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물리학"(으)로 총 2,059건 검색되었습니다.
- ‘힉스’와 ‘중성미자’를 대하는 신문의 자세과학동아 l201306
- 예측까지 나왔다. 그러나 이 뉴스는 1년도 안 돼 실험장치의 오류로 밝혀졌다.두 대형 물리학 뉴스를 국내 과학언론이 어떻게 보도했는지 추적조사했다. 힉스 입자의 경우 국내 신문은 첫 보도는 비중이 높았지만, 후속보도는 해외 신문에 비하면 갯수가 적었다. 또 빛보다 빠른 중성미자의 오류 ... ...
- PART 2. 아기 우주는 7번 울었다과학동아 l201305
- 암흑물질은 오직 중력과만 상호작용하는 물질로, 아직은 가상의 물질이지만 대부분의 물리학자와 천문학자들이 존재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그런데 인플레이션(급팽창)이 끝난 우주에서 특이한 현상이 생겨났다. 당시 우주에는 물질과, 이보다 5배쯤 많은 암흑물질이 있었다. 암흑물질은 중력과만 ... ...
- 황금빛 햇살을 그릴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305
- 생물 정보학을 전공하는 김동섭 바이오및뇌공학과 교수, 양자 정보학 전문가 이해웅 물리학과 명예교수도 참여해 네트워크와 정보에 대한 두툼한 책이 됐다.대중강연이라고 하면 깊이가 없을 것 같지만 아니다. 세 교수의 전공 분야 모두 과학동아에서 특집과 기획으로 기사를 진행해 봤지만, 미처 ... ...
- PART 1. 우주의 ‘지문’이 등장하기까지과학동아 l201305
- 몰두했다. 하지만 실제 최초의 관측은 벨연구소 연구원 둘이 우연히 해냈고, 나중에 노벨 물리학상을 받았다.급팽창의 미스터리와 우주 관측위성의 등장빅뱅이 일어나고 10-32초 뒤까지, 우주에서 가장 극적인 사건 중 하나인 급팽창이 일어났다. 이 이론에는 여러 가지 흥미로운 이야기가 있지만, 그 ... ...
- [20세기의 수학자] 에미 뇌터수학동아 l201305
- 20세기 물리학의 주요 업적으로 거론되곤 한다.하지만 그녀는 이전이나 이후에도 물리학에 큰 관심을 가진 것으로 보이진 않는다. 이런 점에서 볼 때, 아마도 당시 그녀의 초청자였던 힐베르트가 제시한 문제를 해결하려는 노력이었던 것으로 보인다. 새로운 분야와 문제에 개방적인 그녀의 자질을 ... ...
- [수학뉴스] 세계 7대 수학 난제 소동수학동아 l201305
- 체계화하는 과정이 없기 때문이다. 조 교수는 ‘양-밀스 이론’과 관련해 의미 있는 물리학적 결론을 도출했을 뿐이라는 것이다.포스텍 수학과 박형주 교수는 “수학계는 조 교수의 연구가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제시한 세계 7대 난제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라며, “양-밀스 문제의 핵심을 ...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과학동아 l201305
- 정말 해결했는지 등은 2~3년 뒤 검증을 거쳐 확정된 뒤에 이야기해도 늦지 않았다. 물리학적인 의미는 학자들이 논문을 통해 반박하거나 확대, 보충하면 됐다. ‘한국인이 했다’는 말만으로 내용도 모른 채 열광하는 게 옳을까. 열광은 때 늦은 게 오히려 나을 때도 있다 ... ...
- PART 2. 천재들의 엉뚱한 행동, 세상을 바꾼 괴짜들과학동아 l201304
- 근접한다는 열역학 제3법칙을 발표했고, 이 공로로 1920년 노벨 화학상을 수상한 독일의 물리학자 발터 네른스트의 취미는 농장 가꾸기였어. 동부 프로이센 지역에 수백만 평의 부지를 사서 소와 잉어를 키우고 농사를 했지. 평범한 취미 생활일지 모르겠지만, 네른스트는 농장을 과학자답게(?) ... ...
- 변 기자의 우주에서 가장 추운 취재기어린이과학동아 l201304
- 쏴 원자를 꼼짝달싹 못하게 가둬놓는 방법으로 수만 분의 1K까지 온도를 낮췄다.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미국 메사추세츠공과대학교 볼프강 케테를레 교수팀은 여기에 더해 압력을 낮추고 활발한 원자만 골라서 제거하는 방식으로 2003년 수십억 분의 1K까지온도를 낮추는 데 성공했다.절대영도에서는 ... ...
- 그들은 왜 ‘힉스 발견’을 다시 발표했을까과학동아 l201304
- 빔 출력을 2배로 높이는 공사를 시작했다. 실험은 멈췄고 데이터 수집도 중단됐다. 물리학의 위대한 발견의 순간은 미뤄졌다. 하지만 진정한 영광은 벼락 같이 한번에 오지 않는다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