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순서
차례
등급
등위
단계
순위
순차
d라이브러리
"
서열
"(으)로 총 705건 검색되었습니다.
인플루엔자 바이러스 병원성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폐에 국한된 이유다. 그런데 고병원성 H5형 바이러스의 HA는 이 부분의 아미노산 염기
서열
이 바뀌어 있고 그 결과 숙주의 몸 대부분에서 발현하는 푸린(furin)이란 효소에 의해서도 잘 잘린다. AI 바이러스가 전신으로 퍼지는 이유다.고병원성 인플루엔자 바이러스에 대해 많은 사실이 밝혀졌지만 ... ...
한국인 키 유전자, 비만 유전자 찾았다!
과학동아
l
2009년 06호
사람이 아니라 여러 사람의 게놈을 분석한 결과입니다. 데이터를 모아보니 개인마다 염기
서열
이 다른 부분이 꽤 존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지요.”이런 부분을 단일염기다형성(SNP)이라고 부른다. 지금까지 밝혀진 SNP는 1000만 곳이 넘는다. 게놈 크기가 30억 개이므로 대략 염기 300개 당 하나 꼴이다. ... ...
잠든 야성 깨우는 동물행동 풍부화 프로그램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해당한다.사회성풍부화는 야생에서 보이는 사회적 그룹을 고려해 전시하는 방식으로
서열
을 고려해 무리를 나눠 전시하거나 따돌림 받는 개체를 위해 격리공간을 확보하고 다양한 종을 혼합해 키우는 방식이다. 서울대공원 임양묵 사육사는 “기존에는 부모가 돌보지 않는 새끼 오랑우탄이나 ... ...
불치병 치료의 꿈 R·N·A 앱타머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대장암 억제제 RNA 앱타머의 정확한 구조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 정 교수팀은 RNA의 염기
서열
을 고려해 가장 안정된 입체 구조 2가지를 시뮬레이션으로 예측했다 ... ...
슬픔보다 더 슬픈 이야기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불린다. 인간은 염색체 속에 약 2만~2만 5000개의 유전정보를 가지고 있는데 염기
서열
의 99.9%는 동일하며 약 0.1%의 차이로 개인의 유전적 특성이 결정된다.품위 있는 죽음의 방식하늘은 스스로 돕는 자를 돕는다고 했던가. 영화 중반 K는 결국 주완의 약혼녀를 설득하는데 성공한다. K의 계획대로 ... ...
카드를 잘 섞는 법
과학동아
l
2009년 05호
따라서 1 2 3 4 5 를 2 3 5 1 4 로 만들려면 세 번 이상 바꿔야 한다. 이러한 방식은 DNA의 염기
서열
에서 종 사이의 거리를 구해 생물을 분류할 때도 유용하게 쓰인다.한상근 교수는 미국 오하이오주립대에서 박사학위를 받고 1989년 KAIST에 부임했다. 정수론과 그 응용인 암호학, 정보학 분야를 연구하고 ... ...
광합성 하는 동물 있다? 없다?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자그마한 게놈을 갖고 있는데 박테리아처럼 고리모양이다. 또 여기에 있는 유전자의 염기
서열
도 남조박테리아와 비슷하다. 또 엽록체와 남조박테리아 모두 내막과 외막으로 이뤄진 이중막에 싸여있다. 한편 이 사건이 지구 역사에서 ‘단 한 번’ 일어났다고 보는 이유는 오늘날 존재하는 ... ...
나이를 거꾸로 먹어가는 한 남자의 인생극장
과학동아
l
2009년 04호
것일까.노화는 크게 두 가지 가설로 설명된다. 하나는 ‘텔로미어 이론’으로 세포 속 DNA
서열
의 변화가 생물을 늙게 한다는 가설이다. 1961년 레오나르도 헤이플리크라는 생물학자는 세포가 분열하는 동안 DNA 끝단에서 6개로 이뤄진 반복 염기가 떨어져 나간다는 사실을 발견하고, 이 같은 변화가 ... ...
천연섬유의 변신은 무죄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연구는 세계적으로 한국과 일본, 중국 세 나라가 주도하고 있다. 일본은 실크 유전자 염기
서열
지도를 완성하는 기초연구에서 앞서가고, 한국은 실용화와 응용연구에서 앞서가고 있다. 21세기 실크의 재발견으로 ‘제2의 실크로드’가 열리길 기대한다.안형준 기자 butnow@donga.com▼관련기사를 계속 ... ...
치매와 언어장애의 원인 밝힌다
과학동아
l
2009년 02호
말했다.시냅스 분야 1등을 향해사람과 생쥐의 단백질을 구성하는 아미노산 염기
서열
은 약 80~90%가 같다. 그래서 시냅스에 문제가 생겼을 때 사람이 겪는 강박증이나 지능저하 같은 뇌질환이 생쥐에게도 동일하게 나타난다. 김 단장이 1997년 하버드대에서 박사후연구원 과정을 할 때 찾아낸 GKAP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