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술자
학자
명수
숙련가
권위자
기교가
프로
d라이브러리
"
전문가
"(으)로 총 4,348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포그래픽] 추진력 향상 운동 '힐 드롭'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달리기의 해부학과 생리학을 그래픽으로 설명하는 책이다. 물리치료사와 요가치료
전문가
가 정확하고 세밀한 인체 도해를 통해 운동의 효과와 인체가 겪는 변화를 과학적으로 설명한다. 효율적인 트레이닝 방법과 함께 인체에 대한 지식도 얻을 수 있다. 다리 아랫부분발목의 발바닥굽힘근인 ... ...
변이 vs. 백신 재설계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부위로 바이러스가 숙주에 침투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만큼
전문가
들은 기존보다 더 높은 전파력을 가질 것이라고 예상하고 있으며 실제 역학 연구를 통해 일부 확인된 상태다.바이러스의 변이는 전파력에만 영향을 미치는 것은 아니다. 기존 사스코로나바이러스-2의 ... ...
[기획] “간단한 수학만으로도 개미를 연구할 수 있어요!”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걸까? _ INTERVIEW Q 이번 연구는 어떻게 하게 됐나요?함께 연구했던 박사님이 마침 개미
전문가
라 평소에도 개미에 관련된 재미있는 이야기를 많이 나누곤 했습니다. 연구의 아이디어도 실험실에서 회의를 하던 중에 얻었습니다. ‘개미도 빛처럼 페르마의 원리를 따르지 않을까?’ 하는 궁금증에 ... ...
[특집] 나의 식물적 삶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식물’의 작가, 식물 유트브 ‘이랑’ 채널의 유튜버, 그리고 홈 가드너다. 식물이라면 준
전문가
지만 그 또한 “수없이 많은 식물을 죽여왔다”고 고백했다. 그는 “돌이켜보면 식물의 생리라는 관점에서 생각해 본 적이 별로 없었다”며 “내 위주로 식물을 키웠기 때문에 식물을 많이 죽였던 ... ...
[게임 디자인 씽킹] 고대부터 현재까지 이어져 온 게임의 가치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믿음을 대변했습니다. 현재는 과학자와 예술가, 인문학자, 심리학자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
가 힘을 합해 수학 학습부터 질병 치료까지 다양한 목적을 위해 게임을 개발합니다. 만약 여러분이 세상에 유익한 게임을 만든다면 어떤 게임을 만들고 싶나요 ... ...
[인터뷰] “인류 보편적 진화 과정 통해 역사 살펴야”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화두를 꺼냈다. 배 전 관장은 국내 대표적인 구석기 고고학자이자 박물관
전문가
로, 2017년 7월 제13대 국립중앙박물관장에 취임해 지난해 10월까지 재직한 뒤 퇴임했다.그가 임기 막바지에 추진한 호모 사피엔스 특별전은 인류가 진화하고 문화와 예술을 탄생시킨 과정을 통해 현생인류의 미래를 ... ...
[Bridge] 음성 인식 AI에 꼭 필요한 너! 삼각함수
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이때 핵심이 되는 개념이 삼각함수야. 아직 감이 잘 안 와도 괜찮아. 내가 특별히 모신
전문가
들의 이야기를 들으면 잘 이해하게 될 테니까! 사람의 음성과 삼각함수는 ‘닮음’이에요! 박기영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복합지능연구실 책임연구원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복합지능연구실에서 ... ...
[수학게임X파일] 추론 능력이 쑥쑥! 퍼즐 게임 매머드
어린이수학동아
l
2021년 04호
추론 능력을 이용해 퍼즐을 푸는 게임이에요.” 게임
전문가
인 오규환 아주대학교 미디어학과 교수님은 퍼즐 게임 ‘매머드’를 어수동 친구들에게 추천하며 이렇게 설명했어요. 수학적 추론 능력이라고? 다소 어려운 단어인데요, 수학을 잘하기 위해서는 필수로 갖춰야 하는 능력이에요. 어떤 ... ...
[특집] 딥러닝에 수학이 필요한 순간
수학동아
l
2021년 03호
점점 늘고 있지. 그렇다면 딥러닝
전문가
가 되기 위해서는 어떤 공부를 해야 할까?
전문가
에게 들어보자! 딥러닝을 사용하면 전문 연기자 같은 AI를 만들 수 있어요! 안녕하세요. 딥러닝으로 다양한 감정과 운율을 표현하는 음성 합성 방법을 연구하는 스타트업 네오사피엔스의 김태수 대표입니다. ... ...
코로나19 등교 찬반 논쟁보다 '안전한 등교' 논의해야
과학동아
l
2021년 03호
미국 등에서도 발표됐습니다. 쟁점2. “학교 열었다면 피해 더 컸을 것”하지만 또다른
전문가
들은 이런 연구결과를 바로 현재의 유행 국면에 적용할 수는 없다며 주의를 당부했습니다. 연구가 이뤄진 지난해 초여름은 국내에 코로나19 환자 수 자체가 적던 시기입니다. 당시 코로나19 일일 환자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