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속"(으)로 총 13,484건 검색되었습니다.
- [최신 이슈] 넓디넓은 정수장에서 깔따구 찾기, eDNA면 가능!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뤄진다. 이를 통해 수중 탐색에 드는 비용과 시간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실제로 물속에서 인간의 DNA는 길게는 한 달 넘게 검출 가능한 상태로 유지된다. 마리 안토니 다스 호주 디킨대 연구원팀이 물 시료에서 인간 DNA 검출 실험을 진행한 결과, 댐에서 퍼온 물에서는 최대 11일, 증류수에서는 ... ...
- [최대 은하] 우주 끝에서 온 별 빛의 주인을 찾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목격된 적 없는, 구상성단의 탄생에 가장 가까운 순간이 이 선라이즈 아크 은하의 허상 속에 존재할 수 있다. 항성 진화 연구의 새로운 막이 오르다최근 제임스 웹은 극단적인 중력렌즈 덕에 제2, 제3의 에렌델도 찾았다. 천문학자들은 은하단 주변들에서 각각 1000배에서 10만 배에 이르는 아주 강한 ... ...
- [가상 인터뷰] 초파리 장 세포에서 새로운 세포 소기관 발견!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나는 세포야. 크기가 1~100탆(마이크로미터)●밖에 되지 않을 정도로 매우 작지. 세포 속에서 생명 활동을 조절하는 핵, 에너지를 생산하는 미토콘드리아 등 여러 기관이 각자의 역할을 하는 덕분에 생명 활동이 유지돼. 그런데 5월 4일, 미국 록펠러대학교 노버트 페리몬 교수팀은 초파리의 장 ... ...
- [마이보의 과학 영상 읽어줌] 인간이 사라진다면 지구는?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게임 속에서 플레이어가 직접 조작하지 않는 캐릭터를 말해요. 플레이어를 도와 게임 속에서 아이템을 판매하는 상인, 길을 안내하는 안내자 등을 NPC라 하죠. 개발자들이 설정해 놓은 대로 움직이는 이 NPC들에게 생성 AI를 탑재하고, 챗GPT로 서로 대화하게 하면 어떤 일이 펼쳐질까요? 똑똑해진 ... ...
- [과학마녀 일리의 과학용어] 자외선, 달팽이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이 원인을 포도 속 폴리페놀이란 성분 때문이라고 분석했어요. 달팽이관은 우리 귓속에서 소리를 듣는 역할을 하는 청각 기관이에요. 달팽이와 비슷한 모양을 하고 있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요. 귀는 바깥쪽의 ‘외이’와 가운데의 ‘중이’, 가장 안쪽의 ‘내이’로 구성되는데, ... ...
- [똥손 수학체험실] 구구단을 외자~! 아니, 구구단을 돌리자!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11호
- 같고로 바꿔서 120+12=132로 계산하면 간단해요. 하지만 구구단을 외우면 일상 속에서 더 빠르게 셈을 할 수 있어요. 우리는 보통 구구단을 1~9단까지 외우지만, 인도에서는 11단, 12단, …19단까지 외우기도 하지요. 네 자리 수, 다섯 자리 수처럼 더 큰 수를 곱할 때도 도움이 돼요. 그럼, 놀이를 통해 1 ... ...
- 폴리매스의 모든 것수학동아 l2023년 11호
- 필요한 자료인 진로 관련 기사, 초중고 선생님들이 개발한 수학 체험 프로그램, 실생활 속 수학 사례를 소개한 기사가 단원별로 정리돼 있습니다. 에 대한 소식과 공지사항도 [수학동아]-[수동 안내]에서 볼 수 있어요. 폴리매스에서 영재학교 학생들의 공부 방식, 나아가 수학자의 연구 ... ...
- [가상 인터뷰] 십자로 이어진 통나무,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연대측정법’이란 방법으로 통나무 나이를 확인했대요. 통나무를 감싸고 있는 퇴적물 속 광물인 장석을 활용해서요. 장석이 흡수한 토양 내 방사선을 분석해 장석이 태양광에 마지막으로 노출된 기간을 확인하는 방법이죠. 연구팀은 이를 통해 우리가 최소 47만 6000년 전부터 유목 생활이 아니라 ... ...
- [노벨상 2023] 화학상 - 양자점이 ‘빛’나기까지 끊임없는 질문이 있었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2010년까지 박사후 연구원으로 재직했다. 당시 필자는 양자점의 대량생산을 위한 연속 공정 시스템을 개발하고 미국 하버드대 의대와 함께 양자점을 이용한 암 표적화 연구를 진행했다. 바웬디 교수는 제자들과 대화하는 것을 즐겨하며, 출장도 잦은 편이 아니었다. 학생 하나하나에 많은 시간을 ... ...
- [2039:화성 일 년 살기] 화성에서도 한국인은 김치를 담근다과학동아 l2023년 11호
- 신기하게도 장금의 말을 듣고 기다린 배추는 모래 폭풍이 몇 주간 이어지자 서서히 속이 들어차기 시작했다.배추를 수확하던 나는 장금에게 설명을 요구했다. 장금의 대답을 요약하자면 이런 것이었다. 배추는 재배 초기에는 양분을 줘 많은 잎을 확보하고 20℃ 전후의 온도를 맞춰 광합성을 ... ...
이전313233343536373839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