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창문
바닥
들창
망치
도끼의 자루
채광창
통풍창
d라이브러리
"
창
"(으)로 총 662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스플레이 선구자 한민구
과학동아
l
2007년 04호
만들어 어떤 소통의 세상을 만들지 주목해달라”고 당부한다. 더불어 “지켜보지만 말고
창
의적인 엔지니어 ‘자신’이 돼 달라”고 한 번 더 말한다.한 교수는 선친인 국내 전기공학자 1세대인 한만춘 교수가 한 말을 지금도 잊지 못한다. “엔지니어는 현장에 있을 때 행복한거다.” 한 교수도 ... ...
우주로 이사가는날
어린이과학동아
l
2007년 02호
간단한 충치 치료가 가능한 덴탈 키트를 챙겨 가야 한다. ⑥ 감염성 질환우주선에서는
창
문을 열 수가 없기 때문에 공기가 오염되기 쉽다. 또 물이나 음식을 계속 먹어야 하므로, 청결한 상태가 유지되지 않으면 수인성 전염병 같은 것이 생길 수도 있다. 미리 철저하게 감염 질환을 검사해야 한다 ... ...
내 뱃속에서는 무슨일이 벌어지고 있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2호
음식물은 이제 큰
창
자(대장)로 이동한다. 큰
창
자는 수분을 흡수하여 대변을 만든다. 큰
창
자에 이상이 생겨 수분 흡수를 잘 못 했을 때 나오는 대변이 바로 설사다. 기나긴 여정의 마지막이다. 감미로웠던 음식은 어느새 똥으로 변하고 말았다. 이제는 밖으로 배출되기만을 기다릴 뿐.클릭생활 밥을 ... ...
똥의 향기에 취하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20호
사람이 있다면 아마 웃음거리가 될 것이다. 게다가 냄새까지 지독한 방귀라면?방귀는
창
자 속의 음식이 발효되어 나오는 가스와 음식을 먹을 때 입으로 들어간 공기가 섞여 만들어진다. ‘뽀옹~’하는 소리는 방귀가 나올 때 항문 주위의 근육이 진동하며 생긴다. 방귀의 성분을 분석해 보면 질소와 ... ...
역사를 바꾼 무기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8호
유도무기를 개발하고 있는 김무도 박사입니다. 국방과학연구소는 1970년
창
립되어 우리 과학기술로 우수한 국산 무기를 개발하는 곳입니다. 현재 지상무기, 해상•수중무기, 항공•유도무기, 통신•정보•전자전무기 등 육해공의 모든 무기를 연구개발하고 있답니다. Q : 김 박사님이 연구 중인 ... ...
비밀의섬 '안보여도'의 육상대회
어린이과학동아
l
2006년 13호
시상식장으로 들어왔다. 결과는?마사이족 선수들은 엄청나게 빠른 달리기와 장대,
창
을 이용해서 멧돼지를 단숨에 잡았다. 역시 마사이족을 따라잡을 육상선수는 없다 ... ...
DAY 5-6 지구 궤도 진입 10분, 도착은 48시간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포도송이처럼 보인다. 캡슐은 각각 분리돼 사생활이 보호된다. 캡슐의 한쪽 끝에는 대형
창
을 만들어 우주공간을 한눈에 볼 수 있으며 벽에는 몸이 떠다니지 않도록 하는 접착장치도 마련돼 있다.토끼 외계인이 사는 천체, 달영화 ‘미션 임파서블’의 주인공 톰 크루즈도 5년 뒤에는 달에 있는 자기 ... ...
한국 최초 우주인 3차 선발 체험기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경찰부터 41세 공군 소령까지 10명의 후보자는 어려운 검사를 차례차례 거쳤다. 공군 김학
창
소령은“같은 꿈을 꾸는 사람들과 함께 한 시간은 평생 잊지 못할 추억”이라며“누가 최후의 2명이 되든 대한민국 우주인으로서 임무를 완벽히 해내리라 믿는다”고 말했다.이번 선발과정을 통해 뽑히는 1 ... ...
분단을 뛰어넘는 두루미 사랑
과학동아
l
2006년 12호
사랑을 확인하고 부부 영역을 표시하는 행동이다. 남편이
창
을 하고 아내가 따르는 부
창
부수(夫唱婦隨) 그대로다. 또 껑충껑충 뛰며 원을 그리기도 한다. 두루미가 가진 독특한 구애행동이다. 사람들은 이를 ‘학춤’이라고 부르며 따라했고, 이 춤은 무형문화재 제40호로 지정됐다.자손을 많이 ... ...
마음 읽고 배려하는 '똘똘한 칩'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됐다. 이후 그가 건물에 들어서면 컴퓨터가 켜지고 모니터에는 자신의 홈페이지
창
이 저절로 열렸다. 일반인은 아직 접해보지 못한 ‘유비쿼터스 세상’이지만 유 교수는 그것을 “장난감 수준”이라고 말한다. 몸 안에 넣는 칩의 성능에 따라 우리의 미래가 달라질 수 있다는 얘기다.우선은 머리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