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기획] 분자의 음악, 바닐라 소리는 달콤해!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크기, 질량 등을 종합해 곡의 분위기를 결정하는 장조와 단조를 결정했어요. 이어 분자 속 원자 배열을 이용해 ‘멜로디’로 나타냈습니다. 이런 방식으로 분자마다 고유한 음악이 탄생했어요. 사람은 분자 정보를 악보로 보면서 음악으로 들을 수 있고, 악보는 분자 정보를 다시 컴퓨터 언어로 ... ...
- [Level up! 디지털 바른 생활] 어린이를 위한 메타버스 안전 가이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특별한 것이 아니라는 거예요. 집에서, 교실에서, 친구들과 함께 살아가는데 필요한 약속과 같은 거죠. 결국 메타버스도 공동체가 함께 사는 공간이라는 의미랍니다. 설명●출처: 한국언론진흥재단 ...
- DAY1. 세계적으로 인정받는 프린스턴대학교 수학과수학동아 l2023년 10호
- 모두 받은 수학자예요. 뷰티풀 마인드의 배경은 내시가 다니던 프린스턴대인데요. 영화 속에서 프린스턴대 수학과는 최고의 엘리트가 모이는 곳으로 묘사됩니다. 하지만 프린스턴대는 처음부터 수학에서 두각을 나타내진 않았습니다. 1746년 설립된 뉴저지대학교에서 1896년 프린스턴대로 이름을 ... ...
- [Reth?nking] 미적분은 어떻게 꽃피웠는가?수학동아 l2023년 10호
- 이해할 수 있어요. 세번 째 질문 | 미적분은 왜 필요한가? 인문학자 : 미적분은 우리 삶 속에서 어떻게 쓰이나요? 수학자 : 물리학적 움직임을 표현하고 이해하기 위해서는 미적분이 필요합니다. 미적분의 창시자 중 한 명인 뉴턴 역시 미적분을 통해 고전역학을 완성할 수 있었어요. 현대 물리학의 ... ...
- [과학뉴스] 또다시 어긋난 뮤온 g-2 실험 결과 표준모형 너머 미지의 이론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장치를 페르미국립연구소에 마련했다. 여기에 뮤온 빔을 발사하면 뮤온이 원형 장치 속을 따라 움직이며 자기장의 영향을 받아 팽이 축처럼 흔들거린다. 이 과정에서 뮤온이 중성미자와 양전자로 붕괴하는데, 붕괴해 생성된 양전자의 궤적을 분석하면 뮤온의 흔들림, 즉 g 값을 알아낼 수 있다. ... ...
- [과학뉴스] 가르치지 않아도 알아서 문 여는 로봇 등장과학동아 l2023년 10호
- 로봇 시스템 연구소 연구팀이 국제학술지 ‘사이언스 로보틱스’에 발표한 논문 속 로봇의 이야기다. doi: 10.1126/scirobotics.adg5014 보통 로봇은 동작과 움직임 하나하나를 명령해줘야 움직인다. ‘식기세척기 앞으로 가라’ ‘식기세척기 손잡이를 잡아라’ ‘팔꿈치 관절을 넣어 식기세척기 문을 마저 ... ...
- [기획] 음악과 뇌, 뇌 속에서 울리는 노래를 엿듣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음악을 들으면서 읽으시길 권합니다.) ▼이어지는 기사를 보려면?Intro. 음악과 뇌, 뇌 속에서 울리는 노래를 엿듣다Part1.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Part2. 음악들을 때 뇌에선 무슨 일이?Part3. 음악과 뇌에 대한 궁금증 ... ...
- [기획] 무슨 노래 들으세요? 뇌파 읽으면 알 수 있다과학동아 l2023년 10호
- 교수는 이 연구가 발전하면 음악계에도 새로운 변화를 가져다 줄거라 기대했다. “머릿속에 들어있는 멜로디를 곧바로 표현할 수 있습니다. 연구는 물론이고 작곡과 같은 음악 업계 전반에도 혁명적인 변화가 일어날 수 있죠.” 그러나 먼 미래의 이야기다. 음악신경과학 연구실의 김현재 연구원은 ... ...
- [최애 은하] 지루해 보였던 타원은하의 반전 과거과학동아 l2023년 10호
- 편에 속한다. 그러므로 이 블랙홀이 양옆으로 에너지를 토해내는 힘도 엄청나다. 자기가 속해있는 은하 경계 너머까지 흔적을 날길 정도니까. 이런 에너지 분출은 우주 진화를 주도하는 진짜 주인공이 거대한 타원은하들이라는 사실을 보여준다. 한때는 뜨거웠던 우리 은하의 심장 재밌는 사실은 ... ...
- [가상 인터뷰] 곤충 톡토기 피부 모방해 막히지 않는 인공 혈관 개발!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9호
- 토끼 실험을 통해 인공 혈관을 관찰했더니 혈전은 기존보다 99% 감소했고, 혈액이 흐르는 속도도 80% 개선된 것을 확인했어. 이전에 쓰이던 인공 혈관과는 어떤 차이가 있어? 그간 의료 분야에서 쓰이던 인공 혈관은 오랜 시간 사용하기에는 한계가 있었어. 시간이 지나면 혈액이 굳어버려서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