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뒤틀림
찌그러짐
꼬임
말아 올림
비낌
굽음
왜곡
d라이브러리
"
비틀림
"(으)로 총 32건 검색되었습니다.
새로운 차원 사냥에 나선 물리학자
과학동아
l
200103
2mm 두께에 지름이 55mm인 알루미늄 고리를 정교한 선에 매달고 자유롭게 돌 수 있도록 ‘
비틀림
진자’를 만들었다. 그리고 0.2mm 떨어진 그 아래에 천천히 돌아가는 구리 원형판의 ‘끌림자’를 놓았다. 진자와 끌림자는 각각 똑같은 크기와 같은 위치에 10개의 구멍이 뚫려 있다. 끌림자가 천천히 ... ...
2. 첫 공식종목으로 채택된 태권도의 과학
과학동아
l
200010
회전이 일어나고, 반대쪽 손과 상체는 골반의 회전과 반대방향으로 회전해 전체적으로
비틀림
이 일어나 반작용을 유발한다. 동시에 고관절과 슬관절을 최대로 구부려 목표물에 도달하는 동안 관절을 펼 때 나오는 힘(신전력)이 자연스럽게 최대로 일어나도록 한다. 마지막 순간 최대의 힘을 얻어 ... ...
공룡 몸집이 커진 이유
과학동아
l
199909
지탱하려면 엄청난 에너지가 소비된다. 또한 걸을 때 발생되는 발목관절의 강한
비틀림
을 견뎌내야 한다. 이러한 방법으로 걷는 동물 중 거대한 크기로 진화한 동물은 없다. 몸무게가 75t이 넘는 세이스모사우루스(Seismosaurus)는 악어와 같은 꾸부정한 다리로는 도저히 설 수 없었을 것이다.기는 자세는 ... ...
Ⅱ. 황금비가 구현된 무량수전
과학동아
l
199905
때 보를 작게 보이게 함으로써 시각적으로도 매우 훌륭한 역할을 한다.자란대로 세워야
비틀림
적어기둥을 세우는 것도 그렇게 간단한 문제는 아니다. 처음 기둥은 그냥 땅에 깊이 박아서 세웠다. 그럴 경우 땅에서부터 올라오는 습기와 흰개미 같은 곤충에 의해 기둥의 아래 부분부터 점차 ... ...
타코마교의 교훈
과학동아
l
199807
의해 무너진 것이 아니었다. 바람이 만들어 내는 소용돌이에 의해 주형이 비틀거리고, 그
비틀림
에 의해 새로운 소용돌이가 발생되는 복잡한 바람의 메커니즘이 다리를 무너뜨린 것이었다 ... ...
하늘의 그리니치 물고기자리
과학동아
l
199211
태양은 그가 태어난 날 물병자리에 있었을 것이다. 점성술이 생긴 이래로 지축의 느린
비틀림
운동으로 춘분점은 물고기자리로 옮겨졌다. 그것은 이제 '작은 고리'(circlet) 로 알려진 오각형 모양의 서쪽 물고기 근처에 있다. 이것은 적경을 측정하기 위한 하늘의 '그리니치'(Greenwich)에 해당하는 ... ...
물병자리는 나일강의 발원
과학동아
l
199209
있는 순간을 춘분점 (spring equinox 또는 vernal equinox)이라고 부른다. 지축의 2만6천년에 걸친
비틀림
운동으로 적도는 천천히 기울고 황도에 대하여 움직인다. 따라서 교차점의 위치도 별자리를 배경으로 황도를 따라 천천히 움직인다. 이 느린 변화를 세차운동(precession of the equinoxes)이라고 부른다. ...
전자기학 확립한 패러데이와 맥스웰
과학동아
l
199110
중요한 과제를 남겼던 것이다. 쿨롱의 법칙(Coulomb's law)1785년 프랑스의 물리학자 쿨롱이
비틀림
저울을 사용한 실험을 통해 발견한 법칙. 균일한 매질속에 떨어져 정지하고 있는 두개의 점전하(點電荷) 사이에 작용하는 힘은, 이 점들을 잇는 직선에 따라 작용하고 그 힘의 크기는 전하의 곱에 ... ...
갈릴레이 망원경에서 전파망원경까지
과학동아
l
199008
했다. 반사렌즈가 작으므로 전체 중량이나 제작비가 감소하고 온도 변화에 따른 경면의
비틀림
오차가 적은 대신에 색수차가 조금 있는 결점이 있다.⦁슈미트 카메라1930년 독일 함부르크 천문대의 슈미트가 고안한 것으로 구면 오목경의 굴곡 중심에 보정판을 두었다. 포물면경에 의한 것보다 ... ...
PART 2 「제5의 힘」 존재하는가 만유인력과 상대성이론 수정 위기
과학동아
l
198802
상호작용에 의해 생긴다는 것. 그러나 이 잡지의 같은 호에는 구리와 베릴륨의
비틀림
균형을 측정한 비슷한 실험을 한 워싱턴대학 '아델버거'팀의 논문이 '티버거'와 정반대의 결론을 내리고 있어, 제5의 힘을 둘러싼 과학자들의 뜨거운 논쟁을 잘 보여주고 있다. 광산을 이용한 실험도 호주 ... ...
이전
1
2
3
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