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지
지환
테
환대
링
ring
환형
d라이브러리
"
가락지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자연과 인간 함께 사는 방법을 배웠다"
과학동아
l
199503
잘못 알고 한국이나 일본에도 옵니다. 군산 부근에서 미국 검둥오리 한 마리가 붙잡혀
가락지
를 통해 확인된 적이 있습니다. 이는 미국에서 태평양을 횡단해 한국에 온게 아니고 번식지에서 잘못 이동해온 것입니다.신예준-산업화에 따라 자연이 자꾸 파괴되면서 예전에는 많았던 새들도 점점 ... ...
도요새, 러시아-호주 왕복 '장거리 비행사'
과학동아
l
199501
해안에서 붉은어깨도요새를 붙잡아 발목에 알루미늄
가락지
를 끼워 날려보냈다. 이때
가락지
를 끼워 날려보낸 철새는 모두 82종에 1천2백6마리. 이 가운데 붉은어깨도요새가 처음으로 확인됐는데, 조류연구팀은 나머지도 차차 연락이 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붉은어깨도요새는 전장 31㎝이며 ... ...
야생동물 생태연구집념-산야 헤매기 40년
과학동아
l
199410
있다. 1966년 겨울 어느 날 새벽 일본 국도 1호선의 도요하시(豊橋)에서 백할미새를 포획해
가락지
를 끼워 날려 보낼 때는 거센 겨울바람 때문에 눈물과 콧물이 뒤섞여 괴로웠던 일이 지금도 기억난다.1970년 후반부터 오늘까지는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명산 도서 등에서 새와 짐승을 찾아 헤매고 있다 ... ...
한국의 밤하늘, 어디가 가장 어두운가
과학동아
l
199209
담양은 바탕색이 매우 컴컴하며 잔별들이 매우 많이 보이고 별상이 매우 선명했다. '
가락지
성운'이라 불리는 M57도 어렴풋이 보였다. 신촌의 경우는 배경색이 대낮처럼 환하게 나왔으며 잔별들이 별로 없고 별상이 매우 흐렸다. M57도 찾아볼 수 없었다. 특정부분(베타별에서 직녀별쪽으로 1/3 되는 ... ...
현대의 컴퓨터 언어
과학동아
l
199112
완전히 사라지게 된다. 그 일은 마치 아름다운 고대 금관유물을 다시 녹여서 무덤덤한
가락지
로 바꾸는 것과 같았다.리스프 옹호론자들의 반발은 갈수록 더했다. 국방부와 국립표준국(ANSI)도 일단 한발짝 후퇴할 수 밖에 없었다. 표준국도 리스프 옹호론자들에게 할 말이 있었다. 수많은 리스프의 ... ...
수천개의 고리로 둘러싸인 토성 Saturn
과학동아
l
199105
상세한 사진을 보내왔다. A고리는 비교적 고른 모습인 반면, B와 C고리는 단순히 큰
가락지
모양이 아니라 가는 고리들이 마치 레코드 판모양 동심원(同心圓)을 이루고 있다. 즉 폭이 2㎞ 정도인 가는 고리 수천개가 토성을 감고 있는 모습이다. 고리 중에는 원이 아니라 타원의 모습을 한 것도 있다.A와 ... ...
밖에서 본 북한의 동식물 실태
과학동아
l
199101
없었습니다.박규택-제주도 한라산에 가면 1천4백m 이상의 고산지역에서 산굴뚝나비와
가락지
나비라는 독특한 종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이 나비들은 남한에서는 한라산에만 사는데 북한지역에는 개마고원을 중심으로 기타 고원지대에 삽니다. 이들의 분포를 근거로 제주도가 옛날에는 육지에 붙은 ... ...
PART1 태양계 탐사 인간의 행성방문을 위한 정밀조사
과학동아
l
199003
제트(jet)기류 속에 갇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었다.토성의 고리는 단순한 큰
가락지
모양을 하고 있는 것이 아니고 1천개 이상의 가늘고 작은 고리들이 마치 레코드판 같이 동심원(同心圓)을 이루고 있으며 가운데 부분에 있는 B고리에는 바퀴살(spoke)의 구조도 있음이 밝혀졌다. 고리는 토성에서 ... ...
남북과학교류 추진하는 원병오교수
과학동아
l
198912
연간 1만달러 이상의 보조를 받아 6~7년간 지속된 꽤 거창한 사업이었어요. 그런데 그때
가락지
를 낀 새중 몇 마리가 평양의 모란봉 상공을 날다가 부친의 제자의 눈에 띠었어요. 이 사실이 당시 프라우다 도쿄신문 노동신문 등에 실려 세계에 보도되면서 저와 부친과의 관계가 알려지게 되었어요. 그 ... ...
생생한 현장경험, 나와 학생에게 모두 유익
과학동아
l
198709
닥치는대로 포충망을 휘둘렀던 기억이 납니다. 당시 한라산 정상부근에서는 고산성인
가락지
나비 산굴뚝나비 등 희귀한 나비들도 채집했었어요. 이번에 보니까 개체수가 너무 줄었어요. 자연보호도 강조되고 있는데, 그 많던 나비가 모두 어디로 갔는지…….김문 나비가 드물었던 것은 장마철이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