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44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세포막 간 상호작용 매개하는 '지질 뗏목' 원리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8일 GIST 발전후원회 제2대 회장으로 위촉됐다. 박회장은 "GIST의 지속적인 성장과 발전에
작은
보탬이 되고자 이번 기부를 결정했다"며 "GIST가 더 큰 도약을 이룰 수 있도록 많은 분들의 관심과 지원을 부탁드린다"고 말했다 ... ...
소형모듈원자로 안전 규제기준 마련 착수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인가다. SMR는 전기 출력이 1000메가와트(MW) 이상인 대형 원전과 달리 300MW 이하 출력의
작은
원자로를 말한다. 기존 대형 원전과 사용 물질이나 안전계통이 달라 규제 요건에도 차이가 있다. 추진단은 출범식 이후 한국형 SMR인 혁신형소형모듈원자로(i-SMR)의 안전규제체계와 기술을 선제적으로 ... ...
"초미세먼지+고령화로 2050년 국내 사망자 3배 증가"
동아사이언스
l
2024.06.04
먼지는 입자의 크기에 따라 총먼지와 미세먼지, 초미세먼지로 나뉜다. 크기가 가장
작은
초미세먼지는 지름이 2.5µm마이크로미터(㎛, 100만분의 1미터) 이하인 먼지로 몸속 깊숙이 침투해 여러 질병을 유발한다. 특히 65세 이상 고령층이 초미세먼지에 더 취약하다고 알려져 있다. 이 교수팀은 ... ...
여의도 1.5배 규모 장비로 해저 훑는다...탐해3호 첫 항해
동아사이언스
l
2024.06.03
부산항 앞바다는 파도가 잠잠해 평화로웠다. 뱃멀미를 줄여준다는 사탕을 입에 물고
작은
통선에 올랐다. 영도대교 아래를 지나 20km 정도 바다로 나가자 바다 한가운데 정박한 '탐해 3호'가 모습을 보였다. 탐해 3호 내부가 공개된 것은 이날이 처음이었다. '바다 위 첨단 연구소'로 불리는 탐해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6300km 떨어진 곳에서 담낭 제거 수술 성공
2024.06.02
할 수 없는 미세한 수술을 할 수 있다는 점이다. 사람은 아무리 조심한다 해도 아주
작은
차이를 수술을 맡은 손의 움직임으로 조절하기가 쉽지 않다. 자를 대고 칼로 1mm를 자른다고 가정해 보자. 아무리 정확히 자르려 해도 1mm를 자르는 건 어려울 것이다. 게다가 종이도 아니고 3차원 모양을 하고 ... ...
"양자컴퓨터가 신약 개발하는 시대 머지 않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6.01
개발을 짚는다. 양자컴퓨터가 다룰 수 있는 큐비트 수도 늘어나고 있다. 지난해 IBM은
작은
초전도 회로를 기반으로 한 1121큐비트 양자컴퓨터를 공개했다. 이는 2021년에 출시된 127큐비트 버전보다 큰폭으로 늘어난 수치다. 미국 스타트업인 '아톰 컴퓨팅'은 지난해 1180큐비트 양자컴퓨터를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사회공포증'과 '자기중심적 시각'의 악순환
2024.06.01
한 가지 다행인 것은 사람의 마음이란 원래 알기 어려운 것이고 따라서 우리 모두 크고
작은
실수를 한다는 것이다. 사회적 상황에서의 불확실성은 애초에 나의 노력 여하에 따라 줄일 수 있는 것이 아니라는 것이다. 물론 좀 더 눈치 보기를 잘 하면 소위 사회생활을 잘 하는 사람에 가까워질 수 ... ...
[사이언스게시판] 지역 과학 꿈나무와 노벨상 과학자의 만남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질량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내 2015년 노벨물리학상을 수상했다. 중성미자는 아주
작은
질량을 가진 기본 입자다. 카지타 교수는 110여 명의 학생들에게 과학자에게 중요한 능력과 태도에 대해 조언했다. 카지타 교수는 강연에서 "중성미자 연구가 과학자들의 협력을 통해 진행되고 있다"며 팀워크 ... ...
실험실 바닥에 갈라진 틈이…양자컴 '큐비트' 예술이 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5.31
원자 스핀으로 큐비트를 만드는 ‘전자스핀 큐비트 플랫폼’을 만들어 세계에서 가장
작은
메모리를 구현한 연구 결과를 지난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연구팀이 독자적으로 큐비트 플랫폼을 개발한 데는 주사터널링현미경(STM) 장비가 핵심 역할을 했다. STM에 달린 원자 크기의 ... ...
강유전체 분극 분포 최초 규명…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30
쏠린 분극 상태를 유지하는 물질이다. 국내 연구팀이 이끈 국제공동연구팀이 아주
작은
크기의 강유전체 내부에서 이론으로만 예측된 소용돌이 모양의 특이한 분극 분포를 실험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분극 분포를 적절히 제어하면 초고밀도 메모리 소자 기술로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