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목적
계획
의향
취지
의사
목표
기도
d라이브러리
"
의도
"(으)로 총 93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션따라 변신하는 팔방미인 로봇
과학동아
l
2012년 03호
기능이 추가됐다. 단순히 명령어 검색에 그치지 않고 사용자와의 대화를 이해하고
의도
를 해석하려고 한다. 이런 인공지능 기능이 더해지면 훨씬 복잡한 서비스 로봇이 나올 수 있다.‘클라우드(Cloud) 로봇’이라는 개념도 슬금슬금 나온다. IT분야의 클라우드 서비스가 로봇에 결합됐다는 의미다. ... ...
뇌-컴퓨터 접속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산소를 많이 쓸수록 활발히 움직이는 부분이다.]뇌공학자들은 이제 빛을 이용해 사람의
의도
를 파악하는 ‘근적외선분광(NIRS)’에 주목하고 있다. 뇌는 활동할 때 에너지를 더 많이 쓴다. 이 에너지를 만들려면 혈액이 산소를 많이 실어 나른다. 산소가 얼마나 소모되는지를 계산하면 뇌의 활성을 ... ...
[2월] 과동 데스크의 썰
과학동아
l
2012년 02호
높아졌다고 설명했다. 이 도입 부분은 하드디스크를 소재로 독자들의 시선을 끄려는
의도
는 좋았지만 기사 내용과 직접 관계가 없는 내용이어서 아쉬웠다. 독자의 관심을 끄는 에피소드를 소개할 때에도 기사의 주제와 관련 있는 내용을 찾도록 하자. 이 기사의 경우 하드디스크 처리 속도가 때때로 ... ...
꿈을 저장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01호
텔레비전 채널을 바꾸거나 웹서핑을 즐기는 모습이 공개돼 큰 호응을 받았다.생각과
의도
를 읽는 기술은 반대로 뇌에 생각을 넣는 데 쓸 수도 있다. 외부에서 뇌의 특정부분을 자극하기만 하면 된다. 1999년 미국 UC버클리의 양 단 교수 연구팀이 미세바늘로 고양이의 시각 중추인 측면슬상핵 표면을 ... ...
비상 ! 우주 쓰레기가 온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년 22호
허들갑 군보다 똑똑하답니다. 인공 위성이 수명을 다하면 마지막 남은 연료를 사용해
의도
한 경로로 움직이도록 해요. 지구 대기권으로 들어와 바다에 떨어지도록 한다고요. 2001년에 태평양으로 떨어진 러시아의 우주정거장 ‘미르 호’가 아주 좋은 예지요.” “에이, 매우 상식적이잖아요. 그런데 ... ...
풍속화 속 수학 김홍도 vs 신윤복
수학동아
l
2011년 12호
공간, 깊이 등의 요소를 알맞게 배열하는 것을 말한다. 작가는 작품을 보는 사람들에게
의도
한 시각적 효과를 전달할 수 있도록 구도를 짠다. 그래서 소재나 주제를 효과적으로 드러내기 위해 어떤 구도로 표현하면 좋을지 미리 생각하고 모양이나 색깔, 위치들을 결정한다.씨름김홍도는 여러 ... ...
Part 1. 명상의 뇌과학
과학동아
l
2011년 12호
유쾌하고 이완된 기분과 극단적인 각성과도 관련이 있고 동시에 어떤 일을 수행하겠다는
의도
성과 관련이 있는 뇌파다.초당 8~13의 주기인 알파(α)파는 안정 상태 때 나타난다. 쾌적하고 마음이 편안할 때 보이는 뇌파가 바로 알파파다. 초당 13~30의 주파수를 가진 베타(β)파는 대체로 눈을 뜨고 ... ...
Part 1. 노벨 물리학상 - 우주는 점점 빨리 팽창한다
과학동아
l
2011년 11호
우주가속팽창의 발견은 우주표준모형을 완공되기도 전에 허물어 버리는, 혹은 처음에
의도
했던 설계도를 전면 수정해야 할지도 모르게 만드는 반증이다. 1980년대 우주론자들은 이론우주모형의 마지막 난제였던 인과성과 균일성 사이의 비일관성을 설명해주는 인플레이션이라는 패러다임을 ... ...
꿈을 현실로 만들어 보자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다른 사람을 돕고 싶다고 생각했다. “그래. 네 생각대로 의학은 소중한 학문이야. 개업
의도
좋지만 의학을 연구하는 연구교수가 되는 것도 좋을 거야. 연구실에서 신기술이나 신약을 개발하는 거야. 다른 학문분야와 융합해서 연구도 하지. 이러한 과정의 결과물이 산업으로 가. 이런 것이 우리나라 ... ...
“꼼꼼한 기출분석, EBS 교재 복습”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쉬운 문제일수록 실수할 확률이 높다는 점을 감안해야 한다. 쉬운 문제를 접할 때에도
의도
적으로 긴장하는 습관을 들일 필요가 있다. 지구과학은 통합적 사고가 중요한 과목이다. 문제에서 주어진 자료나 도표를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있어야 답을 고를 수 있는 문제가 주로 출제된다. 자료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