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해조"(으)로 총 161건 검색되었습니다.
- [Tech & Fun] 국제원자력기구 환경연구소과학동아 l201606
- 확인하는 데 사용되는 것이 표준물질입니다. 바다에서 채취한 바닷물, 어류, 패류, 해조류 등 다양한 시료를 사용해서 여러 가지 오염물질의 표준물질을 만드는데, 분석자료의 품질을 보증하기 위해서는 꼭 필요합니다.점심 자유 시간에 해양스포츠 즐겨IAEA-EL에서 연구하는 정직원은 30명도 채 안 ... ...
- [기자단 소식] 롯데월드 아쿠아리움을 가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04
- 연한 조직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해조류의 표본을 만드는 방법은 간단했습니다.해조류의 표본을 만드는 방법1. 조류를 핀셋으로 펴서 표본종이에 붙인다. 조류에는 점액이 있어 접착제가 없어도 종이에 잘 붙는다.2. 조류 표본을 종이에 올린 뒤 거즈와 흡수지로 덮는다. 흡수지는 조류의 수분을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우리나라 바다를 지킨다! 국립수산과학원어린이과학동아 l201603
- 남해 연안에 적조가 생기면 해류를 따라 동해로 올라갈 수 있어요. 적조 외에도 해파리나 해조류인 괭생이모자반 같은 생물로 인한 피해를 줄이기 위해서는 바다 환경의 변화를 관측해야 하죠.”적조나 해파리 같은 생물은 다른 바다생물에게도 피해를 줄 수 있어요. 또한 동해와 서해 ... ...
- PART 3. 수중시체를 찾아온 살아있는 단서들과학동아 l201602
- 처음으로 이와 비슷한 실험을 했다. 연구팀은 돼지피부 조각을 물에 넣은 뒤, 해조류인 파래의 포자를 뿌렸다. 이어 수온과 염분을 바꿔가며 파래포자의 발아율과 생존률을 비교했다. 그 결과 수온이 높고 염분이 낮아 돼지피부의 부패가 빠를수록 파래포자의 생존률이 낮아진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어린이과학동아 l201515
- 잡아먹는 것뿐이에요.알을 낳는 동물만 플랑크톤 단계를 거칠까요? 식물에 속하는 해조류도 씨앗에 해당하는 포자를 물살에 흘려보내요. 그럼 포자가 싹을 틔우고, 자라기 좋은 곳에 정착하지요. 즉 동물이든 식물이든 거의 모든 해양 생물들은 플랑크톤에서 시작한답니다. 순환, 먹이사슬의 ... ...
- 스스로 자유를 찾은 돌고래 삼팔이어린이과학동아 l201512
- 제돌이는 바로 그 결과물이었지요.삼팔이는 무척 호기심이 많았고 놀기를 좋아했어요. 해조류를 지느러미에 걸고 돌아다니다가 나중에는 입으로 물고 다니며 장난을 쳤어요. 가두리에 못 보던 물체나 물고기가 나타나면 삼팔이가 가장 먼저 눈치채곤 했지요. 현장의 연구진은 다른 돌고래는 몰라도 ... ...
- 내가 칩인가, 칩이 나인가 휴먼 온어 칩(Human on a chip)!과학동아 l201511
- 생체에 대해 독성이 없는 천연 상태의 고분자 재료를 찾는 것이 이슈다. 콜라겐이나 해조류에 들어 있는 알기네이트로 하이드로젤이 대안으로 떠오르고 있다.한쪽에서는 뇌 신경세포와 같이, 연결부위가 엄청나게 복잡한 장기를 칩 위에 구현하려는 시도도 하고 있다. ‘브레인(뇌) 온어 칩’이 ... ...
- Part 1. 탐식의 시작 : 처음 밝혀진 조선시대 미슐랭 가이드과학동아 l201508
- 벌려 고기 씹는 시늉을 해 본다’는 뜻이다. 책에는 병과 음식(떡 종류) 11종목, 채소와 해조류 21종목, 어패류 39종목, 조수육류 6종목, 차, 술, 꿀, 기름, 약밥 등 조선 팔도의 명품 토산품이 빠짐없이 적혀있다. 또 서울의 계절 음식 17종과 방풍죽, 차수(칼국수), 두부 등 지역별 별미 음식이 상세히 ... ...
- 바다 밑에서 만난 동화수학동아 l201507
- 공주의 잠을 깨울 수 있는 건 사랑하는 왕자님의 입맞춤뿐입니다.] [백마 탄 왕자님이 해조류 사이를 헤쳐 공주를 찾으러 달려왔습니다. 살며시 다가가 공주에게 입을 맞추곤, 공주가 깰 때까지 숨기로 했지요.왕자님의 입맞춤으로 마법에서 풀려난 공주는 물고기들에게 누가 마법을 풀어 줬는지 ...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과학동아 l201505
- 때문이다. 방사성 요오드를 막으려면 비방사성 요오드로 미리 갑상선을 채우면 된다. 해조류나 요오드제를 먹는 식으로. 그런데 이마저 없는 상황에선 최후의 수단으로 빨간약을 꺼내자. 기억하고 있겠지만, 빨간약의 주성분은 요오드다. 그리고 피부에 발라도 우리 몸에 조금씩 흡수된다. 방사성 ... ...
이전12345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