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측정
관찰
어린이과학동아
"
관측
"(으)로 총 45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것은 나시카의 나이트비전 입니다.뭐하는 용도 라고요?바로 천체
관측
용인 쌍안경 입니다.나
포스팅
l
20140329
이것은 나시카의 나이트비전 입니다.뭐하는 용도 라고요?바로 천체
관측
용인 쌍안경 입니다.나이트비전의 뜻은 '밤에 잘 보인다'라는 뜻 입니다. 아직 직접 눈으로 달과 별을 보진 못했습니다. 하지만 멀리는 보았습니다. 멀리 아주 잘 보였어요.달도 아주 잘 보이겠죠?? 만약에 쌍안경을 사시려면 저는 나이트비전을 추천합니다. ...
중력파의 발견이 왜 중요할까요? 빅뱅은 아시나요?
기사
l
20140321
현지시간)인터넷으로 전 세계에 생중계된 기자회견에서 '인플레이션'이론을 뒷받침하는 직접적인 증거를 찾았다고 발표했다. 이번
관측
에선 중력파에 의해 생기는 직접 효과인 빛의 특정 편광 패턴을 '우주배경복사'에서 찾아냈다. 중력파의 발견은 천체물리학계의 오랜 숙원인 만큼, 이번발견을 토대로 우주의 역사를 제대로 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참 신 ...
동아사이언스 어린이 기자단 기자교육 어린이 기자단의 첫 번째 기자교육
기사
l
20140309
태양을 볼 때 주의할 점 교육 및 태양
관측
을 하였다. 그리고 망원경에 휴대폰을 대어 태양의 사진도 찍었다. 그런 다음, 천체
관측
관의 바로 옆에 있는 천체 투영관에서 별들도 보았다. 그리고 잠시 자유를 가진 다음, 회의실로 가서 인터뷰 및 취재내용 올리기를 하였다. 그렇게 동아사이언스 어린이 기자단의 첫 교육은 막을 내렸다. ...
토성의 신비한 ‘고리’ 무려 44억년 전 생성
기사
l
20140306
토성을 상징하는 원반 형태의 고리가 무려 44억년 전 생성된 것으로 보인다는 연구결과가 나왔습니다. 최근 미국 콜로라도 대학 연구팀은 미 항공우주국 나사(NASA)의 토성탐사선 카시니호가 보내온 데이터를 바탕으로 분석한 논문을 미 지 ... 55년 네덜란드 천문학자 크리스티앙 호이겐스가 처음 발견했습니다. 주요 고리는 3개로 바깥쪽부터 A, B, C라 칭해 ...
금성이 목성 보다 크게 보이는 건 뇌 시신경 교란 때문
기사
l
20140306
최대 -5등급으로 분류됩니다.실제 밤하늘에서 육안으로 ‘금성이 목성보다 더 크게 보이는’ 것도 사실입니다.그러나 망원경으로
관측
할 경우 “육안으로 보는 것과 반대로 금성이 작다”는 것은 500년 전에 밝혀진 정설의 과학입니다.목성은 금성보다 지구와 떨어진 거리가 훨씬 멀긴 하지만 워낙 커 태양계에서 지존과 같은 행성인 까닭입니다.이는 16세기에 ...
美, 목성 얼음달 '유로파' 탐사 추진
기사
l
20140305
거대 얼음 바다가 있어 생명체의 존재가 유력시되는 목성의 달 '유로파'에 미국 항공우주국(나사)이 첫 전용 탐사선을 보내는 계획을 추진한다. AP통신과 과학기술 매체 와이어드는 미국 버락 오바마 정부의 '2015년도 나사 예산안'에 유로파 무인 탐 ... 전문가들은 탐사선이 유로파에 착륙하지 않고 이 수증기 기둥을 뚫고 비행하는 것만으로도 쉽게 바닷물 성분 ...
목성 11배 크기 초거대 행성 발견!
기사
l
20140304
‘HD 106906 b’를 공개했습니다. 이 행성은 태양계에서 가장 큰 행성인 목성보다도 무려 11배나 큰 초거대 행성입니다. 또 연구팀의
관측
결과 이 행성은 모항성(태양계에서의 태양처럼 은하계의 중심 항성)과의 거리가 무려 650AU 떨어진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AU는 태양과 지구의 거리인 약 1억4960km를 일컫는 단위입니다. 이는 기존에 ...
태양계 밖에서 사람이 살 만한, 지구같은 크기의 행성 4개가 추가로 발견됐습니다. 美항공
포스팅
l
20140228
가운데 가장 큰 규모입니다. 이 새로운 행성의 리스트는 케플러의 새로운
관측
에 의한 것이 아니라 지난 2009년 5월부터 2011년 3월까지
관측
된 행성을 거느린 수많은 별들을 분석한 내용입니다. 새로운 행성 가운데 4개는 지구의 크기의 2.5분의 1 정도로서 온도가 적절해 생명체가 살 수 있는 액체를 형성할 만한 지적(골디락스)에 ...
어제 기자단 친구들이 태양
관측
취재활동을 한 모습입니다. 참 진지한 기자단 친구들~~
포스팅
l
20140227
어제 기자단 친구들이 태양
관측
취재활동을 한 모습입니다. 참 진지한 기자단 친구들~~ ...
동아사이언스 기자단 체험을 마치고 내게 또 하나의 도전
기사
l
20140227
모락모락 연기가 나면서 타고 촛불처럼 불도 켜진 것이여요. 태양필터가 태양빛을 걸러주기 때문에 그걸 설치해야지 육안으로 태양을
관측
할 수 있대요. 책에서 볼 수 있는 이글거리는 태양은 어마어마하게 비싼 필터가 필요하다는 대목도 재미있었어요. 제가 본 태양은 '초록꼭지 없는 유기농 귤'이였어요. 천문대는 정말 아주 신기했어요. 천장에 구멍이 뚫린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