 등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한답니다 ... ...
- 독도에 풍덩 천국문이 활짝과학동아 l201409
- 비롯해 한국수중과학회 전문가들이 2008년부터 6년에 걸쳐 직접 바닷속으로 들어가 해조류, 물고기, 서식지, 수중 지형 등을 확인한 모든 것을 전문 작가가 다시 일러스트로 그린 것이다. 사진보다 오히려 독도의 지형과 물고기들이 한눈에 들어와 마치 독도 수족관에 들어온 것 같다.“독도는 한국의 ... ...
- ‘녹색 화성’에선 누에가 맛있다과학동아 l201409
- 나트륨과 칼륨 등은 해조류를 키우는 데 쓰인다. 해조류는 물론 우리의 식량이다. 해조류에서 우리에게 필요한 무기질을 얻을 수 있다. 이렇게 바이오돔 안에서, 물질은 남거나 버릴 것이 없다. ▲ 지구에서 실험한 바이오돔 ‘바이오스피어2’. 지금은 미국 애리조나대가 소유하고 있다. 생존의 ... ...
- 갑상샘암 검사 할까 말까과학동아 l201405
- 2회 이하로 먹은 사람에 비해 암 발생 위험이 1.7배 높게 나타났다. 특히 폐경기 여성이 해조류를 그렇게 많이 먹으면 암 발생 위험이 3.8배나 더 높아졌다.‘해산물 천국’인 일본이 우리보다 요오드를 많이 먹는다고 생각하기 쉽지만, 꼭 그렇지 않을 수 있다. 이은직 연세대 세브란스병원 내분비내과 ... ...
- 방사능보다 더 무서운 괴담의 진실어린이과학동아 l201405
- 정말 문제가 되는 것은 요오드131과 세슘134, 137이란다.요오드는 다시마나 미역 같은 해조류에 많이 들어 있는 필수 영양소야. 특히 몸의 호르몬을 조절하는 갑상샘이 움직이는 데 필요하지. 그런데 요오드131은 방사선을 내보내는 방사성 요오드야. 또 몸에 들어오면 갑상샘에 모이기 때문에 ... ...
- 보글보글 거품의 과학어린이과학동아 l201402
- 번씩 파도거품이 카푸치노처럼 뭉게뭉게 일어나고 있어요. 이 현상은 폭풍이 지나간 뒤 해조류와 바닷속 미생물에서 나온 단백질과 지방이 바닷물과 뒤섞여 생긴답니다.거품으로 만든 맛있는 간식거품요리의 일등공신, 달걀흰자요즘 우리나라에서도 많이 볼 수 있는 프랑스 과자인 머랭과 ... ...
- 굴 vs 전복어린이과학동아 l201321
- 굴과는 달리 여기저기로 움직일 수 있지요. 전복은 다시마나 미역, 파래 등의 해조류 위를 미끄러지듯 움직이며 갉아 먹는답니다. 굴은 물컹물컹하고 부드럽지만 전복은 쫄깃쫄깃하게 씹혀요. 전복도 날것으로 먹거나 굽거나 삶는 등 다양한 요리방법이 있지만 전복죽이 가장 유명해요. 전복과 ... ...
- 미역 vs 다시마어린이과학동아 l201219
- 있는 것으로 생각하는 친구들이 많을 거예요. 다시마는 갈조식물 다시마목 다시마과의 해조류랍니다. 다시마 역시 대부분 미역처럼 말려서 보관하는데, 네모 모양으로 잘려 있는 경우가 많아요. 또 다시마도 익히면 녹색으로 변하지요. 하지만 다시마는 미역과 달리 줄기처럼 보이는 부분이 없고 잎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