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작은며느리
며느리
며누리
작은손녀
손녀
손주딸
작은아들
뉴스
"
작은
"(으)로 총 5,441건 검색되었습니다.
'세포 죽음 연구자' 김유선 교수, 로레알-유네스코 여성과학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4.06.14
김 교수는 “세포 죽음에 대한 연구가 인간 질환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는 하나의
작은
퍼즐 조각으로 작용할 것으로 믿는다”며 "여성 과학자들의 경력이 결혼, 출산 이후에도 이어지도록 사회적 지원과 주변 격려가 필요하다”는 수상 소감을 밝혔다. 신진 여성과학자에게 수여하는 펠로십 ... ...
수면 부족으로 손상된 기억저장소, 회복 어려워
동아사이언스
l
2024.06.13
수면을 취한 쥐에게서 관측되는 만큼의 움직임은 나타나지 않았다. 연구팀은 “
작은
신경세포 그룹의 활동 패턴이 그리는 파동 자체는 동일한 수준의 횟수를 기록했지만 그 강도는 충분한 수면을 취하지 못한 쥐에게서 현저히 감소했다”고 말했다. 이어 “이러한 신경세포 활동 패턴의 감소는 ... ...
상온 양자컴 가능성 열었다…2차원 '스커미온' 생성·제어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24.06.11
있어도 형태나 구조를 유지하려는 성질이 있고 수 나노미터(nm, 10억분의 1미터) 수준의
작은
크기로 구현할 수 있다. 또 매우 적은 전력으로도 이동할 수 있어 메모리, 논리·통신 소자 등 초저전력·초고성능의 차세대 전자소자에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돼 관련 연구가 활발하다. 기존 스커미온 ... ...
중국·인도·미국, 폭염에 신음…한국도 전년보다 일주일 빠른 폭염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6.10
이유로 기상청은 남해안을 거쳐서 한반도에 들어오는 바람이 이 지역에 오기 전 크고
작은
산을 만나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우진규 기상청 통보관은 "바람은 산을 넘으면서 기온이 조금 더 올라가는 특징이 있다"고 말했다. 공기가 산을 넘으면 압축돼 열에너지가 증가하고 기온이 오르는 현상이 ... ...
가장
작은
유인원 화석 독일서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24.06.09
만프레드슈미디의 화석. 마들렌 뵈메 제공 지금까지 확인된 유인원 중 가장
작은
유인원의 화석이 독일에서 발견됐다. 독일 에버하르트칼스대, 독일 튀빙겐대, 캐나다 토론토대 등 공동 연구팀은 독일 남동부 바이에른 주에 있는 '해머슈미데' 화석 유적지에서 발견된 유인원 화석을 분석한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타인의 '장점' 발견하면 나도 행복해진다
2024.06.08
때 우리는 좀 더 열린 마음으로 더 진실에 가까운 세상을 마주하게 되는 것이다. 타인의
작은
장점도 발견하는 눈을 갖게 되면 그만큼 자신의 장점도 더 많이 알게 될 것 같다. 또한 내 주변 사람들의 멋짐을 알게 되면 괜히 뿌듯하기도 하고 나도 꽤 괜찮은 사람일 거라는 생각이 들기도 한다. 서로 ... ...
가뭄에 살아남으려 배아 때 신체 구조 바꾸는 물고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사이언스'에 발견했다. 킬리피쉬는 서아프리카에 서식하는 송사릿과 물고기다.
작은
크기와 아름다운 빛깔의 피부를 지녀 관상용으로도 인기가 높다. 이 물고기의 주요 서식지인 서아프리카 일대는 장기간 가뭄이 덮치곤 한다. 이러한 자연 환경은 킬리피쉬가 생존하는 데 치명적인 영향을 ... ...
역대 최강 '스타십' 궤도 왕복비행 첫 성공…화성에 한걸음 더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것으로 전해졌다. 고도 50km 근처 상공에서 우주선 스타십에서 자세를 조정하는 플랩(
작은
날개) 중 하나가 '플라즈마'로 인해 날개가 녹아내렸다. 이 과정에서 우주선 동체는 비행 과정을 버텼고 날개도 완전히 떨어져나가지 않았다. 스페이스X 창업자인 일론 머스크 테슬라 최고경영자(CEO)는 ... ...
'절대영도' 코앞에서 새 양자실험 플랫폼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4.06.07
문제를 해결했다. 마이크로파가 기체를 이루는 분자들이 서로 거리를 유지할 수 있도록
작은
보호막을 만든다는 사실을 활용한 것이다. 박 교수는 "마이크로파를 제어해 분자 기체의 안정성을 높였다는 것이 이번 연구에서 주목할 부분"이라고 덧붙였다. 두 종류의 마이크로파를 조합해 증발냉각 ... ...
극지 생물이 얼어붙지 않는 비결
동아사이언스
l
2024.06.05
얼고 조직세포가 파괴된다. 반면 극지에 사는 생물의 경우 영하일 때 체내에 생긴
작은
얼음알갱이에 부동 단백질이 결합한다. 이때 부동 단백질이 주변에 막을 형성하고 얼음알갱이끼리의 결합을 억제한다. 얼음알갱이가 더이상 커지지 못하게 하는 셈이다. 연구팀은 분자 단위에서 ... ...
이전
34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